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용선계약의 법적 성질과 선박우선특권 - 대법원 2019. 7. 24. 자 2017마1442 결정 - = Legal Nature of the Charter-parties and the Maritime Lien - Supreme Court Decision 2017Ma1442 Decided Jul. 24, 2019-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51-95(45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소장기관
In individual cases, it is not easy to clearly distinguish between the bareboat charterers(hereunder ‘BBC’) and the time charterers, who are the representative charterers of other ships under the Commercial Code. However, a key element of the BBC is that ownership and management of the chartered vessel is transferred from the owner to the charterer. Therefore, the BBC is different from the time charter-party in which the charterer has the right of commercial use of the ship while the owner still retains the property right over the chartered vessel through the seafarers. Meanwhile, the Korean Supreme Court pointed out that the legal nature of time charter is similar to that of the BBC, and, unless there are special circumstances, Article 850 Paragraph 2 of the Commercial Code also can be applied by analogy to time charter-party. However, since a time charter-party may have various legal natures depending on its commercial usage, the Korean Supreme Court’s decision misunderstood the legal nature of the time charter-party. Apart from the theory of the legal nature of the time charter-party, the prevailing views interpret the legal nature of the maritime lien as a privileged claim against the maritime properties. Article 185 of the Korean Civil Code declares the statutory principle of property right. As long as the maritime lien is understood as a privileged claim, expanding the content of the maritime lien by a court judgment can violate the core of Article 185 of the Korean Civil Code. Furthermore, the Korean Pilotage Act and the Vessel Entry and Departure Act stipulate that tugs cannot refuse to conclude a tugboat contract without justifiable grounds. For the protection of tugs who are presumed in the economically disadvantaged position, the Korean Supreme Court recognized the maritime lien on vessels by analogy with Article 850 of the Korean Commercial Code with respect to the tugboat fee claims that tugs have against the time charters. However, this interpretation is directly contrary to the principle of property rights, and Article 850 Paragraph 2 of the Commercial Code cannot be applied by analogy to a time charter-party. The Supreme Court ruling not only goes against the international legislative trend that seeks to protect the mortgagee by reducing the scope of recognition of the claim secured by the maritime lien, but also mutually predatory distribution between the maritime lien and the mortgage for limited financial resources. For the protection of tugboat, etc., it is necessary to seek methods such as mutual assistance or social insurance.
더보기개별 사안에서 상법상 대표적 타선의장자인 선체용선자와 정기용선자를 명확히 구분하기는 용이하지 않다. 그러나 선체용선계약의 핵심 요소는 용선선박에 대한 점유와 관리권이 선박소유자로부터 용선자에게 이전 된다는 것이므로, 용선선박에 대한 물권적 지배를 선박소유자가 선장 등을 통해 여전히 보유하면서 선박의 상업적 사용권능 만을 용선자에게 부여하는 정기용선계약과 구별된다. 한편 대법원은 정기용선의 경우 선체용선계약과 유사하므로, 다른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운송에 관련된 상사적 사항의 대외적인 책임관계에 관해서는 선체용선에 관한 상법 제850조 제2항이 정기용선에도 유추적용 된다고 결정하였다. 그러나 정기용선계약은 그 이용행태 등에 따라 법적 성질을 달리 파악할 수 있으므로, 위 대법원 결정은 정기용선계약의 법적 성질을 오해한 것이다. 정기용선계약의 법적 성질론과 별개로, 통설적 견해는 선박우선특권의 법적 성질을 담보물권으로 해석한다. 민법 제185조는 물권법정주의를 천명하고 있는데, 선박우선특권을 담보물권으로 이해하는 한 상법 제850조의 규정에 반하여 법원의 판결에 의해 선박우선특권의 내용을 확장하는 것은 물권법정주의를 정면에서 반하는 것이다. 나아가 도선법과 선박입출항법 등은 예선업자 등에 대해 정당한 사유 없이 예선계약의 체결을 거절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다. 대법원은 경제적 약자의 지위에 있는 예선업자의 보호를 위해 예선업자가 정기용선자에 대해 가지는 예선료채권에 대해서도 상법 제850조를 유추 적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해석은 물권법정주의에 정면으로 반하는 것이고, 정기용선계약에 상법 제850조 제2항을 유추적용할 수는 없다. 대법원 판시는 선박우선특권의 피담보채권의 인정범위를 축소하여 저당권자 등을 보호하고자 하는 국제적 입법추세를 거스르는 것일 뿐만 아니라, 제한된 재원을 대상으로 한 선박우선특권과 저당권 사이의 상호 약탈적 분배를 초래한다. 예선사업자 등의 보호를 위해서는 상호부조나 사회보험 등의 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KCI후보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6 | 1.6 | 1.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9 | 1.31 | 1.495 | 0.57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