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게일의 한국고소설 번역과 그 통국가적 맥락 -<게일 유고>(Gale, James Scarth Papers) 소재 고소설관련 자료의 존재양상과 그 의미에 관하여- = Special Topic -Translating Cultural Context : Gale`s Translation of Old Korean Fictions and Its Trans-National Context -Aspects of Existence and Significance of Korean Classical Novels-Related Material Held in Gale, James Scarth Paper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Comparative Korean Studies)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4
작성언어
-주제어
KDC
80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1-53(43쪽)
KCI 피인용횟수
13
제공처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James Scarth Gale’s (1863-1937, who stayed in Korea 1888-1927)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al Novels and ‘trans-national context’ surrounding his translation. Gale, a protestant missionary who did mission work in Korea for 40 years, translated Korean classics, such as <Choonhyang-jeon> and <Goowoonmong>, and introduced them to Western cultures. Gale, James Scarth Papers left in Thomas Fischer rare book library, Toronto University, Canada, comprise a number of unpublished English versions of Korean Classical novels. The most important material and essence of Gale, James Scarth’s Papers is his autographic <Diary>, totally 19 volumes of book-type material about 200 pages for each. Especially, Vol. 18~20 of the <Diary> show his translation of a number of Korean Classical Novels in wood-block commercial edition, which is assumed for Gale to have collected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hrough these materials, this study was aimed to look into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Gale’s two practices - missionary work and translation of old Korean fictions. First, the researcher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his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al Novels featured in Gale’s Diary. Gale’s English version of <Woonyeong-jeon>, <Choonhyang-jeon>, <Shimchung-jeon> and <Tosaeing-jeon> gathered in <the Diary> leaves the trace of his intensive proofreading. Gale, James Scarth’s Papers also include another proofread manuscript related to the four pieces of translation, which he prepared with a typewriter. This is the material Gale prepared in printing type (re-translated) based on his handwritten manuscript Diary. That is, this series of translations is not just an accumulation of his first translation work but the material produced by Gale’s trouble for its print or publication through proofreading and re-translation. In his efforts lies Gale’s attempt after 1919 to preserve the civilization of ‘the old Korea’ prior to the modernization in 1910’s by translating and publishing Korean Classical Novels. Second, what meaning can we find in Gale’s engagement in translating Korean Classical Novels after 1917 from his publications and literary remains? Gale’s translation work answered the history for Korean Classical Novels to be established into the classics of the modern age and the trend for the language in Korean Classical Novels to be changed into a classical language. It is because his translation job is characterized by an effort to translate the original literally and faithfully to its sensibility on the horizon of literary work translation. Unlike other foreigners stationed then in Korea, he could correspond to the changing status of Korean Classical Novels like this, revealing a high level of translation hard to be seen for those days. It owed to his experience of Korea in collecting and translating Korean Classical Novels in Korea from the end of the 19th century. It was impossible for him to adhere to the position as a Western reader who internalized the modern literature because he was a protestant missionary who had to translate the Bible, hymns, etc. into Korean in the shoes of Korean readers in the midst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from the end of the 19th to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For him, Korean Classical Novels were not only the textbook for understanding Koreans and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but also an important literary form through which he could deliver the gospel to Koreans.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KCI후보 |
2015-11-09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Comparative Korean Studies ->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9 | 0.49 | 0.4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6 | 0.49 | 0.818 | 0.06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