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李殷直による春香伝の改作に関する考察 -李殷直著新編·春香伝を中心として- = A Study on the Rechauffe of ‘Chunhyangjeon’ by Lee Eun-jik - Focussing on Lee Eun-jik's New Edition of Chunhyangjeon -
저자
YOSHIDA YUKO (전남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23-240(18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本稿は、春香伝の日本語翻訳に関する考察に関して、1945年以降に出版された小説に注目し、日本語翻訳において、先行研究にない李殷直の処女出版である1948年新編·春香伝を分析した。近代の日本人による朝鮮の文化を紹介するための春香伝の日本語翻訳と比較して、1948年新編·春香伝は、在日朝鮮人作家、李殷直よる春香伝の改作という画期的な日本語文學であったといえる。春香や、夢竜や、房子を近代的な意識の持主にしたてて描いたという李殷直の言葉のとおり、封建的倫理観から新しい倫理観へ覚醒された、自由解放のため悪に対する義憤を持った主人公たちを登場させた。その改作の重要な要点は、痘痕先生という新しい登場人物を追加したことにある。支配階級に抵抗し、時の国王に反逆する設定は、いままでの春香伝の日本語翻訳においては、みられなかった特別なものであった。このような設定をしたのは、真実の暗行御使になることにより、反逆者の道を歩むしかない夢竜の苦痛と、在日朝鮮人として日本在住のなかで、他者として存在する李殷直の苦痛が共鳴したゆえではなかったかと思われる。
더보기This paper examines the Japanese translation of Chunhyangjeon. Focusing on novels published after 1945, this study analyses Lee Eun-jik's maiden publication, the 1948 New Edition of Chunhyangjeon, which has not been previously studied. Compared to translations by modern Japanese to introduce Korean culture, the 1948 New Edition of Chunhyangjeon as a rechauffe of Chunhyangjeon by Korean-Japanese writer Lee Eun-jik is considered a groundbreaking piece of Japanese literature. As Lee Eun-jik said, Chunhyang, Mongryong, and Bangja were portrayed as characters with a modern consciousness, and the novel presented these protagonists as the ones who were awakened from feudal ethics to new ethics and had a sense of indignation against evil for the sake of freedom and liberation.
An important point of the rechauffe was the addition of a new character named Mr. Duchang. The setting of rebellion against the king of the day in resistance to the ruling class was something that had not been seen in previous Japanese translations of Chunhyangjeon. I think this setting was chosen because it resonated with Mongryong's pain of being forced to walk the path of a traitor by becoming a true secret royal inspector and Lee Eun-jik's pain of being an outsider in Japan as a Korean living in Japan.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