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시설 건설현장 작업자와 관리자의 안전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Differences in Safety Awareness between Workers and Managers in Residential Construction Site
저자
임정현 ; 편승호 ; 이보경 ; Lim, Jeong-Hyeon ; Pyeon, Seung-Ho ; Lee, Bogyeong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8-14(7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높은 재해율을 보이는 대표적인 산업 중 하나인 건설업은 많은 연구와 제도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잦은 안전사고 발생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건설산업의 높은 재해율의 원인 중 하나인 작업자와 관리자 간 안전 인식의 차이를 조사하고, 두 그룹 간 업무 내용, 책임 소재, 위험에 대한 노출 정도 등에 따른 상이한 관점을 밝힌다. 작업자와 관리자로부터 수집된 설문 데이터를 바탕으로 작업환경에 대해 안전하다고 인식하는 정도, 공정 압박감에 대한 여유 정도, 중대재해처벌법에 대한 인지 정도, 안전 교육에 대한 인지정도과 같은 주요 항목을 기반으로 안전 인식의 차이 정도를 분석한다. 관리자 그룹에서는 법적 준수 및 책임을 크게 인지하는 반면 작업자 그룹에서는 안전 교육에 대한 인지 정도 등을 더 크게 인지하는 등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격차의 원인을 분석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해 정부 차원에서의 제도 홍보 및 교육 강화 등의 협력적 접근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더보기The construction industry, characterized by its high-risk work environments, often faces challenges in maintaining safety standards. This study explores the differences in safety awareness between managers and workers in construction sites, emphasizing the distinct perspectives shaped by their roles, responsibilities, and exposure to risks. Using survey data collected from both managers and workers, we evaluate their perceptions of safety using key parameters such as safety education, awareness of safety regulations, and risk management practices. The findings reveal significant gaps in safety awareness, with managers primarily focused on compliance and organizational responsibilities, while workers prioritize immediate physical safety and personal experience. These differences are further influenced by factors such as organizational culture, communication effectiveness, and the implementation of safety laws, such as the Serious Accident Punishment Act. The study highlights the need for a collaborative approach to bridge these gaps, fostering a unified safety culture through participatory programs and tailored training.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