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제도적 소외와 노동의 힘: 학교 사례를 통해서 본 노동권 형성의 궤적과 동인 = The Historical Trajectory of the Formation of Labor Rights in School Industrial Relations
저자
안정화 (한국고용노동교육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5-55(51쪽)
제공처
소장기관
Recently, the unionization rate in the public sector leads the trajectory of the overall unionization rate. Among the public sectors, schools are showing remarkable results in terms of unionization rate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non-regular school workers, 100,000 union members were organized during last 10 years after union establishment, and a few years ago, it has been conducting national-level negotiations.
Although the collective bargaining at the industry level and the formation of a layered bargaining structure have been attempted in various industries such as the metal industry, health care service industry, and financial industry, there are not many cases in success. Among them, non-regular school workers are a case in which the bargaining structure has been advanced over the past decades. It seems paradoxical that non-regular school workers, who are low-wage female workers and have unstable employment, have steadily advanced their labor rights, including employment stability, wages and working conditions, by building solidarity and completing a multi-layered bargaining structure.
We analyze the historical trajectory, drivers, and characteristics of labor rights through school cases. And We summarize that the drivers are in the exclusion from the institutions and the strength of the working class. In this process, we tried to increase explanatory power by supplementing the class compromise model proposed by Wright.
지난 10-20년 동안 공공부문의 노조조직률은 전체 노동조합 조직률의 궤적을 주도해 왔다. 공공부문 가운데에서도 학교는 노동조합 조직률 측면에서 두드러진 성과를 보였다. 특히 학교 비정규직의 경우 설립 10년 만에 10만의 조합원을 조직하였고, 몇 년 전부터는 전국 수준의 교섭까지 진행하고 있다.
업종수준에서의 교섭 그리고 중층화된 교섭구조의 형성은 금속산업, 보건의료서비스업, 금융업 등 그동안 여러 업종에서 시도되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진전된 사례는 많지 않다. 학교 비정규직의 경우 지난 10여 년 동안 학교수준에서 교육청수준, 교육청수준에서 중앙수준으로 교섭의 무게 중심을 높이면서 교섭구조를 진전시켜 왔던 드문 사례이다. 저임금 여성노동자이면서 비정규직이라는, 한국사회가 안고 있는 구조적인 노동문제를 고스란히 안고 있는 학교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연대를 구축하고 중층적인 교섭구조를 완성해가며 고용안정성, 임금 및 근로조건을 비롯한 노동의 권리들을 꾸준히 진전시켜 온 모습은 역설적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 사례를 통해서 노동권 형성의 역사적 궤적과 동인, 그리고 성격을 정리한다. 학교에서 교원노사관계, 공무원노사관계, 교육공무직 노사관계로 이어지는 노사관계의 형성과 무게중심의 이동을 설명하고, 이 과정에서 제도적 소외, 제도적 사각지대 등의 개념을 활용하며 그 동인이 노동자의 노동제도로부터의 소외와 이를 극복하려는 노동의 힘에 있음을 강조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노동권의 형성과 변화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 과정을 라이트가 제시한 노동의 힘과 계급타협 모형에 적용하고, 여기에 내부노동시장과 법제도 형성을 둘러싼 시계추운동을 결합시켜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