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해석에 의한 단기매매차익 반환제도 운영에 대한 고찰 - 대법원 2024.5.9.선고 2020다202616판결을 중심으로 - = Interpretative Exception to the Short-Swing Profit Return Rule: Focus on Equity Acquisition via the Corporate Restructuring Promotion Act
저자
윤선정 (한국성장금융투자운용(주))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49-192(44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단기매매차익 반환 제도의 적용 예외를 엄격하게 인정하는 기존 입장과 달리 2024년에 ‘해석’에 의한 적용 예외를 인정한 판례가 처음 선고되었다. 회사의 반환 청구에 대하여 ‘법령’ 상 예외도 아닌 ‘해석’에 의해 ‘객관적으로 내부정보의 이용가능성이 없는 유형의 거래’에 해당한다고 판단한 것이다.
이에 대한 평석의 전제로 단기매매차익 반환 제도의 취지, 성립 요건과 재산권・평등권 등의 침해 여부를 검토한 헌법재판소 결정 및 이를 기초로 한 대법원 판례 등을 살펴본다. 특히 대상 판결의 원심과 1심이 전혀 다른 판단을 하였는바, 어떤 근거로 결론에 이르게 되었는지를 살펴본다.
검토 결과 이 사건 출자전환의 근거인 구 기촉법의 공익적 목적을 고려하더라도 단기매매차익 반환의 예외를 인정해야 할 정도로 구 기촉법의 입법취지가 우선한다고 단정하기 어렵다. 즉, 출자전환 방식의 주식매수와 6개월 이내 주식매도로 차익이 발생했음에도 기촉법에 따른 주식매수라는 이유만으로 예외를 두어야 할 정도로 거래가 비자발적이라도 단정할 수 있는지 의문이다. 설사 ‘거래의 비자발성’이 인정되더라도, 주요 주주였던 피고의 ‘내부정보에의 접근 가능성’을 부인하는 판단을 뒷받침하는 근거도 불분명하다. 그럼에도 대상 판결은 구 기촉법의 입법취지를 단기매매차익반환제도보다 우선함으로써 ‘내부정보의 접근 가능성’ 여부도 규범적인 측면에서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1심이 선행・후행거래 모두에 대한 적용 예외를 판단한 반면, 원심・대법원은 해석에 근거하여 선행거래에 대한 적용 예외 여부를 판단하였다. 선행거래와 후행거래 중 어느 거래를 대상으로 판단해야 하는지 기준과 그 근거를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 즉 단기매매차익 반환제도의 안정적 운영을 위해서 관련 조항들에 대한 입법적 보완이 필요하다.
The short-swing profit return system in Korean capital markets aims to prevent unfair trading by requiring corporate insiders, such as directors and major shareholders, to return profits gained from the sale and purchase of the same securities within a six-month period, irrespective of actual use of insider information. While this mechanism offers a powerful means to deter insider trading without the need to prove actual misuse of material non-public information (MNPI), its rigid application has raised concerns regarding possible infringements of property rights and equality.
In a 2024 ruling, the Korean Supreme Court, for the first time, recognized an interpretative exception to this return obligation. The case involved the acquisition of shares through a debt-equity conversion based on the former Corporate Restructuring Promotion Act (CRPA), followed by a sale of those shares within six months. Contrary to earlier precedents which narrowly interpreted exceptions, the Court acknowledged both the involuntary nature of the transaction and the lack of objective possibility to use insider information.
However, this decision raises critical questions. The defendant, a major shareholder with over 30% ownership and the lead creditor bank presiding over the restructuring committee, was in a position that made access to MNPI highly likely. The Court’s finding that both exemption criteria were met appears insufficiently substantiated and inconsistent with prior strict interpretations.
This paper suggests that where a policy-based institution such as Korea Development Bank is involved, its unique role should be addressed explicitly by legislation rather than through judicial interpretation. Moreover, criteria for exemptions—such as whether both acquisition and disposal must independently satisfy the exception—should be clearly codified to enhance predictability. In conclusion, while the Court's recognition of exceptional circumstances under the CRPA is understandable, interpretative exceptions must remain narrowly defined. Legislative refinement is required to clearly outline the scope and conditions of exemptions in order to maintain the integrity and deterrent power of the short-swing profit return system.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