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지역문학 형성의 한 경로-향파 이주홍의 중국 고전문학 번역과 소설관의 변화- = A path in the formation of local literature-Hyangpa Lee Joo-hong(向破 李周洪)' translation of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and changes in his view of novels-
이 글은 지역문학의 관점에서 向破 李周洪(1906~1987)의 번역 작업이 갖는 의미를 검토한 것이다. 향파는 樂山 金廷漢(1908~1996)과 함께 부산문단의 형성에서 주요 작가로 잘 알려져 있다. 소설가로서 거의 한 우물만 팠던 요산과 달리 향파는 아동문학을 비롯하여 시, 소설, 희곡, 시나리오, 수필, 번역, 만문만화 등의 작가뿐만 아니라 연극 연출가, 잡지 편집자, 삽화가, 서예가, 작사가 등에 이르기까지 문예 전반에 걸쳐 활동했다. 향파는 1947년 무렵에 사회주의 조직과 완전히 절연한 전향자가 되어 부산으로 이주, 남은 생을 부산에서 지냈다. 이 글에서는 한국전쟁 직후 부산문단의 재건기에 향파가 소설가로서 자기 운명을 받아들이고, 그에 대한 각오를 새롭게 다질 무렵에 중국 고전문학 번역을 본격적으로 시작한 사실에 주목했다. 요컨대, 이 글은 향파 연구사의 공백 중 하나인 번역사의 관점에서 향파를 주목했다. 아울러 지역문학사 차원에서는 향토성․지방성에 근간한 지역성을 분석하기보다는 지역문학사 연구에서 좀처럼 다뤄지지 않는 사안, 곧 지역작가가 문학적 보편성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려고 했는지에 관심을 가졌다. 기존 연구사에 기여하는 이 글의 의의는 그 두 지점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This article examines the meaning of the translation work of Hyangpa Lee Joo-hong(向破 李周洪, 1906~1987) from the perspective of local literature. Hyangpa, along with Yosan Kim Jeong-han(樂山 金廷漢, 1908~1996), is well known as a writer who played a key role in the founding of the Busan literary world. Unlike Yosan, who only dug a single well as a novelist, Hyangpa is not only a writer of children's literature, poetry, novels, plays, screenplays, essays, translations, and comics, but also a theater director, magazine editor, illustrator, calligrapher, and lyricist. He was active in all areas of literature. Around 1947, Hyangpa became a convert who completely broke away from socialist organizations and moved to Busan, where he remained for the rest of his life. In this article, I focused on the fact that during the founding period of the Busan literary world after the Korean War, Hyangpa accepted his destiny as a novelist and renewed his resolve to begin translating Chinese classical literature in earnest. In short, this article focuses on Hyangpa from the perspective of a translator, which is one of the gaps in the history of Hyangpa research. In addition, at the level of local literary history, rather than analyzing local characteristics, I focused on issues that are rarely addressed in local literary history research. In other words, I was interested in how local writers tried to solve the problem of literary universality. The significance of this article, which contributes to the existing research history, can be found in these two points.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