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상세검색

    인기검색어

      간호 유형별 입원환자가 인지한 의료서비스 품질이 환자만족도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 간호·간병통합병동과 일반병동 비교분석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이 연구는 일반병동과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을 이용한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간호유형에 따른 만족도와 추천의도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를 위해 수도권에 위치한 22개의 진료과목과 400여 개의 병상을 가진 A 종합병원의 입원환자 중 만 15세 이상 환자 208명을 대상으로 2019년 1월 28일부터 2월 1일까지 총 5일간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A 병원은 외과계 병동 4동, 내과계 병동 4동 등 총 8개 병동이 있으며 이 중 외과계 2동, 내과계 2동 등 총 4개 병동에서 간호⋅간병통합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최종 분석에 사용된 설문 수는 120건의 간호⋅간병통합병동 입원환자, 76건의 일반병동 입원환자 등 총 196부이다.
      설문지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환자경험평가 조사 도구를 토대로 대상자의 특성에 적합하도록 재구성하였다. 의료서비스 품질 관련 설문 문항은 Likert 4점 척도(1=전혀 그렇지 않다 ~ 4=매우 그렇다)로 구성하였고 만족도와 추천의도에 대한 문항은 10점 척도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반적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과 기술 통계 분석을 시행하였고, 독립표본 t 검정,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 분석을 시행하였다. 마지막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추정하기 위해 신뢰도와 타당성 검정과 경로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성별은 여자보다 남자가 많았고, 평균 연령은 60세 이상이 가장 많았으며 40대, 30대, 20대, 10대 순이었다. 학력 수준은 고졸 이하가 가장 많았고, 대학재학 이상도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둘째, 의료서비스 품질에 대한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일반병동이 8.16, 간호·간병통합병동 8.59로 간호·간병통합병동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하위영역 만족도는 일반병동은 의사 서비스 3.29점, 간호사 서비스 3.43점, 처치 및 투약 3.21점, 시설과 환경 2.99점, 권리보장 3.18점의 순이며, 간호·간병통합병동은 의사 서비스 3.35점, 간호사 서비스 3.55점, 처치 및 투약 3.34점, 시설 및 환경 3.28점, 권리보장 3.29점, 순으로 분석되었다. 하위영역만족도에서도 간호·간병통합병동이 일반병동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셋째, 환자만족도와 추천의도에 미치는 의료서비스 품질 영향변수를 분석하기 위해 만족도를 종속변수로 측정하는 모형 1과 모형 2, 그리고 추천의도를 종속변수로 측정하는 모형 3의 다중회귀방정식을 구성하였다. 이때 모형1은 성별, 나이, 교육수준을 포함하여 분석하였고 모형2는 성별, 교육수준을 모형3은 나이와 성별을 포함하여 분석하였다.
      모형 1에서 환자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변수를 분석한 결과 일반병동에서는 의사 서비스가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간호⋅간병통합병동에서는 시설 및 환경, 권리보장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나이 변수를 제외한 모형2도 모형1과 거의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추천의의도를 종속변수로 한 모형3은 일반병동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변수가 확인되지 않았다. 반면 간호⋅간병통합병동은 의사 서비스, 시설 및 환경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넷째,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신뢰성과 타당도를 분석하였다. 신뢰성과 타당도 분석결과 크롬바흐 알파 값은 모든 잠재변수에 대해 0.6보다 크게 나타나 항목들의 내적 일관성이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집중 타당성 검증 결과도 표준화된 요인부하량(λ:표준화계수)가 0.5 이상임을 확인할 수 있고 평균분산추출지수 또한, 모두 0.7 이상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개념 신뢰도 값도 모두 0.7 이상의 큰 값을 보여주고 있어 집중 타당성은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평균분산추출(AVE) 값은 간호⋅간병통합병동에서는 0.607~0.946으로 분석되었고 개념 신뢰도(CR) 값은 0.822~0.978로 집중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일반병동의 경우 평균분산추출(AVE) 값은 0.776~0.904로 분석되었고 개념 신뢰도(CR) 값은 0.918~0.974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연구모형에 대한 경로계수를 분석한 결과 일반병동에서는 의사 서비스(p<0.721) -> 만족도, 처치 및 투약 (p<0.455) -> 만족도의 관계에서 유의한 정(+)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고 만족도 (p<0.867) -> 추천의도에 유의한 정(+)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간호⋅간병통합병동은 시설과 환경 (p<0.532) -> 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관계를 보였고 만족도 (p<0.702) -> 추천의도에 유의한 정(+)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간호유형별 입원환자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차이를 보였다. 간호·간병통합병동을 이용한 입원환자의 만족도는 시설과 환경, 권리보장이 유의한 관계를 보였고, 일반병동 입원환자의 만족도는 의사 서비스와 처치 및 투약 변수가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1개 병원의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된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지만 이 연구는 향후 간호⋅간병 통합병동의 환자만족도를 위해 최우선으로 시설과 환경 부분의 경험을 긍정적으로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향후 간호·간병통합병동 확대 시점에서 환자 중심의 의료서비스 품질의 질을 높이고 만족도를 지속해서 평가하면서 만족도를 향상할 수 있는 환자 요구도 평가 및 질 관리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 연구의 결과는 병원이 환자 중심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향후 의료기관의 경영성과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 목 차
      • 국문초록 ⅰ
      • 표 목 차 ⅶ
      • 그림목차 ⅷ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연구목적 1
      • 1. 연구배경 1
      • 2. 연구목적 3
      • 제2장 이론적 배경 4
      • 제1절 간호·간병통합 서비스의 개념 및 현황 4
      • 1.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4
      • 2. 간호·간병 서비스 직무 범위 및 직무환경 10
      • 3. 간호·간병 서비스 국외 현황 13
      • 가. 일본 간병 서비스 현황 13
      • 나. 독일 간병 서비스 현황 14
      • 다. 프랑스 간병 서비스 현황 15
      • 라. 미국 간병 서비스 현황 17
      • 제2절 의료서비스 품질 18
      • 1. 의료서비스품질의 개념 18
      • 가. 의료서비스의 정의 18
      • 나. 의료서비스 품질의 개념 20
      • 2. 의료서비스 품질 측정 도구 23
      • 제3절 환자만족도 27
      • 1. 환자만족도 개념 27
      • 2. 환자만족도 영향요인 32
      • 3. 환자만족도 측정변수 34
      • 제4절 환자경험평가 37
      • 제5절 추천의도 41
      • 1. 추천의도 개념 41
      • 2. 추천의도 영향요인 44
      • 3. 추천의도 측정변수 48
      • 제3장 연구모형의 설계 및 연구방법 50
      • 제1절 연구모형 및 가설의 설정 50
      • 1. 연구모형 50
      • 2. 연구가설의 설정 51
      • 가. 의료서비스 품질과 환자만족도 51
      • 나. 추천의도 52
      • 제2절 자료의 수집과 분석방법 54
      • 1. 자료의 수집 54
      • 2.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54
      • 가. 의료서비스 54
      • 나. 환자만족도 55
      • 다. 추천의도 56
      • 3. 측정 도구에 대한 설명 56
      • 4. 설문지 구성 및 측정 방법 57
      • 5. 분석방법 58
      • 가. 독립변수의 측정 58
      • 나. 종속변수의 측정 60
      • 1) 환자만족 측정지표 60
      • 2) 추천의도 측정지표 60
      • 제4장 실증분석 결과 62
      • 제1절 자료수집 및 표본 특성 62
      • 1. 자료수집 62
      • 2. 표본의 일반적 특성 64
      • 제2절 집단 간 차이분석 및 상관분석 66
      • 1. 기술 통계량 및 t 검정 66
      • 2. 상관관계 분석 69
      • 제3절 분석결과 72
      • 1. 다중 회귀분석 72
      • 2. 구조방정식 모형의 추정 76
      • 가. 신뢰성 및 타당성 검증 76
      • 나. 구조방정식을 통한 만족도 분석 81
      • 다. 다중회귀 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 비교 82
      • 제5장 고찰 88
      • 제6장 결론 96
      • 제1절 연구결과 요약 96
      • 제2절 제언 및 연구의 제한점 99
      • 참고문헌 101
      • 1. 국내 문헌 101
      • 2. 국외 문헌 113
      • 3. Web site 116
      • 부록. 설문지 117
      • ABSTRACT 123
      더보기
      • 1 신영석, "미국 출장 보고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0
      • 2 고양곤, 임춘식, 이연희, 유성우, 원영희, 박재간, 모선희, 김용택, "외국의 노인복지 정책", 한국노인문제연구소, 1996
      • 3 박재간, 이상각, 이미애, 안필준, "외국의 노인복지 정책", 노인복지 정책연구총서, 03(11), 1998
      • 4 박광준, "고령화 사회와 사회정책", 세종출판사:9-63, 1999
      • 5 강욱모, "외국의 노인복지 관렵 법", 한국노인문제연구소, 1996
      • 6 선우덕, 오영희, "간병 전문인력의 제도화 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 원, 2001
      • 7 유선주, 최윤경, "보호자 없는 병원 제도화 방안", 한국콘텐츠학회, 13(6):370-379, 2013
      • 8 김준홍, "중소병원 경영 실적과 육성방안", 한국 병원 경영연구원, 1(92):92, 2005
      • 9 김진규, "좋은병원 만들기-의료 질 향상 사례", 서울한국의학원: 492-502, 2004
      • 10 장덕현, 조성겸, "리커트형 척도의 중간점은 필요한가?", 한국조사 연구학회, 18(4):1-24, 2017
      • 11 김재일, 이유재, 김주영, "서비스 산업의 현황에 대한 실증 연구", 한국소비자학회, 7(2):129-157, 1996
      • 12 노인철, "의료보험 제도의 당면과제와 개선방안", 보건복지포럼, 9: 10-16, 1997
      • 13 안성희, 한주랑, "간호사 만족이 병원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 지털정책학회, 13(9):419-430, 2015
      • 14 강황선, 이훈래, "고객만족도 결정요인의 새로운 차원 탐색", 한국 정책과학학회지, 12(4):155-178, 2008
      • 15 양정희, "공단 산재병원 간병 급여 지급체계의 개선", 근로복지공 단 산재보험연구센터iv:82, 2013
      • 16 박대진, "한국의 간병 문제와 포괄간호 서비스 도입", 월간복지동 향, 2015
      • 17 김현숙, 원종순, "입원환자와 간호사의 간호요구도 비교연구", 기본 간호학회지, 11(3):299-308, 2004
      • 18 곽월희, "포괄간호서비스 시범사업의 내용과 문제점", 의료정책포 럼, 2015
      • 19 유용, "고령화시대 노인복지정책 개선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 20 이근찬, "문재인 케어 정책에 대한 미디어 프레임 분석", 보건의료 산업학회지, 12(3):13-26, 2018
      • 21 김은숙, 박광희, 김형철, "일 호스피스 병동 입원환자와 가족의 요 구도", 한국 호스피스 완화의료 학회지, 10(3):137-144, 2007
      • 22 박관현, "병원경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 교, 2000
      • 23 김재섭, "한국 노인 간병 서비스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남 대학교, 2001
      • 24 김지우,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제도 도입에 따른 진료 경향", 건 강보험심사평가원 빅데이터부, 2018
      • 25 이민희, "우리나라 중소병원의 경영개선 방안. 석사학위논문", 동아 대학교, 2001
      • 26 남은우, 배성권, 박재용, "종합병원 입원환자와 외래환자의 만족도 요인 분석", 병원경영학회지, 10:26-44, 2005
      • 27 김도영, "인구 고령화와 경제성장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 울시립대학교, 2012
      • 28 김미청, "일 대학병원의 5년간 환자만족도 추이.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2009
      • 29 서정우, 서진우, "대형병원 환자 쏠림 심화…서울대병원 초진까지 한달", 매일경제 MBN 2019.10.02 17:27:24, 2019
      • 30 홍정림,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정책의 효과 분석.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 31 서정희, "의료서비스에 관한 소비자 만족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소비생활연구, 1993
      • 32 남경엽, 차재빈, 서상윤,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가 병원 진료수익 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지, 6:817-834, 2014
      • 33 이경아, 이선희,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 제공 병동의 운영현황 비 교연구", 근관절건강학회지, 25(3):196-203, 2018
      • 34 송균석, "의료서비스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척도개발에 관한 연 구", 한국상품학회:165-191, 2003
      • 35 공다현, 주영수, 조성현, 유선주, 송경자, 박인숙, 김연희, 김미순, "간호 간병통합서비스 제공을 위한 간호인력배치기준 개발", 간호 행정학회지, 23(2):211-222, 2017
      • 36 신현웅, 이상영, "미국의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제도 제공체계 및 사례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 37 어광수, "병원 서비스에 대한 환자만족도와 연관 요인. 박사학위 논문", 한림대학교, 1997
      • 38 박영미, 한아름, 태영숙, 최현주, 이지현, "중소종합병원 간호⋅간 병통합서비스 병동 환자의 입원경험", 한국간호행정학회, 24:396– 40 9, 2018
      • 39 강민 진, 홍정화, 최은영, 이찬희, 안금희, 손재이, 부은희, 박병규, 박민현, 김정남, "간호 간병통합서비스 이용환자의 낙상발생률 과 낙상의 특성", 보건행정학회지, 20(2):172-183, 2019
      • 40 박선경, "가맹본부의 공정성이 재계약 의도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호남대학교, 2019
      • 41 권의경, 최용일, 정인영, 신현웅, 김영학, "간호⋅간병서비스 안정 적 제도화를 위한 국외 출장보고서: 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 42 이규욱, "한국의 보건의료서비스 체계 만족도 관련 요인. 박사학 위논문", 동국대학교, 2016
      • 43 김기성, 이신호, 유문형, "의료기관의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참여 유형과 영향 요인 연구", 보건의료산업학회지, 11(4):239-250, 2017
      • 44 왕미숙, 정현철, 임난영, "일개 공공병원의 의료서비스 만족도와 재이용의사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4(12):6275- 6283, 2013
      • 45 고흥길, 안명옥, "환자와 보호자를 위한 새로운 간병 서비스 구축 방안 대 토론회", 2006
      • 46 황나미, "김대중 국외출장보고서 (프랑스, 독일의 간호서비스 제 공현황)",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 47 권경자, 이현숙, 유재국, 유인자, 신덕신, 성영희, 김정아, 김문실, 김도형,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이용한 간호단위별 간호인력 산 정에 관한", 연구임상간호연구, 11(2):103-119, 2006
      • 48 황나미, "의료기관 입원서비스 질 보장을 위한 포괄간호서비스 확 대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86:.1-8, 2016
      • 49 엄영숙, 최원철, "의료보험제도 하의 진료비 결정요인에 대한 계 량경제학적 분석", 전북대학교 산업경제 연구소:193-209, 1998
      • 50 염한솔, "의료기관 종별 환자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석사 학위논문", 고려대학교, 2019
      • 51 조현주, "환자의 의료서비스 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석사 학위논문", 중앙대학교, 2009
      • 52 지은희, "병원 고객만족도 평가의 최적화 방안에 관한 연구. 박사 학위논문", 인제대학교, 2015
      • 53 이내영, 허미진, 한지영, "입원환자와 간호사의 간호요구도 및 간 호서비스 만족도 비교연구",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6(1):160- 177, 2015
      • 54 윤길순, "병원 간호 등급에 따른 간호서비스 질과 직무 만족도. 박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2010
      • 55 이채경, "의원급 의료기관 간 경쟁이 진료행태에 미치는 영향. 박 사학위논문", 가천대학교, 2018
      • 56 김현주, "간호ㆍ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일상생활 경험. 박 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2017
      • 57 이혜재, "가구 과부담 의료비의 결정요인과 빈곤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015
      • 58 강인호, 윤경일, "병원 서비스 속성이 환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의 비대칭성과 중요도", 한국호텔외식관광학회, 18(3):267-280, 2009
      • 59 노현승, 이해규, 이철민, 이영희, 여은영, 양봉민, 박연서, 박신영, 박선희, "병원 입원환자가 인식하는 의료의 질과 만족도, 충성도간의 구조분석", 대한보건학논집, 42(2):109-119, 2005
      • 60 김양훈, 조철호, "의료서비스품질이 진료 가치와 환자만족에 미치 는 영향에 관한 연구", 보건행정학회지, 16(1)117-139, 2006
      • 61 강희정, 홍재석, 하솔잎, 이은주, 박종헌, 김소운, 고제이, "2018 한국 의료 질 보고서 – 한국 의료시스템의 성과 평가와 정책 과 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8
      • 62 이승연, "소비자의 구전 성향이 레스토랑 추천의향에 미치는 영향 력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융합학회, 41(1):1005-1034, 2019
      • 63 박영대, "치과 의료서비스 질이 재이용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 인. 박사학위논문", 대구한의대학교, 2011
      • 64 조승대, "종합병원의 의료서비스 질 측정과 고객 만족에 관한 연 구.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2000
      • 65 김미녀, "의료서비스에서 환자만족의 선 후행변수 관계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경상대학교, 2009
      • 66 이길호, "중규모 병원의 마케팅 전략 수립을 위한 고객 만족도 조 사. 석사학위논문", 경원대학교, 2010
      • 67 김성재, 김진현, "박은태, 정수용, 이은희 간호 간병통합서비스 운영성과 및 향후 정책 방향", 간호행정학회지, 23(3):312-322, 2017
      • 68 김두복, 장대성, 박주영, "한국 패스트푸드점 서비스 품질 측정에 있어서 SERVQUAL과 SERVPERF의 비교연구", 한국경영과학회, 19(2):59-73, 2002
      • 69 최철재, "SERVPERF를 이용한 병원 서비스 품질 평가 –대전, 충남 지역 병원을 중심으로", 동중아시아경상학회, 16(1):138-156, 2005
      • 70 곽숙희, 선연옥, 서지민, 권혜진, "입원환자의 간호서비스 만족도, 병원 재이용 의사와 추천 의사에 관한 연구", 글로벌 건강과 간 호, 1(2):93-101, 2011
      • 71 정길영, "서비스 품질과 제품품질이 고객 신뢰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경남대학교, 2019
      • 72 김정남, "간호 간병통합서비스 병원간호사의 간호 전문직관 및 역할갈등.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2017
      • 73 이금자, "병원 조직 내 간호부서의 위치에 따른 간호 관리 기능비 교연구.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1998
      • 74 황선주, "명품 구매 시 품질 인식이 고객 만족과 고객추천에 미치 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부산외국어대학교, 2016
      • 75 한병권, "의료인에 대한 환자만족도 및 병원 재방문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 76 신은규, 한용준, 정기택, 이훈영, "입원 기간에 따른 의료서비스 품질요인이 고객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병원경영학회 지, 13:44-68, 2008
      • 77 위휘수, "의료서비스품질이 병원의 재이용의도 및 경영성과에 미 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목포대학교, 2019
      • 78 김윤희, "요양병원 입원환자의 환자 경험 만족도가 추천의도에 미 치는 영향. 석사하위논문", 공주대학교, 2018
      • 79 김우영, "약국의 입지 특성 및 서비스 품질이 약국의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벤처대학교, 2013
      • 80 김희전, "SERVQUAL과 SERVPERF를 이용한 대학 도서관 서비스 품질 평가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2003
      • 81 임창모, "방문객의 지각된 가치가 만족도와 재방문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2007
      • 82 최희정, "병동 유형별 입원환자의 간호서비스 만족도 및 재이용의 사 비교연구. 석사학위논문", 삼육대학교, 2014
      • 83 윤아영, "외국인 환자의 병원선택요인이 만족도 및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가천대학교, 2011
      • 84 노진옥, "의료서비스 가치의 의료소비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 한 실증연구. 박사학위논문", 경성대학교, 2002
      • 85 김수배, 윤성욱, "의료서비스에서 물리적 환경, 공정성, 지각된 대 기시간이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세계마케팅과학학회지, 12:1 35-154, 2003
      • 86 이춘길, "직무요구-직무자원과 조직 유효성 및 조절변수의 영향력 에 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2015
      • 87 왕진우, "DEA모델을 적용한 종합병원의 효율성과 의료서비스 질 적 수준의 관련성.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2019
      • 88 정혜련, "국내 저비용 항공사의 선택속성과 위험지각이 추천의도 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2011
      • 89 공장호, "요양병원의 간병 서비스 품질이 이용만족도와 추천의도 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부경대학교, 2018
      • 90 권진, 서원식, 노미정, "환자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의료서비스 품질요인 : A 중소병원 입원 외래환자 간 차이", 디지털융복합연 구, 11(2):331-339, 2013
      • 91 김관옥, "국민건강보험 보장성 강화정책이 가계민간 의료보험료 지출에 미친 영향.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2016
      • 92 장명숙, "어린이집의 질과 유아학습, 학부모 이용만족 및 추천의 도 간의 구조관계. 박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2015
      • 93 박수익, "병원 이미지와 의료서비스 품질이 재이용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2009
      • 94 김소운, 신영석, "보건 의료인력 실태조사-미국 보건의료인력 주 요 쟁점파악 및 관리방안탐색 출장보고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8
      • 95 최귀선, "의료서비스 질이 환자만족도, 서비스 가치, 재이용 의사 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분석",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
      • 96 임영임, "의료서비스 품질이 고객 만족, 몰입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가천대학교, 2003
      • 97 김민호, "20대 국회 마지막 국정감사 대형병원 쏠림현상 심각… “서울대병원 초진 29일 기다려야”.", 한국일보, 2019
      • 98 권영미, "추천 및 재이용 의향에 미치는 고객 만족 영향력의 동태 적 변화와 기여요인. 박사학위논문", 카톨릭대학교, 2017
      • 99 김민선, "물리적 서비스 환경이 고객감정을 통한 추천의도에 미치 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2014
      • 100 안은주, "커피전문점의 서비스 품질, 고객 만족 및 장기지향성의 관계-고객지식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 101 이영희, "간호 간병통합서비스 병동과 일반병동 퇴원환자의 재원 일수와 재입원율 비교. 석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2019
      • 102 조형래, "병원의 의료서비스 특성이 관계품질을 매개로 의료서비 스 성과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2017
      • 103 박아림, "항공사의 항공화물 서비스 품질 평가에 관한 연구 : SERVQUAL과 SERVPERF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 교, 2013
      • 104 정서안, "의료기관 서비스가 고객의 재방문의도 및 추천의도에 미 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2012
      • 105 강춘한, "의료서비스의 품질 핵심 요인이 고객의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인제대학교, 2012
      • 106 전주섭, "의료서비스품질이 서비스 가치, 고객 만족, 재이용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동신대학교, 2010
      • 107 김진수,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노인환자의 치과만족도가 재 이용 의사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2013
      • 108 안영재, "우리나라 노인복지정책의 발전 방안에 대한 비교연구 - 영국 미국 일본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2009
      • 109 김창석, "요양병원 간병 서비스 품질이 소비자 만족도, 재구매의 도,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대전대학교, 2011
      • 110 연영란, "포괄간호서비스 병원 시범사업이 간호사의 간호업무성 과, 직무만족 및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16(1):317-323, 2015
      • 111 최승만, "호텔 레스토랑의 물리적 환경지각이 감정 반응, 고객만족, 재구매의도 및 추 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세종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 112 오선희, "간호 간병통합서비스 병동 입원환자의 간호요구도 및 간호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조사. 석사학위논문", 신라대학교, 2017
      • 113 윤숙희, 정수미, "간호⋅간병서비스병동과 일반병동 입원 환자의 간호만족도와 간호사의 업무 스트레스 비교조사연구", 간호행정학 회지, 23(3):229-238, 2017
      • 114 강정인, "산재 환자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근로복지공단 산재병원 입원환자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2011
      • 115 김문정, 이선옥, "간호ㆍ간병통합서비스병동 입원환자 보호자의 간호서비스 만족도가 병원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보건의료 산업학회, 13(2):15-25, 2019
      • 116 박광민, "종합병원 이용자의 병원선택요인이 고객 만족과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인제대학교, 2015
      • 117 김태진, "의료서비스품질이 환자만족, 몰입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병원유형별 비교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호남대학교, 2018
      • 118 지경자, "환자가 인지하는 의료서비스 질이 지각하는 가치와 만족 도 및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2010
      • 119 김정현, 이인영, 오승진, 신수진, 배성희, "종합병원 간호⋅간병통 합서비스 병동 입원환자와 간호사의 환자 중심간호에 대한 인식 과 환자 중심성 경험", 대한병원경영학회, 24(3):48-60, 2019
      • 120 심인옥, 황은정, "지역주민이 인지하는 공공병원 의료의 질, 이미 지, 역할수행, 만족도, (재)이용의향, 타인추천 의향 구조모형", 한 국간호과학회, 46(1):118-127, 2016
      • 121 장혜정, "약국의 서비스 품질이 고객 만족과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SERVQUAL모형과 SERVPERF모형의 비교. 박사학위논문", 경남대학교, 2013
      • 122 정미화, "커피전문점의 서비스 품질과 메뉴품질, 관계품질 및 장 기지향성 간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경성대 학교, 2017
      • 123 한태규, "장기입원환자와 단기입원환자의 만족도 비교에 관한 연 구-일 대학병원 내과 병동 환자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경희 대학교, 2000
      • 124 김혜수, "스포츠시설의 서비스 품질을 측정하는 도구로서 serviqual 과 servperf의 내적 구조 검정 및 유용성 비교. 석사학 위논문", 성균관대학교, 2013
      • 125 강현수, "의료서비스 품질, 고객 만족, 병원 애호도 간 상호관련성 과 서비스 가치 및 명성의 매개 역할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 문", 위덕대학교, 2014
      • 126 김아름, "헤어살롱의 지각된 서비스 품질, 물리적 환경과 재방문 및 추천의도의 관계에서 브랜드 인지도의 매개 효과 연구. 석사 학위논문", 서경대학교, 2019
      • 127 백상운, "중소벤처기업 지식재산 경영 컨설팅 서비스 품질과 지식 재산 경영 활동 간의 관계분석을 통한 경영성과 향상 방안. 석사 학위논문", 건국대학교, 2016
      • 128 손은교, "치과 의료서비스 질이 환자만족도, 명성, 재이용, 구전에 미치는 영향 : 기관 신뢰, 의사 신뢰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박 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2019
      • 129 송유진, 유현정, "식품 구매 시 소비자의 지각된 위험이 안전의식 과 안전 추구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의 구조모형분석 : 서울과 상 해 소비자를 중심으로", 한국소비자학회, 19(3):215-244, 2008
      • 130 박상혁, "포괄간호서비스 병동과 일반병동에서 서비스 품질이 입 원환자의 고객가치 인식과 고객 만족 및 재이용 의사에 미치는 영향 비교. 석사학위논문", 인제대학교, 2016
      • 131 김상경,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와 일반 병동 간호사 의 직무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전문직 자아개념이 직무만족에 미 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강릉원주대학교, 2018
      • 132 김성수, "서비스 관계에 따른 서비스 품질, 서비스 가치, 감정 반 응 및 명성이 고객 만족과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 구: 의료서비스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