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조선 초 명 선덕제 후궁 공신부인 한씨가 조선에 끼친 영향 = The Influences of Madam Han on the Chosun Dynasty as the Concubine of Seondeok Emperor of Ming China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7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41-169(29쪽)
KCI 피인용횟수
6
DOI식별코드
제공처
본 논문은 조선 초기 명나라에 공녀로 뽑혀가 황제 선덕제의 후궁이 되었던 공신부인(恭愼夫人) 한씨가 공녀로 선발된 이유와 가세의 성장, 명황실 내에서의 위상, 그리고 그녀가 조선왕실에 끼친 긍정적, 부정적 영향력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한씨는 성종의 외할아버지인 한확의 여동생으로, 성종의 어머니인 인수 대비의 고모이다. 한씨의 이름은 계란으로 태종 10년(1410)에 한영정과 의성김씨 사이의 3남 2녀 중 둘째 딸로 태어났다. 한씨는 공녀 출신이었던 언니 여비(麗妃)의 절개를 높이 평가한다는 점과 얼굴이 아름답다는 이유로 세종 9년(1427) 5월에 공녀로 뽑혔으나 병이 나 이듬해에 명나라로 갔다. 그녀는 7년 동안 선덕제의 후궁으로 산 기간을 합쳐 57년 동안 명황실의 여성으로 살았다. 그 사이 토목의 변(土木之變)으로 어려움에 처했던 어린 성화제를 돌보아준 `아보의 공`이 있어 성화제는 황제 즉위 후 한씨에게 지극한 총애와 효도를 바쳤다. 한씨는 명황실 내의 사정에 밝아 `모사(姆師)` `여사(女師)` `노노(老老)` 등으로 불렸다. 또한 한씨는 조선의 왕인 성종의 외척이었던 만큼 명황실에서도 무시할 수 없는 존재였다. 성종 14년 한씨가 죽자 성화제는 그녀를 `공신부인`으로 봉하였다.
한씨는 친정 가문의 성장과 조선왕실 내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많은 영향을 끼쳤다. 첫째, 오빠 한확이 세종 및 수양대군(후의 세조)과 사돈을 맺는데 큰 영향을 미쳤다. 한씨는 청주한씨 한확 가문이 왕실의 외척이 되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둘째, 단종을 몰아내고 왕위에 오른 세조가 명의 책봉을 받는 것과 조카사위인 의경세자의 책봉에 공을 세웠다. 셋째, 성종의 친부모인 의경세자와 조카 수빈 한씨를 왕과 대비로 추숭하는 데 큰 영향을 끼쳤다. 넷째, 조선이 명에서 금지한 궁각(弓角)무역을 허락받는데 도움을 주었다. 다섯째, 명황제에게 성종의 부인 폐비 윤씨의 폐비 사실을 알리고, 또 계비 정현왕후 윤씨의 책봉을 받아내는데 도움을 주었다. 여섯째, 연산군이 세자로 책봉되는 데에도 적극 도움을 주었다.
그러나 이런 도움의 대가로 한씨는 조선왕실에 많은 공물을 요구하였다. 한씨에게 바치는 별진헌은 조선인 화자 출신 명사(明使) 정동이 황제와 한씨를 등에 업고 한씨의 손발 역할을 하며 성종 8년 궁각무역문제에 개입하면서 더욱 부담이 커졌다. 성종 9년에 바치기 시작한 별진헌은 처음에는 한씨의 족친이 한씨에게 사사로이 바치는 것이지만 그 종류와 수량이 점점 늘어나고 점차 상공(常貢)이 되어 조정의 큰 골칫거리로 등장했다. 성종 14년에 한씨가 죽은 직후까지 바쳐졌던 별진헌은 조선에 큰 악영향을 주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some facts on Madam Han such as her background, the reasons why she was sent to Ming China as a woman-tribute, her status in the Ming imperial family, and her influence over the royal families of the Chosun Dynasty in Korea.
She is the younger sister of Han Hwak, a maternal grandfather of King Sungjong, and aunt of Queen Insu, Sungjong`s mother. Her name is Gyeran. She was born in the 10th year (1410) of King Taejong, as the second daughter in a family of three sons and two daughters between Han Young-Jeong and Madam Kim.
She was chosen as a royal concubine of the Ming Emperor Seondeok in May 1427 - nine years after King Sejong had ascended to the throne. Her exceptional beauty was the main reason for the selection, and another was the faithful fidelity of her elder sister Yeobi, who had been highly appreciated by the Ming Dynasty at that time. After leaving Chosun, she lived as a member of the Ming imperial family for 57 years.
During the War in Tomok(土木之變), she took care of the young prince, Sunghwa with all her heart. As a result, after he was crowned, he devoted his filial piety to her. Well-informed about the inside affairs of the royal family, she was called a master tactician, female strategist, and old seasoned maneuverer. Moreover, she was a force to be reckoned with in the Ming royal family as she was a maternal relative of King Sungjong of the Chosun Dynasty. After she died, the emperor Sunghwa proclaimed her `Gongsinbuin` - a woman who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country.
Her impact over the Chosun Dynasty are many. First of all, she had a strong influence in making her elder brother Han Hwak become in-laws with King Sejong and Prince Suyang (later King Sejo). Likewise, she greatly helped the Han clan of Cheongju become the maternal relatives of the royal family. Secondly, she assisted King Sejo to be recognized by Ming China as legal king after he ousted his niece (King Danjong) from the throne by force. In addition, she enabled her nephew-in-law, Uigyeong, to be invested as prince. Third, sh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having Prince Uigyeong become king and her niece, Subin Han, great queen. Fourth, she helped Chosun to obtain a horn trade permission from Ming, which was prohibited within Chosun. Fifth, she helped to positively inform the Ming Emperor that King Sungjong`s wife was deposed from her position as queen, and so a new queen could be approved for the next queen. Finally, she also offered assistance for Yeonsangun to be invested as prince.
However, in return for her assistance, she demanded tributes including special ones for herself from Chosun. Even worse, Jeong Dong, who had acted as a bridge, came to intervene in the horn trade, abusing his power in the ninth year of King Sungjong. At first, her relatives privately paid the special tributes to her, but, as time went by, she required more and more from the royal families of the Chosun Kingdom. Finally, she became the bane of the royal court. The special tribute was given until right after she died in the 14th year(1483) of King Sungjong, which caused serious adverse repercussions to Chosun Korea.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 | 0.5 | 0.5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9 | 0.56 | 1.524 | 0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