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상세검색

    인기검색어

      KCI등재

      햇볕정책 이후 통일담론의 지형 = Divergence in Unification Discourses since the Sunshine Policy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This paper presents a new understanding of discourses on unific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The widely shared understanding is that the South-South conflicts are caused by different views on North Korea, ideological clashes between the left and right, or different policy orientations towards North Korea. Challenging this perspective, We identify the main fault line of unification discourses in the different attitudes towards North Korea.
      Monosubjective discourses are based upon the attitude which treats North Korea as the "object" of the integration, not a coequal partner in the unification process. They conceive of North Korea as abnormal, which is the root cause of all the problems of the division on the Korean peninsula. Hence the normalization of North Korea is the right answer to the right unification course. In contrast, allelosubjective discourses recognize North Korea as an equivalent partner in the unification process as well as a sovereign entity in itself. They don't ascribe the division on the peninsula to North Korea alone, but try to find the root cause of problems i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two Koreas. So the normalization of the relations between the two Koreas is the right answer to the unification by consensus.
      This analysis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literature which finds the causes of the South-South conflict in contrasting views on North Korea, debates between the left and the right, different preferences about policies towards North Korea, etc. We argue that the real, more fundamental, fault line dividing people in South Korea lies in their divergent attitudes towards North Korea. What is needed is a dialogue between two types of unification discourses, one monosubjective and the other allelosubjective.

      더보기
      • 1 조성환, "흔들리는대한민국, In 2008 뉴라이트 한국 보고서: 부활하는 대한민국,다시 뛰는 한국인을 위한 구상" 말과 창조사 12-35, 2008
      • 2 황장엽, "황장엽 비록 공개: 어둠의 편이 된 햇볕은 어둠을 밝힐 수 없다" 월간조선사 2001
      • 3 손호철, "현대한국정치: 이론과역사1945-2003" 사회평론 2003
      • 4 제성호, "햇볕정책의반성과대안모색: 인권 인도지원분야를중심으로" 175-208, 2010
      • 5 남궁곤, "햇볕정책의 일관성과 여론 분열에 관한 실증적 연구" 극동문제연구소 19 (19): 5-154, 2003
      • 6 이종석, "한반도평화통일론" 한울 2012
      • 7 조민, "한반도평화체제와통일전망" 해남 2007
      • 8 이서행, "한반도통일론과통일윤리"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2
      • 9 제성호, "한반도통일과 재야단체 통일론의 실체" 자유기업원 2007
      • 10 구갑우, "한반도적 맥락의 비판적 평화ㆍ안보담론: ‘평화국가담론’ 재론" 극동문제연구소 24 (24): 95-124, 2008
      • 11 정영철, "한반도의‘평화’와‘통일’: 이론의 긴장과 현실의 통합" 111-144, 2012
      • 12 백낙청, "한반도식통일, 현재진행형" 창비 2006
      • 13 윤영관, "한반도대내외정치환경변화와대북정책, In 남북경제협력 정책과 실천과제" 한울 5-17, 2009
      • 14 임혁백, "한반도는 통일 독일이 될 수 있을까?" 송정문화사 13-48, 2010
      • 15 양문수, "한반도경제 구상: 개방적 한반도경제권의 형성, In 한반도 경제론: 새로운 발전모델을 찾아서" 창비 150-168, 2007
      • 16 이수훈, "한반도 통일론의 재구상" 선인 2012
      • 17 박순성, "한반도 통일과 민족, 국민국가, 시민사회" 북한연구학회 14 (14): 77-104, 2010
      • 18 남성욱, "한반도 상생 프로젝트: 비핵 개방 3000 구상" 나남 169-183, 2009
      • 19 남성욱, "한반도 상생 프로젝트: 비핵 개방 3000 구상" 나남 21-48, 2009
      • 20 한반도선진화재단, "한반도 블루오션 선진통일" 한국학술정보(주) 2013
      • 21 이호재, "한국적 국제정치 이론의 모색 : 해방기 정치지도자들의 대외인식과 외교논쟁 사례를 중심으로(1945~1948)" 화평사 2005
      • 22 구갑우, "한국의평화외교: 평화연구의시각, In 한반도 경제론: 새로운 발전모델을 찾아서" 창비 86-106, 2007
      • 23 한관수, "한국의 보수와 진보의 대북관에 대한 연구" 한국정치학회 46 (46): 63-88, 2012
      • 24 임수환, "한국사회의 통일담론과 평화통일전략"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8 (8): 163-186, 2007
      • 25 장영권, "평화의 새로운 발명과 확장: 남북 ‘평화지대론’을 중심으로" 한국국제정치학회 51 (51): 105-134, 2011
      • 26 서보혁, "통일한반도를 향한 꿈 코리안 드림" 지구촌평화연구소 100-146, 2012
      • 27 강원택, "통일이후의한국민주주의" 나남 2011
      • 28 박명림, "통일이후 통일을 생각한다" 푸른역사 13-51, 2011
      • 29 지만원, "통일의지름길은영구분단이다" 자작나무 1996
      • 30 김형찬, "통일의가치와통일철학의성찰" 61-86, 2012
      • 31 이병수, "통일의 당위성 담론에 대한 반성적 고찰"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1 (21): 355-388, 2010
      • 32 김성민, "통일을위한인문학의역할, In 소통,치유, 통합의 통일인문학" 선인 13-27, 2009
      • 33 이종석, "통일을보는눈: 왜통일을해야하느냐고묻는이들을위한통일론" 개마고원 2012
      • 34 남주홍, "통일은없다: 바른통일에대한생각과담론" 랜덤하우스중앙 2006
      • 35 박관용, "통일은산사태처럼온다" 경덕출판사 2006
      • 36 김석우, "통일은빠를수록좋다" 기파랑 2010
      • 37 김학성, "통일연구 방법론 소고: 동향, 쟁점 그리고 과제" 통일연구원 17 (17): 203-231, 2008
      • 38 권혁범, "통일에서탈분단으로:‘ 민족동질성회복’론및‘민족번영’론에대한비판적 성찰" (12) : 154-180, 2000
      • 39 이병수, "통일에 대한 인문학적 패러다임" 선인 15-36, 2011
      • 40 조민, "통일비전 개발 : 통일대계연구 남북합의통일 마스터플랜" 늘품 2011
      • 41 조성환, "통일론의비판적지식사회론: 민족패러다임의비판적인식" 3 (3): 249-269, 2004
      • 42 박형중, "통일대비를 위한 대북통일정책 모색" 통일연구원 2012
      • 43 조혜정, "통일공간과문화: 비판적재해석" (1) : 69-87, 1997
      • 44 한운석, "통일 독일의 사회₩문화적 통합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 In 한반도는 통일 독일이 될 수 있을까?: 베를린 장벽 붕괴 20년이한반도 통일에 주는 교훈" 송정문화사 241-274, 2010
      • 45 건국대학교통일인문학연구단, "코리언의분단 통일의식" 선인 2012
      • 46 서보혁, "코리아 인권" 책세상 2011
      • 47 이우영, "체제수호적 통일과 반체제적 통일, 그 동일 구조를 넘어서" 6 (6): 205-216, 2003
      • 48 최용섭, "천안함 사건 이후 나타난 남남갈등에 대한 연구"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6 (26): 113-139, 2011
      • 49 이진우, "중간에 서야 좌우가 보인다. 대한민국 정치이념 지형도" 책세상 2012
      • 50 조갑제, "종북백과사전: 대한민국의심장부로들어온종북좌파의인맥 정책 사건 조직 감별 퇴치법" 조갑제닷컴 2012
      • 51 변창구, "제6장 한국의 대북정책에 있어서 남남갈등의 요인 - 특성과 함의 -" 한국통일전략학회 11 (11): 173-209, 2011
      • 52 김학노, "정치, 아(我)와 비아(非我)의 헤게모니 투쟁" 한국정치학회 44 (44): 31-57, 2010
      • 53 유호열, "정치 외교분야에서의북한급변사태: 유형과대응방안" 13-48, 2007
      • 54 한반도평화포럼, "잃어버린5년, 다시포용정책이다" 삼인 2012
      • 55 박세일, "위대한선진행복한통일" 한반도선진화재단 2011
      • 56 강만길, "우리통일, 어떻게할까요" 당대 2003
      • 57 조갑제, "우리는 왜 핵폭탄을 가져야 하는가?: 자위적 핵무장론" 조갑제닷컴 2011
      • 58 이상우, "우리가바라는통일" 기파랑 2007
      • 59 박명규, "연성복합통일론"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소 2012
      • 60 유재건, "역사적실험으로서의6 15시대" 34 (34): 274-290, 2006
      • 61 전일욱, "역대 한국정부의 통일방안과 21세기 한국의 새로운 통일방안구상"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10 (10): 105-126, 2010
      • 62 이병수, "소통, 치유, 통합의 통일인문학" 선인 29-41, 2009
      • 63 최용환, "세계화, 국가, 시민사회" 이매진 2006
      • 64 이서행, "새로운북한학: 분단시대통일문화를위하여" 백산서당 2002
      • 65 법륜, "새로운100년: 오연호가묻고법륜스님이답하다, 가슴을뛰게하는 통일 이야기" 오마이북 2012
      • 66 이일영, "새로운 진보의 대안, 한반도경제" 창작과 비평사 2009
      • 67 이재호, "사회통합형대북정책" 나남 2013
      • 68 전태국, "사회통합과한국통일의길: 내적장벽을넘어서" 한울 2013
      • 69 구갑우, "비판적평화연구와한반도" 후마니타스 2007
      • 70 이남주, "분단체제 하에서의 평화담론 : 평화국가의 가능성과 경로를 중심으로" 한국사회과학연구회 (87) : 76-104, 2013
      • 71 박명림, "분단질서의구조와변화: 적대와의존의대쌍관계동학, 1945-1995" 3 (3): 41-79, 1997
      • 72 박영균, "분단의아비투스에관한철학적성찰, In 통일에 대한 인문학적 패러다임" 선인 123-158, 2011
      • 73 홍석률, "분단의 히스테리-공개문서로 보는 미중관계와 한반도-" 창비 2012
      • 74 선학태, "분단과 통합: 외국의 경험적 사례와 남북한" 한울 아카데미 309-387, 2006
      • 75 임채완, "분단과 통합: 외국의 경험적 사례와 남북한" 한울 아카데미 11-39, 2006
      • 76 박흥기, "분단 재조명" 백산서당 33-107, 2009
      • 77 김태우, "북핵을넘어통일로" 명인문화사 2012
      • 78 김근식, "북한인권개선을 위한 합리적 접근" 사회통합위원회 2011
      • 79 박재규, "북한의 딜레마와 미래" 법문사 1-18, 2011
      • 80 박관용, "북한의 급변사태와 우리의 대응" 도서출판 한울 2007
      • 81 김성욱, "북한을선점하라!" 세이지 2010
      • 82 이수혁, "북한은 현실이다: 전 6자회담 수석대표가 말하는 통일외교 전략" 21세기북스 2011
      • 83 백승주, "북한급변사태시군사차원대비방향" 57-81, 2007
      • 84 박명규, "북한국제화 2017"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 85 이우영, "북한관과남남갈등: 여론조사와신문기사를중심으로, In 남남갈등: 진단 및 해소방안" 경남대학교 출판부 101-131, 2004
      • 86 윤철기, "북한 문제와 남남 갈등 : 기원과 전개"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2
      • 87 김근식, "북한 급변사태와 남북연합: 통일과정적 접근" 북한연구학회 13 (13): 57-75, 2009
      • 88 박순성, "북한 경제와 한반도 통일" 풀빛 2003
      • 89 하영선, "북한 2032 : 선진화로 가는 공진전략" 동아시아연구원 2010
      • 90 복거일, "보수는무엇을보수하는가" 기파랑 2011
      • 91 최장집, "민주주의의민주화: 한국민주주의의변형과헤게모니" 후마니타스 2006
      • 92 이범웅, "민족주의의 관점에서 본 바람직한 남북관계와 통일정책에 대한 고찰" 한국윤리학회 1 (1): 309-335, 2012
      • 93 김귀옥, "민족과통일" 선인 285-317, 2010
      • 94 박종철, "민족공동체통일방안의 새로운 접근과 추진방안: 3대 공동체 통일구상 중심" 통일연구원 2010
      • 95 권태욱, "모든통일은좋은가" 바른책들 2012
      • 96 김누리, "동 서독사회문화갈등의원인, In 머릿속의장벽: 통일이후 동 서독 사회문화 갈등" 한울 28-61, 2006
      • 97 김영호, "대한민국과 국제정치" 성신여자대학교 출판부 2012
      • 98 우베 뮐러, "대재앙, 통일: 독일 통일로부터의 교훈" 문학세계사 2006
      • 99 김근식, "대북포용정책의 진화를 위하여" 한울 2011
      • 100 오경섭, "대북정책의 이해" 명인문화사 2010
      • 101 남궁영, "대북정책의 국내 정치적 갈등: 쟁점과 과제" 7 (7): 79-101, 2001
      • 102 오경섭, "대북사회문화교류정책" 139-174, 2010
      • 103 동용승, "대북경제정책, In 통일을 준비하는 사람들" 또 하나의문화 111-137, 2010
      • 104 김상봉, "다음 국가를 말하다:공화국을 위한 엘세 가지 질문" 웅진지식하우스 2011
      • 105 오승렬, "다시 만나는 남과 북" 노스보스 2012
      • 106 오승렬, "다시 만나는 남과 북" 노스보스 65-108, 2012
      • 107 이수정, "다문화주의와통일담론" 87-110, 2012
      • 108 조성렬, "뉴한반도비전: 비핵 평화와통일의길" 백산서당 2012
      • 109 백학순, "노태우정부와김영삼정부의대북정책비교" 세종연구소 2012
      • 110 주봉호, "남한사회 남남갈등의 양상과 해소방안 모색" 한국동북아학회 17 (17): 145-169, 2012
      • 111 제성호, "남북한관계론" 집문당 2010
      • 112 조혜정, "남북통일의문화적차원:‘ 북조선’과‘남한’의문화적동질성 이질성논의와 민족주의 진보주의 담론, In 통일사회로 가는 길" 오름 29-71, 1996
      • 113 김세균, "남북정상회담 이후의 남북한관계 및 남북한사회" (5) : 161-188, 2000
      • 114 이서행, "남북교류협력의 현황분석과 통합번영의 전망, In 분단 재조명: 대립과 갈등을 넘어 통합 번영방안" 백산서당 109-196, 2009
      • 115 정영철, "남북관계와바라봄의정치‘: 시선의정치’와정당성경쟁, In 남북한관계와국제정치이론" 논형 47-80, 2012
      • 116 주봉호, "남북관계와 한반도통일" 세종출판사 2009
      • 117 김형준, "남북관계와 국내정치의 갈등구조: 통일담론을 중심으로" 40 (40): 311-330, 2000
      • 118 한반도포럼, "남북관계 3.0: 한반도 평화협력프로세스" 중앙일보 통일문화연구소 2012
      • 119 김영윤, "남북경협 측면에서 본 새로운 대북정책 추진의 필요성, In 남북경제협력정책과실천과제" 한울 61-112, 2009
      • 120 박명규, "남북경계선의 사회학" 창비 2012
      • 121 구갑우, "남북 관계, In 좌우파사전: 대한민국을 이해하는 두 개의 시선" 위즈덤하우스 133-162, 2010
      • 122 조한범, "남남갈등해소방안연구" 통일연구원 2006
      • 123 강원택, "남남갈등의이념적특성에대한경험적분석, In 남남갈등: 진단및해소방안" 경남대학교출판부 55-100, 2004
      • 124 박찬석, "남남갈등, 대립으로끝날것인가" 인간사랑 2001
      • 125 서울대학교행정대학원통일정책연구팀, "남과북뭉치면죽는다" 랜덤하우스중앙 2005
      • 126 김영환, "김영환, 시대정신을말하다" 시대정신 2012
      • 127 김영호, "국익우선의 외교₩안보: 실용주의, 국제공조, 연계포용원칙의전략화, In 2008 뉴라이트 한국 보고서: 부활하는 대한민국, 다시 뛰는 한국인을 위한구상" 말과 창조사 238-277, 2008
      • 128 권숙도,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본 남남갈등의 이해" 사회과학연구소 28 (28): 51-69, 2012
      • 129 전성훈, "과거정부10년간대북정책총괄평가" 1-15, 2010
      • 130 이수훈, "‘제2판’급변사태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29-57, 2012
      • 131 김용옥, "[단행본] 태권도 철학의 구성원리" 통나무 23-182, 1994
      • 132 이승환, "6월항쟁20년, 새로운통일담론을위하여" 35 (35): 332-347, 2007
      • 133 서동만, "6 15시대의남북관계와한반도발전구상" 34 (34): 217-230, 2006
      • 134 박명규, "42010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소 2010
      • 135 김영호, "21세기한반도안보환경과새로운대북정책의모색" 17-47, 2010
      • 136 이호재, "21세기통일한국의이상론" 화평사 2003
      • 137 임현진, "21세기통일한국을향한모색: 분단과통일의변증법"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5
      • 138 백영철, "21세기의 남북관계: 평화 협력 통일, In 21세기 남북관계론" 법문사 1-19, 2000
      • 139 홍현익, "21세기 대한민국의 한반도 대전략 : 북한문제 해결과 평화구축 및 통일전략" 한울 2012
      • 140 조형근, ", In 좌우파사전:대한민국을 이해하는 두 개의 시선" 위즈덤하우스 24-74, 2010
      • 141 김학노, "'서로주체적 통합'의 개념" 극동문제연구소 27 (27): 29-61,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7-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 and World Politics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후보
                •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2 0.92 0.9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8 0.95 1.328 0.24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