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OPUS
KCI등재
SCIE
미국흰불나방에서 난황전구물질의 합성과 흡수에 관한 면역세포화학적 연구 = Immunocytochemical Study on Synthesis and Uptake of Vitellogenin in Hyphantria cunea
The yolk protein synthesis in the fat body and uptake on storage processes in ovary were studied by electronmicroscopic immunogold - labelling method, using polyclonal antibody against yolk protein 1(yp-1) and yolk protein 3 (yp-3) (vitellogenin) from mature eggs of Hyphantria cunea. Gold particles were immunosensitively labelled on protein granules in fat body cells, in that stage which it was not yet observed the yolk formation in the ovary. As the yolk formation began, gold particles were altenatively labelled on the ovarian sheath, oocyte membrane, micropinocytotic vesicles, and yolk granules. During the yolk formation, the intercellular space between follicle cells became wider and yolk proteins were more actively absorbed into the oocyte. Noticeably, in order fur formation of the large proteoid yolk spheres, micropinocytic vesicles fused together into a vacant large membraneous sphere and then filled with several Proteins, including yp-1 and 3.
더보기미국흰불나방의 성숙란에서 추출한 난황단백질 1,3(yp-1, yp-3)(Lee et al., 1995)의 항체를 이용하여 이 단백질의 합성장소인 지방체와 난모세포에서 흡수, 저장과정을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금입자 면역표지법 (electronmicroscopic immune-gold labelling)으로 살펴보았다. 난황형성이 시작되기 직전의 지방체세포에 존재하는 단백질과립들에서 yolk protein항체에 의한 면역반응이 관찰되었고, 난황형성이 시작되면 난소소관 초(sheath), 미세음세포 소포들, 그리고 난황과립 등에서 양성 반응이 나타났다. 난황형성이 활발할수록 여포세포간 간극은 넓어지면서 난모세포막에서의 난황전구물질의 흡수도 활발해졌다. 단백질성 난황구의 형성은 작은 소포들이 서로 융합되어 커다란 막구조물을 형성한 다음 여기에 난황단백질 1, 3를 포함한 여러가지 단백질이 채워지고 있었다.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