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면책결정의 확정과 채무재승인 약정의 효력 <대법원 2021. 9. 9. 선고 2020다269794 판결> = The Confirmation of discharge decision and the effect of debt re-approval agreement
저자
장완규 (용인예술과학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87-109(23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For excessive debtors, a legal and institutional device was needed to help them lead a basically humane life by freeing them from the burden of debt and legal responsibility. Therefore, the modern bankruptcy law cancels the debtor's debt through bankruptcy immunity for certain debts.
However, on the other hand, creditors will seek various means to recover debts that have already been discharged from bankruptcy proceedings. And a similar case has already been a problem in the United States. These attempts by creditors show an attempt to nullify the effect of the immunity from bankruptcy under the Bankruptcy Act by signing a contract to repay the discharged debts with the debtor, that is, by means of a debt re-approval agreement.
The effect of the agreement between the creditor and the debtor to re-approve in relation to the debt after the discharge decision is made is not justified because it easily recognizes the repayment of the discharged debt for the purpose of the exemption system to promote the debtor's economic recovery.
Therefore, this thesis focuses on recent Supreme Court precedents on the effect of bankruptcy immunity and debt re-approval agreements.
In addition, we will compare and examine the views of the lower court and the Supreme Court on related issues, while examining the validity and problems of the debt re-approval agreement under the current law.
과다 채무자를 위하여 채무부담과 법적 책임으로부터 해방시켜 기본적으로 인간다운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는 법·제도적 장치가 필요하였고, 현대의 파산법은 일정한 채무에 대해선 파산면책을 통하여 채무자의 채무를 탕감시켜 주고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채권자들은 파산절차에서 이미 면책된 채권을 회수하려는 다양한 수단을 강구 할 것이며, 이와 유사한 사례가 이미 미국에서도 문제된 바 있었다. 채권자들의 이러한 시도는 채무자와의 사이에 면책된 채무를 다시 변제하겠다는 약정을 체결하는 방법, 즉 채무재승인 약정의 방식으로 파산법상 파산면책의 효력을 무력화화려는 시도가 엿보인다.
면책결정된 이후에 채권자와 채무자 간에 채무와 관련하여 재승인하기로 하는 약정의 효력은 채무자의 경제적 회복을 도모하고자 하는 면책제도의 취지상 면책된 채무의 변제를 쉽게 인정하는 것이라서 타당하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은 파산면책과 채무재승인 약정의 효력에 관한 최근의 대법원 판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관련 쟁점에 대한 원심과 대법원의 견해를 비교 고찰하는 한편, 현행법 하에서 채무재승인 약정의 유효성과 문제점을 검토하기로 하겠다.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