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혁신성장역량의 지역 분포와 유형별 특성 = The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Regional Innovation Growth Capacity in Korea
저자
허문구 (산업연구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65-86(22쪽)
제공처
최근 우리나라는 국가적 차원에서 글로벌 경쟁이 격화되는 환경 속에서 저성장의 추세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고, 지역적 차원에서도 고부가가치기업의 수도권 쏠림현상으로 지방 청년의 수도권을 향한 행렬이 끊이지 않는 현상이 나타나면서 지방침체로 인한 균형발전 도모가 어려운 상황에 직면해 있다. 이는 “지방 청년 수도권 유출 → 지방 고령화 심화 → 지방소멸 직면”의 지역경제 악순환 기제가 빠르게, 강하게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기제를 탈피하기 위해 역내 생산성 증대와 좋은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하는 혁신성장이 요구되는 이유다. 본 연구에서는 “사람·교육→ R&D→ 창업→ 신산업”의 혁신성장 흐름을 제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지역별 혁신성장역량지수를 개발, 산출하였다. 분석 결과, 대전·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혁신성장역량의 격차가 심화되고 있고, 이는 다시 경제적 격차로 이어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혁신성장역량을 4개의 유형으로 구분하여 그 특성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발전지역과 저발전지역 간에는 창업 및 신산업 관련 역량의 격차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지역혁신성장역량 제고를 위한 방안으로 혁신성장 선순환 체계구축, 지역산업 착근을 위한 기술사업화 촉진, 혁신성장 생태계 조성 등의 3대 정책과제를 제안하였다.
더보기This study explores regional innovation capacity in South Korea, which is currently grappling with a demographic time-bomb, a slowing economy, and worsening inequality between the country’s provincial regions and the Seoul Capital Area (SCA). The concentration of high-value industries in the SCA exacerbates regional disparities as young workers migrate from the provinces in droves, accelerating the graying of regional populations and forcing many provincial localities to confront the reality of local extinction. For this work, I examine the critical role played by innovation as the fuel of a virtuous economic cycle and key driver of regional economic growth and job creation. The analysis produces evidence of significant disparities in regional innovation growth capacity, especially between the SCA and Daejeon - Korea’s two innovation capitals - and the rest of the country.
The study carrie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or policy. First, the government should work with Korea’s provincial regions to build an economic environment conducive to innovation, beginning with supporting good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local youth. Second, Korea needs to facilitiate technology transfers and knowledge sharing to support startups. It should also work to establish innovation hubs that can help bridge the gap between R&D and bringing products to market. Finally, investing in education, R&D infrastructure, and entrepreneurship policies is essential to stimulating local economic growth.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