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니체와 선불교의 유사성에 대한 연구 - '몸'과 '자기'를 중심으로 - = A Resemblance between the Philosophy of Nietzsche and Zen Buddhism -A Study on the Problem of 'the Body' and 'the Self' -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001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95-118(24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본 논문은 니체의 사유와 선불교가 '자기(the self)'와 '몸(the body)'에 대한 사유에 있어서 유의미한 유사성을 갖고 있음을 주장한다. 양자 간에는 적지 않은 시대적 문화적 차이가 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니체는 19세기에 태어나 활동한 독일철학자이며, 선불교는 중국 당나라(A.D.618∼907) 시대에 시작되어 한국을 거쳐 일본으로 전해져 발달되었다. 니체가 활동할 당시 초기 불경이 일부 독일어로 번역되었으나 대승불교나 선에 대해서는 아직 접할 기회가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니체의 사유는 초기불교보다는 대승이나 선불교와 훨씬 더 많은 유사성을 보인다. 특히 정신적 자아보다 '몸'의 우선성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일본의 도겐(Dogen, 道元) 선사는 니체와 많은 접점을 갖는다. 두 사람은 '몸'에서 진정하고 유일한 '자기(Self)'를 발견할 수 있다고 믿었다. 이들에 의하면, '몸'은 정신과 육체라는 이분법적인 구분의 한 요소라기보다는 이 둘의 구분을 해체하는 더 큰 자아 개념으로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이원적 구분에 대한 집착을 버려야 한다는 생각은 나가르주나(Nagarjuna, 龍樹)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나가르주나는 논리적인 이원론을 버릴 것을 주장했는데, 니체 역시 서구적 사유에서 지배적이었던 이원적 대립을 버리고 존재와 무 사이를 유동하는 생성을 '자기'의 특성이라고 본다. 자성(自性)이 선불교에서 허구적 집착인 것처럼, 니체가 볼 때 불변하는 '자아(I)'에 대한 개념 역시 부단히 생성 변화하는 더 큰 자아인 '몸'에 주목하지 않기 때문에 생기는 착각일 뿐이다. 따라서 이러한 집착과 착각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은 진정한 '자기'를 발견하고 올바른 세계관을 갖는 매우 중요한 출발점이 된다. 이러한 생성으로서의 '자기'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개념적 사유보다는 직관적이고 상징적인 이해방식이 유용하다. 이것은 선불교와 니체의 문체에서도 그대로 드러난다. 선불교의 공안(Koan, 公案)과 니체의 아포리즘은 그들의 반(反)이성적, 반(反)체계적 특징을 잘 보여준다. 이것들 중 상당수는 정답을 제시하기보다는 사유를 자극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선사(禪師)나 니체의 차라투스트라는 수수께끼를 내는 자라는 공통점을 갖는다. 그들은 수수께끼 외에도 깨달음에 도움을 주는 실천적 수행법도 강구했다. 특히 도겐은 좌선을 통한 참선법을 강조했으며, 니체는 몸의 예술인 '춤'을 중시했다. 몸은 우리의 의지가 생겨나고 발현되는 곳이라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터전이다. 사유와 실천을 통한 진정한 '자기'의 발견은 그들의 종교적 철학적 깨달음의 중심에 놓여 있다.
더보기This article argues that Nietzsche's thought and Zen Buddhism have significant similarities in terms of understanding 'the self' and 'the body.' There are temporal and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hough. As is well known, Nietzsche was a German philosopher who was born and lived in the nineteenth century, and Zen Buddhism arose in Tang Dynasty in old China (A.D.618∼907)and was introduced to Japan through Korea. When Nietzsche was actively engaged in his own academic activities, some of the early Buddhist scriptures were translated into German. However, he did not have a chance to get to know exactly about Mahayana Buddhism or Zen Buddhism. Nonetheless, Nietzsche's thought is much more similar to Zen Buddhism than to the early Buddhism. In particular, Japanese Zen master Dogen has many affinities with Nietzsche in that he emphasizes the priority of 'the body' rather than 'the soul'. The two believed that they could find the authentic and sole 'self' in 'the body'. According to them, 'the body' is not a simple component of the dichotomous branching of the mind and the (physical) body, but rather the larger 'self' that breaks down the dichotomy itself. In Buddhism, the idea of abandoning the obsession for this dual distinction dates back to Nagarjuna who claimed to abandon logical dualism. Nietzsche also saw 'becoming' as a characteristic of 'the self' and rejected the opposition between 'being' and 'nothingness' that had been dominant in Western thought. He insisted that the notion of an unchanging 'I' was also a fictional attachment. This fiction arises because people do not pay attention to the larger ego, namely 'the self'. Therefore, an escape from these attachment and misunderstanding is a very important starting point for discovering the genuine 'self'. In order to understand this true 'self', intuition and symbols are more useful methods than conceptual thinking. This characteristic appeared in the style of both Zen Buddhism and Nietzsche. The Koan in Zen Buddhism and Nietzsche's aphorism showed their anti-rational and anti-systematic characteristics. Most of them are aimed at stimulating our thought rather than presenting a correct answer. The Zen master and Nietzsche's Zarathustra commonly ask a riddle.
Beside putting a riddle, they also took practical actions as a way of gaining enlightenment. Dogen developed a 'Zazen', and Nietzsche emphasized a 'dancing'. 'The body' is a very important place in that our will arises and manifests itself. The discovery of the genuine 'self' through practice lies at the heart of their religious and philosophical enlightenment.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