KCI등재후보
전통문양에 나타난 음양태극과 상태극 연구 = A Study on Yin-Yang Taegeuk and Sam Taegeuk Shown in the Traditional Patterns
저자
안창호 (영동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4
작성언어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61-74(14쪽)
KCI 피인용횟수
4
제공처
There is an implicated ghilosophy to represent a country or a nation and a condensed form of conscicousness, unconsciousness and thought of the said group in the pattern. Taegeuk, one of the representative traditional patterns in Korea, is the most crucial word indicating the principle of the foundation of oriental philosophy since the ancient times and it has become our national flag today.
The Taegeuk pattern has been used since Silla Dynasty as a sign of mystery and solidarity as well as the national spirit of our nation and sovereignty. People have had an easy access to the Taegeuk pattern in their every day lives before Silla Dynasty to the present and the Taegeuk flag or Taegeuk line and Taegeuk mark have represented our country around the world : in this aspect, the Taegeuk pattern has functioned significantly as our national pattern. Yin-Yang Taegeuk based on Yin-Yang Theory and dichotomy has appeared mainly in China and Japen and it seems familiar with the scholasticism, whish is fundamental and aristocratic in western thought.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of the Yin-Yang Taegeuk has been mixed with various foreign thoughts and ideas so that ir would be hard for us to claim that it is purely our unique heritage. In contrast, <Sam Taegeuk> is the pattern symbolizing the thought of combination of three elements such as Heaven, Earth and Human Beings and it has the been considered very sacred from old times. Unlike the Yin-Yang Taegeuk shown frequently in Japen, <Sam Taegeuk> pattern based on humanity can be regarded as one of the most noticeable patterns to express the identity of the our as one of the cherished patterns from old times. Besides, it was the first concept of Taegeuk and he symbolic pattern appropriate to the sentiments of our nation.
문양은 그 국가나 민족을 대변 할 만큼 함축된 철학이 있으며 그 집단의 의식과 무의식, 그리고 사상이 응축되어있다. 한국의 전통 문양중 가장 대표적인 태극은 우주의 존재 원리를 일컫는 가장 핵심적인 말로서 고대부터 동양의 국기인 태극기에서 그 모습이 나타나고 있다.
태극문양은 신비, 신성의 부호로서 신라시대 이전부터 사용되어왔으며 우리 민족의 국민 정신과 주권을 대표함과 아울러 조화, 창조, 단결의 상징이었다. 태극문양은 신라시대 이전부터 현재까지 우리의 생활 주변에서 쉽게 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재 세계 각처에 태극기 혹은 태극선, 태극마크 등이 우리나라를 대표하고 있음을 볼 때 민족적 문양으로서의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는 것이다.
음양태극은 음양론과 이분법 구조를 중심으로 주로 중국이나 일본등에서 많이 나타나며 귀족적이며 서양의 기본사상인 신본주의를 많이 닮았다. 이런 음양태극의 철학적 배경은 순수히 우리민족의 고유의 것이라고 자부하기엔 너무나 이질성이 많다.
이에비해 삼태극은 천.지.인 3합사상을 상징하는 문양이며 삼태극에는 평등과 민주적 사상이 있으며 삼라만상을 창조하는 이차가 담겨있어 예로부터 신성히 여겨왔다. 중국과 일본에 많이 나타나는 음양태극과 달리 사람을 중시하는 인본주의 사상의 삼태극문양은 우리 민족의 정체성을 가장 이어온 문양이라 할 수 있으며 옛날부터 가장 사랑받는 문양으로 활용되어 왔다. 또한 이 삼태극이 최초의 태극관념이며 우리민족의 정서에 맞는 상징적 문양이라 할 수 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KCI후보 |
2014-09-02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Society of Korea Design Trend -> Korea Society of Design Trend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12-1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Korea Design Forum ->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 KCI등재 |
2007-10-24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과학예술디자인학회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영문명 : Korea Science & art Academy of Design (KSAD) -> Society of Korea Design Trend | KCI등재 |
2007-04-23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디자인트랜드학회 -> 한국과학예술디자인학회영문명 : Korea Design Trend Association -> Korea Science & art Academy of Design (KSAD) | KCI등재 |
2006-06-10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 Korea Design Forum | KCI등재 |
2006-02-06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디자인포럼학회 -> 한국디자인트랜드학회영문명 : The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 Korea Design Trend Association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5-10-31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 Sociaty of design forum -> The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 KCI후보 |
2005-10-12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디자인포름 -> 한국디자인포럼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 KCI후보 |
2005-09-26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비쥬얼디자인학회 -> 한국디자인포럼학회영문명 : The Korea Sociaty Of Visual Design -> The Korea Sociaty of design forum | KCI후보 |
2005-05-30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한국디자인포름외국어명 : 미등록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3 | 0.43 | 0.4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3 | 0.43 | 0.631 | 0.12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