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문익환의 민중·평화·통일에 대한 신학적 연구 = Moon Ik-Hwan’s Theological Study on People, Peace, and Unification
저자
김영덕 (성공회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99-135(37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문익환의 통일 사상과 그 배경이 되는 성서신학과 민중신학이 오늘날의 한반도 통일을 위한 새로운 지침으로서 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찾아보았다. 필자는 그러한 전제 아래 문익환의 통일신학은 어떠한 성서적 맥락을 지니는 것인지, 민중신학과 평화신학이라는 측면에서 고찰해보았다.
성서학자로서의 문익환의 민중신학을 제2장에서 검토하면서, 구약성서에서의 ‘민중’ 개념과 신학적 의의를 모세오경과 예언서를 중심으로 고찰했다. 신약성서에서의 ‘민중’ 개념과 신학적 의의는 복음서를 중심으로 고찰했다. 그리고 문익환의 민중신학의 배경과 전개 과정도 살펴 보았다. 제3장에서는 성서신학의 입장에 비추어 그의 평화 신학을 모색했다. 구약성서의 샬롬 개념과 신약성서의 평화 개념으로 중심으로 평화사상을 검토한 이후, 문익환의 평화신학을 몇 가지로 살펴보았다. 이른바 통일과 화해, 예언자적 역할, 비폭력과 평화운동, 하나님 나라의 실현이라는 측면에서 살펴본 것이다. 제4장 통일신학의 모색에서는 성서적 관점에서의 통일 개념은 물론, 문익환이 생애 후기에 온 정신을 쏟았고 온몸으로 실천했던 통일의 문제를 신학적으로 재해석해 보았다. 이른바 ‘문익환의 통일신학’을 구성하는 주요 내용(민족 화해와 통일, 하나님 나라의 구현, 비폭력과 평화, 민중의 역할 강조)과 배경 및 그 신학적 의의와 영향을 고찰하였다.
문익환의 민중신학은 예언자적 전통과 예수의 가르침 속에서 민중해방의 메시지를 발견했다. 문익환의 평화신학은 비폭력과 화해를 중심으로 한다. 그는 남북 분단과 전쟁의 상처 속에서 평화로운 공존과 민족 화해를 기독교 신앙의 중요한 과제로 삼았다. 문익환의 통일신학은 한반도의 분단을 극복하고 민족의 통일을 이루려는 신학적 비전을 제시한다. 그는 단순한 정치적 통일이 아닌, 신앙적이고 윤리적인 차원에서의 통일을 중요하게 여겼다.
I studied the possibility that Moon Ik-hwan’s unification thought and its background, biblical and Minjung Theology, could serve as a new guideline for today’s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Under that premise, I examined what kind of biblical context Moon Ik-Hwan’s Unification Theology has in terms of Minjung Theology and Peace Theology.
In Chapter 2, I reviewed the Minjung theology of Moon Ik-hwan, a biblical scholar, and examined the concept of ‘minjung’ in the Old Testament and its theological significance, focusing on the Pentateuch and the prophetic books. The concept of ‘people’ and its theological significance in the New Testament was examined focusing on the Gospels. I also investigated the background and development process of Moon Ik-hwan’s Minjung theology. In Chapter 3, his peace theology was explored in light of the position of biblical theology. After examining the idea of peace, focusing on the concept of shalom in the Old Testament and the concept of peace in the New Testament, I looked at several aspects of Moon Ik-hwan’s peace theology. It is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s of so-called unification and reconciliation, prophetic role, non-violence and peace movement, and realization of the kingdom of God. In Chapter 4, Search for Unification Theology, a study was conducted to theologically reinterpret the concept of unification from a biblical perspective as well as the issue of unification, which Moon Ik-hwan devoted his whole mind to and practiced with his whole body in the latter part of his life. The main contents (national reconciliation and unification, realization of the kingdom of God, non-violence and peace, emphasis on the role of the people) and background of the so-called ‘Moon Ik-hwan’s unification theology’ and its theological significance and impact were examined.
Moon Ik-hwan’s Minjung theology discovered the message of people’s liberation in prophetic tradition and the teachings of Jesus. Moon Ik-hwan’s peace theology centers on nonviolence and reconciliation. He made peaceful coexistence and national reconciliation an important task of Christian faith amidst the division of North and South Korea and the wounds of war. Moon Ik-hwan’s unification theology presents a theological vision to overcome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achieve national unification. He considered unification on a religious and ethical level to be important, not just political unification.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