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미국 정치사(Political History)의 성장과 의회사(Congressional History) = Reemerging American Political History and Congressional History
저자
오영인 (인천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99-419(21쪽)
KCI 피인용횟수
1
DOI식별코드
제공처
This study is for understanding and introducing congressional history in the development of American political history since the 1980s. Under the milieu of Civil Rights movement in the 1960s, the New Left criticized the liberal consensus view of American history. Within the historical discipline, in addition, a social and cultural history revolution took place that pushed scholars to emphasize the history from the bottom up such as class formation, gender relations, and cultural consciousness. Therefore. political history, which focused on not ordinary people but political elites who represented peoples, was loosing it’s place in the realm of American history. However, during the 1980s, a group of political scientists, sociologists and historians brought historical institutionalism back into the study of politics since they shared the fact that politics was profoundly historical. Bringing together the new institutionalism and sociocultural history, since the 1980s, political history has been reemerging as sociocultural political history for revisiting the study of politics. And it was the time when congressional history emerged in American political history.
When most social and cultural historians minimized the study of government institutions, policymakers, and policies, Congress was characterized an insulated haven for white male elites who subverted the democratic process in favor of vested interest groups or as an archaic institution that functioned as a roadblock from mass social movements. However, recently, historians and historical social scientists are interested in learning more about this important branch of government. A renewed interest among historians in the modern Congress has emerged form two ways. The first approach is the new historical institutional analysis emphasizing how and in what relations Congress itself had been reformed. The second approach which congressional history has emerged is the debate over how gender and race influenced policy development particularly the Social Security Policy.
Unlike social scientists or political scientists, historians provide a more dynamic history of Congress by integrating a history of social conflict and nonelite groups into the analysis of politics and considering categories such as gender and race as well as factors such as symbols, ideology and rhetoric. Given the distrust of Congress in history, a stronger understanding of how the institution related to the people and its condition seems more important ever.
본 논문은 1980년대 이후 미국 정치사의 성장과정에서 특히 의회사의 등장과 그 배경, 그리고 연구경향 등을 연구사적으로 정리하고 소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1960년대 미전역을 휩쓸었던 민권운동의 영향으로 역사학계는 기존의 역사연구방법론에 변화를 경험하게 되었다. 미국의 역사경험에 대한 장밋빛 그림을 그려주었던 전통의 합의사학에 반기를 들고 등장한 신좌파 역사학자들은 미국의 번영 뒤에 가려졌던 일반 대중들과 희생자들을 역사의 주인공으로 회복시키기 시작했다. 이후 1970년대 ‘밑으로부터의 역사’를 강조했던 사회문화사적 역사연구방법론의 등장은 일반 대중의 역사 경험에 깊은 관심을 표명하며 계급, 젠더, 문화, 종교 등 역사연구대상을 크게 넓혀주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소수 정치엘리트 특히 대통령이라는 행정수반에 집중했던 미국의 정치사는 역사학계에서 서서히 그 위치를 잃어가고 있었다.
그런데 1980년대 이후 21세기 전환기에 접어들면서 정치학계는 물론이고 경제학, 사회학 등 사회과학 분야의 연구자들과 역사학자들의 학제적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면서 신제도주의 연구방법론이 역사학에 도입되기 시작했고 미국의 정치사는 새로운 부활의 과정을 경험하고 있다. 특히, 역사학계는 일반 대중의 삶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정부의 공공정책에 다시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했고, 정책 형성에 있어서 결정적 역할을 담당하는 입법기관인 의회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미국의 사회복지정책의 한계와 문제점을 분석하고자 했던 사회문화사가들이 예컨대 젠더와 인종이 정부정책 결정에 있어서 어떤 영향을 서로 주고받았는가에 주목하게 되면서 복지정책의 확대와 축소에 있어서 의회의 역할은 중요한 연구 주제가 되었다. 의회 연구는 크게 두 가지 접근방법으로 분류할 수 있다. 하나는, 다양한 기관들, 즉 여러 정부기관과 사적기관들과의 관계 속에서 의회라는 입법기관 자체의 성격과 그 변화를 설명하는 접근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정부의 공공정책 속에서 드러나는 의회의 역할을 단순히 정책사(policy history) 연구의 한 주제로 취급하는 것을 넘어 실질적 수혜자들인 일반 대중들과의 역동적 상호관계 속에서 조망하는 접근방식이다. 정부공공정책에서 의회의 역할에 대한 연구 중 특히 본고는 지금까지 많은 성과물을 발표하고 있는 주제인 젠더와 인종연구를 중심으로 논의를 풀어내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4-11-07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SA-CHONG(sa)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1 | 1.11 | 0.8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3 | 0.71 | 1.55 | 0.54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