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개방형 탐구를 지도하는 초임 과학교사의 전문성 성장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An Autoethnography on the Professional Growth of a Novice Science Teacher in Open Inquiry Teaching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한국과학교육학회지(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453-471(19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개방형 탐구에서 교사는 학생들의 어려움을 파악하고 적절한 도움을 제공해 주어야 하지만 과학교사 대부분이 개방형 탐구 지도에 대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방형 탐구를 지도하는초임 과학교사의 전문성 성장에 초점을 맞추어, 2년간 개방형 탐구를지도한 과학교사의 경험을 자문화기술지로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개방형 탐구 지도의 어려움, 극복과정, 전문성 성장 과정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자기회상자료, 자기성찰자료, 면접자료, 문화기물자료를 구분하여 수집하였고, 수집한 자료는 포괄적 분석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개방형 탐구에서의 전문성은 학생을 대상으로 직접적인 탐구 지도 시 경험하게 되는 교수실행과 관련된 영역, 학생과 교사 자신을 제외한 외부 환경과 관련된 영역, 교사 자신의내적인 영역 등의 세 영역으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첫째, 연구자는개방형 탐구 지도교사의 역할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었고, 지도교사에게 필요한 역량과 자질이 무엇인지 고민하고, 학생들에게적절한 비계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어려움을 극복하고, 전문성이 성장하게 되었다. 둘째, 동아리 활동 시간부족, 과학실 기자재 부족, 예산 사용의 어려움과 같은 제도적인 제약에 따른 어려움을 겪었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연구자는 주변의 자원을 파악, 활용하여 학생들이 탐구에 집중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할수 있었다. 셋째, 개방형 탐구를 지도하는 과정에서 겪게 되는 내적인고민과 갈등을 도움 받을 수 있는 지원 시스템이 부재하여 어려움을겪었고, 과학부장님과의 소통으로 용기와 힘을 얻으며 지도교사로서효능감을 높일 수 있었다. 연구자에게 개방형 탐구를 지도한 경험은성장의 밑거름이 되었으며, 2년 후 지도교사로서 성장한 모습을 확인하였다.
더보기In open inquiry, teachers must identify the difficulties of students and provide appropriate help, but most science teachers are struggling with open inquiry guidance. Therefore, this study, using autoethnography, focused on the professional growth of a novice science teacher who guided open inquiry and examined the experiences of a science teacher who guided open inquiry for two years. Based on this, we tried to explore the difficulties of open inquiry guidance,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m, and the process of professional growth.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collected self-recall data, self-reflection data, interview data, and cultural artifacts data,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according to a comprehensive analysis procedure. Teacher expertise in open inquiry instruction could be divided into three areas: areas related to teaching practice experienced during direct inquiry instruction to students, areas related to the external environment excluding students and teachers themselves, and the internal area of the teachers themselves. First, the researcher encountered difficulties due to a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role of an open inquiry instructor but overcame difficulties and developed professionalism through the process of considering the competencies and qualities necessary for an instructor and making efforts to provide appropriate scaffolding to students. Second, difficulties were experienced due to institutional constraints such as lack of time for club activities, lack of science lab equipment, and difficulty in budgeting. To overcome these issues, researchers identified and utilized surrounding resources to create an environment so that students could focus on inquiry. Third, there was a difficulty due to the lack of a support system to receive internal concerns and conflicts encountered in the process of guiding open inquiry. But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head science teacher, the researcher was able to gain courage and strength and increase the efficacy as a teacher. The experience of guiding open inquiry served as a foundation for growth, and two years later, the researcher was able to confirm the growth as a teacher.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