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포은(圃隱)과 포은학(圃隱學)의 성립과 서원향사(書院鄕祠) = Poeun, Poeun Studies, and Memorial service for Poeun in a memorial hall for Confucianist service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7
작성언어
-주제어
KDC
81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5-34(30쪽)
KCI 피인용횟수
1
DOI식별코드
제공처
포은은 고려조와 운명을 같이했다. 그는 조선조 개국을 지지하지 않고 불사이성(不事二姓)의 지조를 지킨 절의인(節義人)이었다. 원명교체기를 대처하여 고려조를 보위했다. 포은은 명 태조의 환심을 사 정치와 경제적으로 많은 도움을 받았으며, 확고한 반원친명정책은 훗날 조선조의 개국과 정치적 안정에 보탬이 되었다.
몽골제국에 의한 다년간의 폐해를 명나라의 힘을 빌려 청산코자 한 의도도 있었다. 고려사회에 깊숙이 침윤된 몽골 풍을 탈피하여 중원문화로 대체코자 했으며, 불교와 노장 및 무속을 배척하고 유교문화를 부식하려했다.
후인들은 이 같은 포은과 포은학이 배향서원(配享書院)을 통해 전승 심화되는 현상을 두고, 모든 강이 바다로 흐르고 뭇 별들이 북극성을 옹위하는것에 비유했다.
포은은 성리학을 중시하여 성리학적 개혁을 시도했고, 아울러 당시 중원의 신유학이었던 주자의 성리학을 수용하여 동방 성리학의 비조가 되었다.
포은이 창도한 성리학은 공리공론이 아닌 실천을 중시한 실학이었다. 조선조의 국시가 억불숭유(抑佛崇儒)인 것은 포은의 영향으로 볼 수도 있다.
고려조의 불교 폐해에 대해 그는 상당한 거부감을 가졌고, 장례제도와 민간의 불교식 생활양식에도 호의적이지 않았다.
포은은 명 제국에 대한 사대(事大)와 일본에 대한 교린(交隣) 책을 적의하게 구사하여, 조선조 개국 이후 임지왜란 까지 200년 간 미증유의 평화시대를 열었다. 포은이 창도한 성리학은 조선조가 문명국가로 나아가는 기초가 되었다. 대륙세력의 위협과 일본의 노략질이 없었던 2세기 동안, 조선조는 민족문화의 기반을 착실하게 닦았다. 동북아시아의 이 같은 평화는 명
태조와 포은과의 우호적 인간관계가 작용했다.
Poeun faced the same fate with the Goryeo Dynasty. He did not support the opening of the Joseon Dynasty. He was a man of integrity spirit. He adhered to his principle for refusing to serve two dynasties, serve but one dynasty. He coped with a difficulty in changing time of Yuan(元) and Ming(明) in China to preserve Goryeo intact. He ingratiated himself with the first king of Ming and had help from the king politically and economically.
His firm policy of reprobation against Won and endorsement for Ming helped the opening of the Joseon Dynasty and political stability.
He intended to remedy accumulated evils caused by The Mongol Empire with Ming’s strength. He tried to break the trend of Mongol and replace it with culture of Han Chinese. He also made an effort to exclude Buddhism,
Taoism and shamanism, and to propagate Confucianism culture. Poeun and Poeun studies were hand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by a memorial hall for Confucianist services. People regarded this phenomenon
as a natural. It’s like that all rivers flow down into the sea and all stars revolve around the Pole star.
Poeun considered neo-Confucianism as important and tried to attempt social reform based on it. He also accepted neo-Confucianism which was new paradigm in China at that time, and became the founder of neo-Confucianism in Korea. Poeun advocated neo-Confucianism which was as practical science, not as an academic discussion. The national policy of Joseon was to suppress Buddhism and adore Confucianism. I think this policy of Joseon was influenced by Poeun. He was very repulsed by the evil of Buddhism of Goryeo. He did not feel comfortable about Buddhist funeral ceremony and the Buddhist style of living among people.
Poeun practiced a diplomatic policy to serve Ming dynasty as the powerful and have a friendship with Japan as a neighboring country. So Joseon could open a unheard-of peaceful age for about 200 years, from founding a country to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Neo-Confucianism which was advocated by Poeun became foundation stone of Joseon as a civilized country. For 200 years in Joseon, there were no threat from China and no pillage by Japan. Joseon could improve foundation
of national culture during this period. Peace in Northeast Asia during that time was indebted to the friendly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king of Ming and Poeun.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8 | 0.38 | 0.3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 | 0.47 | 0.8 | 0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