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산업기술침해행위에 대한 형사법적 대응방안에 관한 고찰 - 일본의 관련법제인 부정경쟁방지법을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Criminal Response to the Behavior of Industrial Technology Violation – A Study on the Prevention of Unfair Competition Act in Japan -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81-107(27쪽)
KCI 피인용횟수
4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Today,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knowledge-intensive economy, there is a growing tendency to place emphasis on industrial technology information such as trade secrets, intangible assets. Especially, technical information is difficult to secure the evidence of criminality and evidence because of the nature of intangible information and it is difficult to prove it in trial process because of expertise. Therefore, both Korea and Japan are strengthening criminal regulations through the improvement and expansion of relevant legislation. The recent legislative situation reflects this tendency, which emphasizes not only the economic aspects of industrial technology information but also aspects of national security and national economy.
However, amendments to the law with only the social and national interests in mind are likely to cause many problems. For example, recent trends toward punishment as dangerous offenders threaten the principle of last resort and complementarity of the criminal law and, as a result, can arbitrarily limit the freedom and rights of the people. There is also the possibility of threatening human rights to life by overly restricting freedom of choice.
Based on these considerations, this paper will focus on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which is a Japanese law that regulates infringement activities such as industrial technology and the opinions of academics discussed in the revision process, We will also look into the future issues while comparing and reviewing them.
오늘날 지식집약형 경제의 급속한 발전에 의해서 무형자산인 영업비밀과같은 산업기술정보를 중시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 특히 기술정보는 무형적 정보의 특성상 범죄의 단속과 증거의 확보가 어렵고 전문성 등으로 인하여 재판과정에서의 입증도 곤란하다. 이에 우리나라와 일본도 관련법제의 정비와 확충을 통하여 형사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최근의 입법상황을 보아도산업기술정보가 갖는 경제적 측면뿐만 아니라 국가안보・국가경제의 측면을강조하고 있는 것은 이러한 경향을 반영한 것이다.
그러나 사회・국가적 법익에만 염두에 둔 법 개정은 여러 문제를 유발할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위험범으로 처벌하고자 하는 최근의 경향은 형법의 최후 수단성과 보충성의 원칙을 위협하고 그 결과 국민의 자유와 권리를자의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직업선택의 자유를 과도히 제한함으로써인간의 생존권을 위협할 우려도 있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사정을 바탕으로 특히 산업기술 등의 침해행위를 규율하고 있는 일본의 관련법제인 부정경쟁방지법 과 그 개정과정에서 논의되었던 학계의 견해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관련법제와도 비교・ 검토하면서 이후의 과제에 대하여도 살펴보고자 한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7 | 0.67 | 0.6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 | 0.61 | 0.749 | 0.23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