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필수) 세포생물학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 목차
    • 공저자 약력 = ⅴ
    • 저자 서문 = ⅵ
    • 감사의 글 = ⅷ
    • 교수 및 학생을 위한 학습 자료 = ⅸ
    • 역자 서문 = xii
    • 역자 약력 = xiv
    • 제1장 세포 : 생명의 기본 단위 = 1
    • 세포의 불변성과 다양성 = 2
    • 세포는 모양과 기능이 다양하다 = 2
    • 모든 세포는 유사한 화학 성분으로 구성된다 = 3
    • 현존하는 모든 세포는 동일한 조상으로부터 진화한 것으로 보인다 = 4
    • 유전자는 세포의 형태와 기능 그리고 복잡한 행동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 5
    • 현미경으로 본 세포의 세계 = 5
    • 광학현미경의 발명으로 세포를 발견하게 되었다 = 6
    • 광학현미경으로 세포와 일부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 7
    •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세포의 미세구조를 밝힐 수 있다 = 9
    • 원핵세포 = 12
    • 원핵생물은 지구 상에서 가장 다양하고 그 수가 많다 = 14
    • 원핵생물계는 진정세균과 고세균의 두 영역으로 나뉜다 = 15
    • 진핵세포 = 16
    • 핵은 세포의 유전정보 저장고이다 = 16
    • 미토콘드리아는 음식물로부터 에너지를 만들어 세포에 동력을 공급한다 = 17
    • 엽록체는 햇빛으로부터 에너지를 얻는다 = 19
    • 내부막은 기능이 서로 다른 세포내 구획을 만든다 = 21
    • 세포기질은 크고 작은 여러 생체분자가 농축되어 있는 액상이다 = 22
    • 세포골격은 방향성을 갖는 세포의 이동을 담당한다 = 22
    • 세포질은 정적인 상태와 거리가 멀다 = 24
    • 진핵세포는 포식자로서 시작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 24
    • 모델 생물체 = 27
    • 분자생물학자들은 대장균에 초점을 맞춘 연구를 해 왔다 = 28
    • 맥주를 만드는 데 쓰이는 효모는 단순한 진핵세포이다 = 28
    • 애기장대가 모델 식물로서 선택되었다 = 28
    • 모델 동물로는 파리, 어류, 선충 그리고 생쥐가 있다 = 29
    • 유전체의 염기서열 비교 분석은 생물체의 공통 조상을 밝혀 준다 = 34
    • 필수 개념 = 36
    • 제2장 세포의 화학적 구성 = 41
    • 화학결합 = 42
    • 세포는 몇 종류의 원자로 구성된다 = 42
    • 최외각 전자는 원자 간의 상호작용을 결정한다 = 43
    • 공유결합은 전자를 공유함으로써 형성된다 = 46
    • 공유결합에는 여러 형태가 존재한다 = 47
    • 공유결합의 세기는 다양하다 = 48
    • 이온결합은 전자를 얻거나 잃음으로써 형성된다 = 48
    • 비공유결합이 세포 안의 분자를 서로 결합시킨다 = 49
    • 수소결합은 많은 생체분자의 결합에 중요한 비공유결합이다 = 50
    • 일부 극성 분자는 물에서 산과 염기를 형성한다 = 51
    • 세포내의 작은 분자 = 52
    • 세포는 탄소화합물로 구성된다 = 53
    • 세포에는 네 가지 종류의 주요 유기분자가 존재한다 = 53
    • 당류는 세포의 에너지원이며 다당류의 구성단위이다 = 54
    • 지방산 사슬은 세포막의 성분이다 = 56
    • 아미노산은 단백질의 구성단위이다 = 58
    • 뉴클레오티드는 DNA와 RNA의 구성단위이다 = 59
    • 세포내의 거대분자 = 61
    • 거대분자는 소단위체의 특정 서열을 가진다 = 62
    • 비공유결합은 거대분자의 정확한 모양을 결정한다 = 62
    • 비공유결합은 거대분자가 선택적으로 다른 분자와 결합하게 한다 = 65
    • 필수 개념 = 67
    • 제3장 에너지, 촉매작용, 생합성 = 85
    • 세포의 에너지 이용 = 86
    • 생물학적 질서는 세포의 열에너지 방출로 이루어진다 = 86
    • 세포는 한 형태의 에너지를 다른 형태로 바꿀 수 있다 = 88
    • 광합성 생물체는 태양 빛을 이용하여 유기분자를 합성한다 = 89
    • 세포는 유기분자를 산화하여 에너지를 얻는다 = 90
    • 산화와 환원은 전자전달을 수반한다 = 91
    • 자유에너지와 촉매작용 = 92
    • 화학반응은 자유에너지의 손실을 일으키는 방향으로 진행한다 = 93
    • 효소는 자연 발생적 반응을 시작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낮춘다 = 93
    • 한 반응에서 자유에너지의 변화는 그 반응의 발생 여부를 결정한다 = 95
    • ΔG는 반응이 평형으로 진행하면서 변화한다 = 96
    • 표준자유에너지의 변화(ΔG°)는 반응의 에너지학적 비교를 가능하게 한다 = 96
    • 평형상수는 ΔG°에 직접적으로 비례한다 = 97
    • 복잡한 반응에서 평형 상수는 모든 반응물과 생성물의 농도를 포함한다 = 100
    • 평형상수는 분자 간 상호작용의 강도를 나타낸다 = 101
    • 연속적인 반응에서 자유에너지의 변화는 부가적이다 = 101
    • 열운동은 효소가 해당 기질을 찾게 한다 = 103
    • $$V_{max}$$$$K_M$$은 효소의 효율을 나타낸다 = 104
    • 활성운반체와 생합성 = 105
    • 활성운반체의 형성은 에너지적으로 유리한 반응과 연계된다 = 105
    • ATP는 기장 폭넓게 이용되는 활성운반체이다 = 109
    • ATP에 저장된 에너지는 두 개의 분자를 결합하는 데 이용된다 = 111
    • NADH와 NADPH는 중요한 전자운반체이다 = 111
    • NADPH와 NADH는 세포내에서 서로 다른 역할을 한다 = 112
    • 세포는 여러 다른 활성운반체를 이용한다 = 113
    • 생물학적 중합체의 합성에는 에너지 공급이 필요하다 = 115
    • 필수 개념 = 118
    • 제4장 단백질의 구조와 기능 = 123
    • 단백질의 모양과 구조 = 125
    • 단백질의 형태는 아미노산 서열에 의해 결정된다 = 125
    • 단백질은 가장 낮은 에너지구조로 접힌다 = 127
    • 단백질은 다양하고 복잡한 형태로 나타난다 = 129
    • α 나선과 β 병풍은 보편적인 접힘형태이다 = 132
    • 나선은 생물학적 구조에서 흔히 나타난다 = 132
    • β 병풍은 단백질 중심부의 견고한 구조를 형성한다 = 134
    • 단백질의 구성은 여러 단계로 이루어진다 = 134
    • 많은 단백질은 특정 구조를 갖지 않는 부분도 포함하고 있다 = 136
    • 생성 가능한 수많은 폴리펩티드 사슬 중 극소수만이 유용하다 = 137
    • 단백질은 여러군으로 분류될 수 있다 = 138
    • 큰 단백질 분자는 한 개 이상의 폴리펩티드 사슬로 구성되어 있다 = 139
    • 단백질은 필라멘트형, 박판형 또는 구형로 조립된다 = 140
    • 몇몇 종류의 단백질은 긴 섬유형태를 가진다 = 141
    • 세포외 단백질들은 종종 공유결합을 통한 교차연결에 의해 안정화된다 = 142
    • 단백질의 기능 = 144
    • 모든 단백질은 다른 분자와 결합할 수 있다 = 144
    • 항체는 매우 다양하며 각각의 항체는 고유의 결합부위를 지닌다 = 145
    • 효소는 강력하고 고도의 특이성을 지닌 촉매제이다 = 146
    • 리소자임은 효소가 어떻게 작용하는지 보여준다 = 147
    • 많은 약물은 효소의 기능을 저해한다 = 152
    • 강하게 결합된 작은 분자들은 단백질에 추가적인 기능을 부여한다 = 152
    • 단백질의 기능조절 = 153
    • 효소의 촉매활성은 종종 다른 분자에 의해 조절된다 = 154
    • 알로스테릭효소는 상호작용하는 2개 이상의 결합부위를 가진다 = 154
    • 인산회는 구조변화를 유도하여 단백질의 기능을 조절한다 = 156
    • 공유적 변형은 단백질의 세포내 위치와 상호작용을 조절한다 = 157
    • GTP-결합단백질도 인산기의 결합주기에 의해 활성이 조절된다 = 158
    • ATP 가수분해는 운동단백질들이 세포내에서 일정한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도와준다 = 159
    • 단백질은 종종 단백질기구로 작용하는 거대한 복합체를 형성한다 = 160
    • 단백질의 연구방법 = 160
    • 단백질은 세포나 조직으로부터 정제될 수 있다 = 161
    • 단백질의 구조결정을 위해서 먼저 아미노산 서열이 밝혀져야 한다 = 162
    • 유전공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거의 모든 단백질의 대량생산, 설계 및 분석이 가능하다 = 164
    • 단백질 간의 상호유사성은 단백질의 구조와 기능을 예측하는 데 도움을 준다 = 164
    • 필수 개념 = 172
    • 제5장 DNA와 염색체 = 175
    • DNA의 구조 = 176
    • 한 개의 DNA 분자는 두 개의 뉴클레오티드 가닥으로 구성된다 = 177
    • DNA의 구조는 유전현상에 필요한 기전을 제공한다 = 182
    • 진핵생물의 염색체 구조 = 183
    • 진핵세포의 DNA는 여러 개의 염색체에 응축되어 있다 = 183
    • 염색체는 유전자를 담고 있는 긴 줄이다 = 184
    • 특정한 DNA 염기서열이 DNA 복제 및 염색체 분리에 필요하다 = 186
    • 간기 염색체는 핵 내에서 질서 있게 존재한다 = 188
    • 염색체의 DNA는 언제나 고도로 응축되어 있다 = 188
    • 뉴클레오솜은 진핵세포 염색체 구조의 기본 단위이다 = 189
    • 염색체의 응축은 여러 단계로 진행된다 = 191
    • 염색체 구조의 조절 = 192
    • 뉴클레오솜 구조가 변화하면 DNA에 접근이 가능하다 = 192
    • 간기 염색체에는 응축된 염색질과 이완된 염색질이 모두 존재한다 = 194
    • 필수 개념 = 196
    • 제6장 DNA 복제, 회복 및 재조합 = 201
    • DNA 복제 = 202
    • 염기쌍 짝짓기는 DNA 복제를 가능하게 한다 = 202
    • DNA 합성은 복제기점에서 시작된다 = 203
    • 두 개의 복제분기점이 각 복제기점에서 형성된다 = 203
    • DNA 중합효소는 모사슬을 주형으로 하여 새로운 DNA를 합성한다 = 207
    • 복제분기점은 비대칭적이다 = 208
    • DNA 중합효소는 자체교정 기능을 갖고 있다 = 210
    • 짧은 RNA 조각이 DNA 합성의 프라이머로 작용한다 = 211
    • 복제분기점에 있는 단백질들은 복제기구를 형성하기 위해 협동한다 = 212
    • 말단소립중합효소는 진핵세포의 염색체 말단을 복제한다 = 214
    • DNA 회복 = 216
    • DNA 상해는 세포 안에서 끊임없이 발생된다 = 216
    • 세포는 다양한 DNA 회복기전을 보유하고 있다 = 218
    • DNA 미스매치 회복 시스템은 복제기구의 교정기능이 복구하지 못한 복제 실수를 제거한다 = 219
    • 이중나선 DNA 절단에는 다른 회복 전략이 요구된다 = 221
    • 상동재조합은 DNA 이중나선 절단을 완벽하게 회복할 수 있다 = 222
    • DNA 상해회복의 실패는 세포와 생물체에 심각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 223
    • DNA 복제와 회복의 정확도에 대한 기록은 유전체 염기서열에 보존되어 있다 = 224
    • 필수 개념 = 225
    • 제7장 DNA에서 단백질로 : 세포가 유전체를 읽는 방법 = 229
    • DNA에서 RNA로 = 230
    • DNA 염기서열의 일부분만 RNA로 전사된다 = 231
    • 전사는 DNA의 한쪽 가닥에 상보적인 RNA를 만든다 = 232
    • 세포는 여러 종류의 RNA를 합성한다 = 234
    • DNA에 있는 신호가 RNA 중합효소의 전사개시 및 종결 위치를 알려준다 = 235
    • 진핵세포 유전자의 전사개시는 복잡한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 237
    • 진핵세포의 RNA 중합효소는 보편전사인자들을 필요로 한다 = 238
    • 진핵세포의 RNA는 핵에서 공정 단계를 거친다 = 239
    • 진핵세포에서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는 인트론이라 불리는 비암호화 서열에 의해 끊겨 있다 = 240
    • 인트론은 RNA 스플라이싱에 의해 pre-mRNA로부터 제거된다 = 241
    • 성숙된 진핵세포의 mRNA는 핵 밖으로 수송된다 = 244
    • mRNA 분자는 세포질에서 결국 분해된다 = 244
    • 초기세포는 자신의 유전자에 인트론을 지니고 있었을 것이다 = 245
    • RNA에서 단백질로 = 246
    • mRNA의 서열은 세 개의 뉴클레오티드가 한 세트로 해독된다 = 246
    • tRNA 분자는 mRNA 내의 코돈과 아미노산을 맺어준다 = 247
    • 특정 효소가 tRNA를 상응하는 아미노산과 연결시킨다 = 251
    • mRNA의 정보는 리보솜에서 해독된다 = 252
    • 리보솜은 리보자임이다 = 254
    • mRNA에 있는 특별한 코돈이 단백질합성의 시작과 종결을 알려준다 = 255
    • 단백질은 폴리리보솜에서 만들어진다 = 257
    • 원핵세포의 단백질합성 저해제는 항생제로 사용된다 = 258
    • 단백질 분해를 제어함으로써 세포내 각 단백질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 258
    • DNA와 단백질 사이에는 거쳐야 할 많은 단계가 있다 = 260
    • RNA와 생명의 기원 = 261
    • 생물체는 자가촉매 작용을 필요로 한다 = 262
    • RNA는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고 화학반응의 촉매작용을 할 수도 있다 = 262
    • RNA는 진화과정에서 DNA보다 먼저 출현한 분자로 생각된다 = 264
    • 필수 개념 = 265
    • 제8장 유전자 발현의 조절 = 269
    • 유전자 발현에 대한 개관 = 270
    • 한 다세포생물에서 서로 다른 유형의 세포는 모두 동일한 DNA를 가지고 있다 = 270
    • 세포의 유형에 따라 서로 다른 단백질들이 만들어진다 = 270
    • 세포는 외부 신호에 반응하여 유전자의 발현을 바꿀 수 있다 = 272
    • 유전자 발현은 DNA로부터 RNA와 단백질을 만드는 경로의 여러 단계에서 조절될 수 있다 = 272
    • 전사조절은 어떻게 일어나는가 = 273
    • 전사조절인자는 조절성 DNA 염기서열에 결합한다 = 273
    • 세포는 전사 스위치를 통해 환경 변화에 반응한다 = 275
    • 억제인자는 유전자 발현을 중지시키며, 활성인자는 유전자 발현을 증진시킨다 = 276
    • 활성인자와 억제인자가 Lac 오페론을 조절한다 = 277
    • 진핵생물의 전사조절인자는 먼 거리에서도 유전자 발현을 조절한다 = 278
    • 진핵생물의 전사조절인자는 염색질-변형 단백질을 유인하여 전사개시를 조절한다 = 279
    • 특정 세포유형을 만드는 분자 기전 = 280
    • 진핵생물의 유전자 발현은 전사조절인자의 여러 조합에 의해 조절된다 = 280
    • 하나의 단백질이 서로 다른 여러 유전자의 발현을 통합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 281
    • 조합조절에 의해 서로 다른 세포유형이 형성될 수 있다 = 285
    • 분화된 특정 세포도 만능 줄기세포로 재편성될 수 있다 = 285
    • 온전한 기관이 하나의 전사조절인자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 287
    • 후성유전 기전은 분화된 세포의 유형이 유지되도록 한다 = 287
    • 전사후 조절 = 289
    • 각각의 mRNA는 자신의 분해와 번역을 조절한다 = 289
    • 조절 RNA는 수많은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한다 = 290
    • 마이크로 RNA는 표적 mRNA의 분해를 유도한다 = 291
    • 작은 간섭 RNA는 감염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하기 위해 이중가닥의 외부 DNA로부터 형성된다 = 292
    • 수 천 종류의 긴 비암호화 RNA는 포유류 유전자의 활성을 조절할 수 있다 = 293
    • 필수 개념 = 293
    • 제9장 유전자와 유전체는 어떻게 진화하는가? = 299
    • 유전적 변이의 생성 = 300
    • 유성생식 생물체에서는 오직 생식선 세포에서의 변화만이 자손으로 전달된다 = 302
    • 점돌연변이는 정상적인 DNA 복제와 회복 기전의 실패로 발생한다 = 303
    • 점돌연변이는 유전자의 조절을 바꿀 수 있다 = 304
    • DNA 중복은 유사 유전자군을 형성한다 = 306
    • 글로빈 유전자군의 진화는 유전자 중복과 분기가 어떻게 새로운 단백질을 생성하는지를 보여준다 = 307
    • 전체 유전체의 중복은 많은 종의 진화적 역사를 형성해 왔다 = 308
    • 새로운 유전자는 엑손 뒤섞기에 의해 생길 수 있다 = 308
    • 전이유전인자의 이동은 유전체의 진화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 309
    • 유전자는 생물체 간 수평적 유전자 전달에 의해 교환될 수 있다 = 310
    • 생명체 가계도의 재구성 = 310
    • 생물체에 선택적 이점을 주는 유전적 변화는 거의 보존된다 = 311
    • 가까운 유연관계에 있는 생명체의 유전체는 염기서열뿐 아니라 구성도 유사하다 = 311
    • 기능적으로 중요한 유전체 지역은 DNA 서열이 보존된 형태로 나타난다 = 313
    • 유전체를 비교해보면 척추동물의 유전체에서 DNA는 DNA를 빠르게 획득되고 상실되었음을 알 수 있다 = 315
    • 유전자의 서열 보존을 통하여 가장 먼 진화 관계까지도 유추할 수 있다 = 316
    • 전위인자와 바이러스 = 317
    • 전이유전인자는 이동에 필요한 구성성분을 암호화한다 = 318
    • 인간 유전체는 두 종류의 주요 전위염기서열군이 있다 = 318
    • 바이러스는 세포나 생명체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 320
    • 레트로바이러스는 정상적인 유전정보의 흐름을 거스른다 = 322
    • 인간 유전체 연구 = 323
    • 인간 유전체의 염기서열은 우리의 유전자가 어떻게 배열되어 있는지 보여준다 = 324
    • 보존된 유전체 서열에서 빠르게 변한 부분의 확인은 어떤 요인이 우리를 인간으로 만들었는지 밝히는 단초를 제공한다 = 326
    • 인간 유전체 내 유전적 변이는 각 개인의 특성을 나타낸다 - 그러나 어떻게? = 327
    • 유전자 조절의 차이는 유사한 유전체를 가진 동물들의 발생적 차이를 설명해준다 = 331
    • 필수 개념 = 332
    • 제10장 현대의 재조합 DNA 기술 = 337
    • DNA 분자의 조작과 분석 = 338
    • 제한효소는 DNA 분자의 특정부위를 절단한다 = 339
    • 전기영동법을 이용하여 DNA 절편을 크기 별로 분리한다 = 339
    • 겔의 DNA 밴드는 형광염료나 방사선동위원소를 이용하여 볼 수 있다 = 341
    • 잡종화 방법으로 특정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찾아낸다 = 341
    • 박테리아를 이용한 DNA 클로닝 = 342
    • DNA 클로닝은 유전체를 작게 잘라 재조합 DNA를 만드는 것부터 시작한다 = 343
    • 재조합 DNA는 플라스미드 벡터에 삽입할 수 있다 = 343
    • 재조합 DNA는 박테리아 세포 안에서 복제한다 = 344
    • 유전자는 DNA 라이브러리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 345
    • cDNA 라이브러리는 특정 세포에서 만들어지는 mRNA를 반영한다 = 346
    • PCR을 이용한 DNA 클로닝 = 347
    • PCR은 원하는 DNA 서열을 증폭하기 위하여 DNA 중합효소를 사용한다 = 349
    • 반복되는 증폭과정을 통하여 원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가진 수십 억 개의 복사본을 얻을 수 있다 = 349
    • PCR은 법의학이나 진단에도 이용된다 = 350
    • 유전자 기능의 연구와 활용 = 353
    • 유전체 전체의 염기서열을 신속히 결정할 수 있다 = 353
    • 차세대 염기서열결정법을 이용하면 유전체의 염기서열 결정을 빠르고 값싸게 수행할 수 있다 = 355
    • 유전체를 비교 분석하여 유전자를 확인하고 그 기능을 예견할 수 있다 = 358
    • DNA 마이크로어레이나 RNA 염기서열분석 방법으로 mRNA를 분석하면 전체적인 유전자 발현 양상을 파악할 수 있다 = 358
    • 원위치잡종화 방법을 이용하여 유전자가 발현되는 위치와 시간을 알 수 있다 = 359
    • 리포터 유전자를 이용하여 살아있는 세포에서 특정단백질을 추적한다 = 360
    • 돌연변이체의 연구를 통하여 유전자의 기능을 밝힐 수 있다 = 361
    • RNA 간섭(RNAi)을 이용하여 특정 유전자의 활성을 억제 할 수 있다 = 362
    • 알려진 유전자를 제거하거나 변형된 형태로 대체할 수 있다 = 362
    • 돌연변이 생물체는 인간의 질병에 대한 유용한 모델을 제공한다 = 364
    • 유전자전이 식물은 세포생물학뿐만 아니라 농업에도 중요하다 = 365
    • 클로닝된 DNA를 이용하여 희귀한 단백질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 = 366
    • 필수 개념 = 367
    • 제11장 막 구조 = 373
    • 지질이중층 = 375
    • 막지질은 물에서 이중층을 형성한다 = 375
    • 지질이중층은 이차원적인 유동 구조이다 = 378
    • 지질이중층의 유동성은 구성 성분에 의해 결정된다 = 379
    • 막의 조립은 소포체에서 시작된다 = 380
    • 특정 인지질들은 막의 한쪽 면에만 국한되어 있다 = 381
    • 막단백질 = 383
    • 막단백질은 여러 방법으로 지질이중층과 결합한다 = 384
    • 폴리펩티드 사슬은 대개 α 나선형 구조로 지질이중층을 통과한다 = 385
    • 막단백질은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용해할 수 있다 = 386
    • 구조가 완전히 알려진 막단백질은 드물다 = 386
    • 원형질막은 아래쪽을 받쳐주는 세포피질에 의해 보강되어 있다 = 388
    • 세포는 막단백질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 390
    • 탄수화물이 세포 표면을 덮고 있다 = 391
    • 필수 개념 = 395
    • 제12장 세포막을 통과하는 수송 = 399
    • 막을 통과하는 수송의 원리 = 400
    • 지질이중층은 이온과 대부분의 비전하성 극성 분자에 대해 비투과성을 가진다 = 400
    • 세포내 이온 농도는 세포외 이온 농도와 매우 다르다 = 401
    • 세포막을 경계로 한 무기 이온의 농도차는 막전위를 생성한다 = 401
    • 세포는 두 종류의 막수송단백질을 갖는다 : 수송체와 통로 = 402
    • 용질은 수동수송이나 능동수송 중 한 가지 방법을 통해 세포막을 통과한다 = 402
    • 전하성 용질의 수동수송은 농도구배뿐만 아니라 막전위의 영향을 받는다 = 403
    • 물은 삼투(osmosis)라 불리는 과정을 통해 농도구배에 따라 수동적으로 세포막을 통과한다 = 404
    • 수송체와 그 기능 = 405
    • 수동수송체가 전기화학적 구배에 순행하여 용질을 이동시킨다 = 406
    • 펌프가 전기화학적 구배에 역행하여 용질을 능동적으로 수송한다 = 407
    • 동물세포의 Na⁺펌프는 ATP가 제공하는 에너지를 이용하여 Na⁺을 세포 밖으로 내보내고 K⁺을 세포 안으로 들여온다 = 407
    • Na⁺펌프는 원형질막을 경계로 한 Na⁺의 가파른 농도구배를 생성한다 = 408
    • C$$a^{2+}$$펌프는 세포기질의 C$$a^{2+}$$농도를 낮게 유지한다 = 408
    • 연계펌프는 용질의 구배를 활용하여 능동수송을 매개한다 = 409
    • Na⁺의 전기화학적 구배는 동물세포 원형질막의 연계펌프를 구동한다 = 410
    • H⁺의 전기화학적 구배는 식물, 진균, 세균의 연계펌프를 구동한다 = 412
    • 이온통로와 막전위 = 413
    • 이온통로는 이온 선택성을 가지며 개폐가 조절된다 = 414
    • 막전위는 특정 이온에 대한 막의 투과성에 의해 결정된다 = 415
    • 이온통로는 무작위로 개방과 폐쇄 상태를 재빠르게 오간다 = 416
    • 다양한 유형의 자극들이 이온통로의 개폐에 영향을 준다 = 418
    • 전위의존적 이온통로는 막전위에 반응한다 = 419
    • 이온통로와 신경세포의 신호전달 = 420
    • 활동전위는 축삭을 따라 빠른 장거리 소통이 일어나도록 한다 = 421
    • 활동전위는 전위의존적 양이온통로에 의해 매개된다 = 422
    • 전위의존적 C$$a^{2+}$$통로는 신경말단에서 전기적 신호를 화학적 신호로 전환한다 = 426
    • 시냅스후 막의 전달물질의존적 이온통로는 화학적 신호를 다시 전기적 신호로 전환시킨다 = 427
    • 신경전달물질은 흥분성이거나 억제성일 수 있다 = 428
    • 대부분의 향정신성 약물은 신경전달물질 수용체에 결합하여 시냅스의 신호전달에 영향을 준다 = 430
    • 시냅스 신호전달의 복잡성은 우리의 사고, 행동, 학습, 기억을 가능하게 한다 = 431
    • 광유전학(optogenetics)은 광의존적 이온통로를 이용하여 살아있는 동물의 뉴런을 단시간 동안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할 수 있다 = 432
    • 필수 개념 = 433
    • 제13장 세포가 음식물로부터 에너지를 얻는 경로 = 437
    • 당과 지방의 분해와 이용 = 438
    • 음식물은 세 단계로 분해된다 = 439
    • 해당작용에서는 당을 쪼개 에너지를 얻는다 = 441
    • 해당작용은 ATP와 NADH 두 가지를 생산한다 = 441
    • 발효를 통해 산소가 없는 상태에서도 ATP가 생성될 수 있다 = 443
    • 해당작용의 효소는 산화를 활성 운반체의 에너지 저장과 연계시킨다 = 444
    • 여러 유기분자들이 미토콘드리아의 기질에서 아세틸 CoA로 전환된다 = 445
    • 구연산회로는 아세틸기를 CO₂로 산화시켜 NADH를 생성한다 = 449
    • 많은 생합성경로가 해당작용이나 구연산회로로부터 시작된다 = 454
    • 거의 모든 세포에서 전자전달은 대부분의 ATP 합성을 유도한다 = 457
    • 물질대사의 조절 = 458
    • 이화작용과 동화작용 반응들은 체계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조절된다 = 459
    • 되먹임 조절에 의해 포도당의 분해와 합성이 조절된다 = 459
    • 세포는 에너지가 필요한 시기를 위해 영양물질을 특별한 저장소에 저장한다 = 460
    • 필수 개념 = 463
    • 제14장 미토콘드리아와 엽록체에서의 에너지 생산 = 467
    • 세포는 막을 기반으로 한 기전에 의해 대부분의 에너지를 얻는다 = 468
    • 화학삼투 연계라는 고대의 과정이 현대의 세포까지 보존되어 있다 = 469
    • 미토콘드리아와 산화적 인산화 = 471
    • 미토콘드리아는 세포의 요구에 따라 자신의 모양과 위치, 숫자를 변경할 수 있다 = 471
    • 미토콘드리아에는 외막과 내막, 그리고 두 개의 내부 구획이 있다 = 472
    • 구연산회로는 ATP 합성에 필요한 고에너지 전자를 생산한다 = 473
    • 전자의 이동은 수소이온 펌프작용과 연계되어 있다 = 474
    • 수소이온은 전자전달계의 단백질에 의해 미토콘드리아 내막을 가로질러 펌프질된다 = 476
    • 수소이온펌프는 미토콘드리아 내막을 경계로 가파른 전기화학적 수소이온 구배를 형성한다 = 477
    • ATP 합성효소는 전기 화학적 수소이온 구배에 저장된 에너지를 사용하여 ATP를 만든다 = 477
    • 미토콘드리아 내막을 가로지르는 연계수송은 수소이온의 전기화학적 구배에 의해 일어난다 = 479
    • 미토콘드리아에서 ADP를 ATP로 빠르게 전환하여 세포내의 ATP 대 ADP 비율을 높게 유지한다 = 480
    • 세포 호흡은 매우 놀랍도록 효율적이다 = 481
    • 전자전달과 수소이온 펌프의 분자기전 = 482
    • 수소이온은 전자의 이동에 의해 쉽게 움직인다 = 482
    • 산화환원 전위는 전자친화도의 척도이다 = 485
    • 전자 이동은 많은 에너지를 방출한다 = 486
    • 단백질에 단단히 결합된 금속이 다양한 전자운반체의 역할을 한다 = 486
    • 시토크롬 c 산화효소는 산소분자의 환원을 촉매한다 = 489
    • 엽록체와 광합성 = 490
    • 엽록체는 미토콘드리아와 비슷하지만 미토콘드리아에 없는 여분의 구획인 틸라코이드를 가지고 있다 = 491
    • 광합성은 ATP와 NADPH를 생산하고, 또 소비한다 = 492
    • 태양빛은 엽록소 분자에 의해 흡수된다 = 493
    • 흥분된 엽록소는 에너지를 반응중심으로 모은다 = 493
    • 두 개의 광계는 ATP와 NADPH를 만들어내기 위해 협력한다 = 494
    • 산소는 광계 Ⅱ와 연관된 물-분해 복합체에 의해 생산된다 = 495
    • 광계 Ⅰ의 특수 쌍은 광계 Ⅱ로부터 전자를 받는다 = 496
    • 탄소고정반응은 ATP와 NADPH를 이용하여 CO₂를 당류로 전환한다 = 497
    • 탄소고정반응에 의하여 만들어진 당류는 녹말로 저장되거나 ATP를 생산하기 위해 소비된다 = 500
    • 에너지 생산체계의 진화 = 500
    • 산화적 인산화는 단계적으로 진화되었다 = 501
    • 광합성 박테리아는 지구 환경에서 필요한 것이 별로 없다 = 502
    • 메탄생성 고세균의 생활사를 보면 화학삼투 연계가 원시상태부터 있었음을 알 수 있다 = 503
    • 필수 개념 = 504
    • 제15장 세포내 구획과 단백질 운반 = 509
    • 막성 세포소기관 = 510
    • 진핵세포는 기본적인 한 세트의 막성 세포소기관을 지니고 있다 = 510
    • 막성 세포소기관들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진화하였다 = 513
    • 단백질 분류 = 514
    • 단백질은 세 가지 기전에 의해 세포소기관으로 이동하게 된다 = 515
    • 단백질이 정확한 구획으로 운반되는 것은 신호서열에 의한다 = 516
    • 핵으로 이동하는 단백질들은 핵공을 통과한다 = 517
    • 단백질이 미토콘드리아와 엽록체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입체구조가 풀려야 한다 = 519
    • 퍼옥시솜으로 들어가는 단백질들은 세포기질과 소포체 두 곳으로부터 이동한다 = 521
    • 단백질은 그 합성이 진행되는 중에 소포체로 들어간다 = 521
    • 소포체 상에서 합성된 수용성 단백질은 소포체 내강으로 방출된다 = 523
    • 개시 및 종결신호는 지질이중층 내 막관통단백질의 배열을 결정한다 = 524
    • 소낭 수송 = 526
    • 수송소낭은 수용성 단백질과 막을 여러 구획으로 운반한다 = 526
    • 소낭의 출아는 단백질 외피의 조립으로 시작된다 = 527
    • 소낭의 특정 소기관과의 결합은 연결단백질과 SNARE의 작용에 의한다 = 530
    • 분비 경로 = 531
    • 대부분의 단백질은 소포체에서 공유결합에 의해 변형된다 = 532
    • 소포체로부터의 단백질의 방출은 단백질의 품질을 유지하기 위하여 조절된다 = 533
    • 소포체의 크기는 단백질에 대한 수요에 따라 조절된다 = 534
    • 단백질은 골지체에서 추가적인 변형과 분류 과정을 거친다 = 535
    • 분비성 단백질은 세포외방출에 의해 세포 밖으로 배출된다 = 536
    • 세포내도입 경로 = 540
    • 특화된 포식세포는 거대입자를 섭취한다 = 541
    • 유동액과 거대분자들은 음세포작용에 의해 섭취된다 = 542
    • 수용체매개 세포내도입 과정은 동물세포에 특수한 수송경로를 제공한다 = 542
    • 세포내로 도입된 거대분자들은 엔도솜에서 분류된다 = 544
    • 리소솜은 세포내에서 물질 분해가 일어나는 주된 장소이다 = 545
    • 필수 개념 = 547
    • 제16장 세포의 정보교환 = 551
    • 세포 신호전달의 일반 원리 = 552
    • 신호는 원거리와 근거리에 모두 전달된다 = 552
    • 각 세포는 과거와 현재의 상태에 따라 제한된 종류의 외부 신호에 반응한다 = 554
    • 신호에 대한 세포의 반응은 빠를 수도 느릴 수도 있다 = 556
    • 일부 호르몬은 원형질막을 통과하여 세포내 수용체에 결합한다 = 558
    • 일부 용해된 기체는 원형질막을 통과하여 세포내 효소를 직접 활성화시킨다 = 559
    • 세포표면 수용체는 세포내 신호전달경로를 통하여 세포외 신호를 중계한다 = 560
    • 일부 세포내 신호전달 단백질은 분자 스위치로 작용한다 = 562
    • 세포표면 수용체는 세 가지 주요 부류로 나누어진다 = 563
    • 이온통로 연계수용체는 화학신호를 전기신호로 바꾼다 = 565
    • G-단백질연계수용체 = 566
    • G-단백질연계수용체(GPCR)에 대한 자극은 G-단백질의 소단위체를 활성화시킨다 = 567
    • 일부 세균성 독소는 G-단백질의 활성을 바꿈으로써 질병을 유발한다 = 569
    • 일부 G-단백질은 이온통로를 직접 조절한다 = 569
    • 많은 G-단백질은 막 결합효소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작은 신호분자를 생산한다 = 570
    • 고리형 AMP 경로는 여러 효소를 활성화시키며 유전자 발현을 조절한다 = 571
    • 이노시톨인지질 경로는 세포내 C$$a^{2+}$$증가를 촉발한다 = 573
    • C$$a^{2+}$$ 신호는 다양한 생물학적 반응을 유발한다 = 575
    • GPCR에 의해 작동되는 세포내 신호전달 연쇄반응은 놀랄만한 속도, 민감성 및 적응성을 갖는다 = 577
    • 효소연계수용체 = 578
    • 활성화된 수용체 티로신인산화효소(RTK)는 세포내 신호전달단백질 복합체를 불러들인다 = 579
    • 대부분의 수용체 티로신인산화효소(RTK)는 단량체 GTP 가수분해효소인 Ras를 활성화시킨다 = 580
    • 수용체 티로신인산화효소(RTK)는 인산이노시타이드 3-인산화효소(PI 3-kinase)를 활성화시켜 원형질막에 지방 결합 자리를 만든다 = 582
    • 일부 효소연계수용체는 핵으로 가는 빠른 길을 활성화시킨다 = 583
    • 세포간 정보교환은 동물과 식물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진화하였다 = 583
    • 단백질 인산화효소의 네트워크는 정보를 통합하여 복잡한 세포행동을 조절한다 = 588
    • 필수 개념 = 589
    • 제17장 세포골격 = 595
    • 중간필라멘트 = 597
    • 중간필라멘트는 강하고 밧줄 같은 구조이다 = 597
    • 중간필라멘트는 세포를 강화시켜 물리적 압박을 견디게 한다 = 599
    • 핵막은 중간필라멘트로 이루어진 그물망에 의해 지탱된다 = 601
    • 미세소관 = 601
    • 미세소관은 구조적으로 독특한 말단을 가진 속이 빈 원통형 관이다 = 602
    • 중심체는 동물세포에서 주요 미세소관 구성의 중심부이다 = 603
    • 성장 중인 미세소관은 동적 불안정성을 보인다 = 604
    • 동적 불안정성은 GTP 가수분해에 의해 이루어진다 = 605
    • 미세소관의 역동성은 약물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 = 606
    • 미세소관은 세포 내부를 체계화한다 = 607
    • 운동단백질이 세포내 수송을 이끈다 = 608
    • 미세소관과 운동단백질이 세포질에서 세포소기관의 위치를 결정한다 = 609
    • 섬모와 편모는 디네인에 의해 움직이는 안정된 미세소관을 가지고 있다 = 610
    • 액틴필라멘트 = 614
    • 액틴필라멘트는 가늘고 유연하다 = 615
    • 액틴과 튜불린은 중합기전이 비슷하다 = 616
    • 많은 단백질들이 액틴에 결합하여 액틴의 특성을 변화시킨다 = 618
    • 대부분의 진핵세포의 원형질막 아래에는 액틴필라멘트가 풍부한 피질이 존재한다 = 619
    • 세포의 포복은 피질액틴에 의해 이루어진다 = 620
    • 액틴은 미오신과 결합하여 수축성 기구를 형성한다 = 622
    • 세포외부신호가 액틴필라멘트의 배열을 변화시킬 수 있다 = 623
    • 근 수축 = 624
    • 근 수축은 액틴필라멘트와 미오신필라멘트의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진다 = 625
    • 근 수축 동안 액틴필라멘트는 미오신필라멘트를 활주한다 = 626
    • 근 수축은 세포질 C$$a^{2+}$$의 급상승으로 촉발된다 = 628
    • 다른 형태의 근육세포는 다른 기능을 수행한다 = 630
    • 필수 개념 = 631
    • 제18장 세포분열주기 = 635
    • 세포주기에 대한 개요 = 636
    • 진핵생물의 세포주기는 일반적으로 네 단계로 이루어진다 = 637
    • 세포주기 조절시스템은 세포주기의 주요 과정을 촉발한다 = 638
    • 세포주기의 조절은 모든 진핵생물에서 유사하다 = 639
    • 세포주기 조절시스템 = 639
    • 세포주기 조절시스템은 주기적으로 활성화되는 단백질인산화효소인 Cdk에 의존한다 = 640
    • 조개를 이용한 실험에서 알아냄 = 642
    • 다른 사이클린-Cdk 복합체는 세포주기의 다른 단계를 촉발한다 = 643
    • 사이클린 농도는 전사와 단백질 분해에 의해 조절된다 = 644
    • 사이클린-Cdk 복합체의 활성은 인산화와 탈인산화에 의존한다 = 644
    • Cdk의 활성은 Cdk 억제 단백질에 의해 억제될 수 있다 = 645
    • 세포주기 조절시스템은 다양한 방법으로 세포주기의 진행을 멈출 수 있다 = 645
    • G₁기 = 646
    • Cdk는 G₁기에서 안정적으로 비활성화되어 있다 = 646
    • 마이토젠은 세포분열을 촉진하는 사이클린의 생성을 증가시킨다 = 647
    • DNA 손상은 G₁기를 통과하는 것을 잠시 멈추게 한다 = 648
    • 세포는 특화된 비분열 상태에 진입함으로써 세포주기를 지연시킬 수 있다 = 649
    • S기 = 649
    • S-Cdk는 DNA 복제를 시작하고 재복제를 억제한다 = 649
    • 불완전한 DNA 복제는 G₂기에서 세포주기를 멈출 수 있다 = 651
    • M기 = 651
    • M-Cdk는 세포가 M기와 유사분열 단계로 진입하도록 한다 = 651
    • 코헤신과 콘덴신은 복제된 염색체를 나누는데 도움을 준다 = 652
    • 서로 다른 세포골격 구조물이 각각 유사분열과 세포질분열을 수행한다 = 652
    • M기는 단계별로 일어난다 = 653
    • 유사분열 = 656
    • 중심체는 유사분열 방추사의 양극 형성을 위해 복제된다 = 656
    • 유사분열 방추사는 전기에 조립되기 시작한다 = 657
    • 염색체는 전중기에서 유사분열 방추사에 부착된다 = 657
    • 염색체는 유사분열 방추사가 조립되도록 돕는다 = 659
    • 염색체는 중기에 방추사 적도판에 배열된다 = 659
    • 단백질 분해가 후기에서의 자매염색분체 분리를 촉발한다 = 660
    • 염색체는 후기 동안에 분리된다 = 660
    • 방추사가 붙지 않은 염색체는 자매염색분체의 분리를 억제한다 = 661
    • 핵막은 말기에 재형성된다 = 662
    • 세포질분열 = 662
    • 유사분열 방추사가 세포질분열의 위치면을 결정한다 = 663
    • 동물세포의 수축환은 액틴과 미오신 필라멘트로 구성된다 = 664
    • 식물세포의 세포질분열은 새로운 세포벽 형성을 수반한다 = 664
    • 막으로 둘러싸인 세포소기관은 유사분열 과정에서 딸세포로 분배되어야 한다 = 666
    • 세포의 수와 크기 조절 = 667
    • 세포예정사는 동물세포 수의 조절을 돕는다 = 667
    • 세포예정사는 세포내 단백질분해효소의 연쇄반응에 의해 매개된다 = 668
    • 세포예정사는 세포내 단백질인 Bcl2 계열에 의해 조절된다 = 670
    • 세포 외부의 신호도 세포예정사를 일으킬 수 있다 = 671
    • 동물세포는 생존과 성장, 그리고 분열을 위해 세포 외부의 신호를 필요로 한다 = 672
    • 생존인자는 세포예정사를 억제한다 = 673
    • 마이토젠은 S기로의 진입을 촉진하여 세포분열을 자극한다 = 673
    • 성장인자는 세포의 성장을 자극한다 = 674
    • 일부 세포외부 신호단백질은 세포의 성장과 분열 또는 생존을 억제한다 = 674
    • 필수 개념 = 675
    • 제19장 유성생식과 유전학의 힘 = 681
    • 성의 이점 = 682
    • 유성생식에는 이배체와 반수체 세포 모두가 관여한다 = 682
    • 유성생식은 유전적 다양성을 제공한다 = 683
    • 유성생식은 변화하는 환경에서 생물체에 경쟁적 이점을 제공한다 = 684
    • 감수분열과 수정 = 685
    • 감수분열 동안 한차례의 DNA 복제에 뒤이어 두 번의 세포 분열이 일어난다 = 685
    • 감수분열은 복제된 상동염색체들의 접합을 필요로 한다 = 686
    • 교차는 각 이가염색체에서 복제된 모계염색체와 부계염색체 사이에서 일어난다 = 688
    • 염색체의 접합과 교차는 상동염색체들의 적절한 분리를 보장한다 = 690
    • 제2차 감수분열은 반수체 딸세포들을 만든다 = 691
    • 반수체 세포들은 재배열된 유전정보를 담고 있다 = 692
    • 감수분열에도 결점은 있다 = 693
    • 수정을 통해 완전한 이배체 유전체가 재구성된다 = 694
    • 멘델과 유전법칙 = 695
    • 멘델은 불연속적으로 유전되는 형질을 연구재료로 선택하였다 = 696
    • 멘델은 유전의 양자택일 이론이 잘못이었음을 증명하였다 = 696
    • 멘델의 실험은 우성과 열성 대립유전자의 존재를 밝혔다 = 697
    • 각각의 배우자는 각 형질에 대해 하나의 대립유전자만을 가지고 있다 = 698
    • 멘델의 분리의 법칙은 모든 유성생식 생물체에 적용된다 = 699
    • 서로 다른 형질의 대립유전자들은 독립적으로 분리된다 = 700
    • 감수분열 동안 염색체는 멘델의 유전법칙에 따라 행동한다 = 701
    • 같은 염색체에 존재하는 유전자들도 교차에 의해 독립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 704
    • 유전자는 돌연변이에 의해 기능을 상실할 수도 있고 새로운 기능을 획득할 수도 있다 = 704
    • 우리 모두는 잠재적으로 많은 숫자의 해로운 열성 돌연변이 대립유전자들을 지니고 있다 = 705
    • 실험적 도구로서의 유전학 = 706
    • 고전적 접근법은 무작위적 돌연변이 유발로 시작되었다 = 706
    • 유전검색를 통해 특정 세포기능에 결함을 가진 돌연변이체를 찾는다 = 707
    • 치명적 돌연변이의 연구는 조건 돌연변이체를 통해 가능하다 = 709
    • 상보성 검사는 두 개의 돌연변이가 같은 유전자 상에 존재하는지를 밝혀준다 = 710
    • 신속하고 값싼 DNA 서열결정법은 인간 유전자 연구에 혁명을 불러왔다 = 711
    • 유전적 다형성은 우리의 조상으로부터 연관된 블록형태로 유래되었다 = 711
    • 유전체 서열은 인간 진화의 역사에 대한 단서를 제공한다 = 712
    • 다형성은 질병연관 돌연변이를 찾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 713
    • 유전체학은 심각한 선천적 질병을 초래하는 흔치않은 돌연변이의 발견을 가속화시킨다 = 715
    • 필수 개념 = 718
    • 제20장 세포 공동체 : 조직, 줄기세포, 암 = 723
    • 세포외기질과 결합조직 = 724
    • 식물세포는 단단한 외부 벽으로 둘러싸여 있다 = 725
    • 셀룰로오스 미세원섬유는 식물의 세포벽에 인장강도를 제공한다 = 726
    • 동물의 결합조직은 대부분 세포외기질로 구성된다 = 727
    • 콜라겐은 동물의 결합조직에 인장력을 제공한다 = 728
    • 세포는 자신이 분비하는 콜라겐을 조직화하는 능력이 있다 = 730
    • 인테그린은 세포 내부의 세포골격과 세포 외부의 세포외기질을 연결시킨다 = 731
    • 다당류와 단백질의 겔은 세포 사이의 간격을 메워주고 압축에 견디게 한다 = 733
    • 상피조직의 박판과 세포연접 = 734
    • 상피조직의 박판은 분극화되어 있으며 기저판에 접해 있다 = 735
    • 밀착연접은 상피조직의 누출을 방지하며 정단면과 기저만을 경계 짓는다 = 737
    • 세포골격과 연결된 연접은 상피세포와 상피세포, 그리고 상피세포와 기저판 사이를 단단히 결합시킨다 = 738
    • 간극연접은 세포와 세포 사이에서 세포질의 무기이온과 작은 분자의 이동 통로가 된다 = 741
    • 조직의 유지와 재생 = 743
    • 조직은 여러 종류의 세포가 섞여 구성되어 있다 = 744
    • 조직의 재생 비율은 조직마다 차이가 있다 = 746
    • 줄기세포는 최종 분화된 세포를 지속적으로 공급한다 = 746
    • 줄기세포 집단을 유지하는 데에는 특정 신호가 필요하다 = 748
    • 줄기세포는 손실되었거나 훼손된 조직을 회복시키는 데 이용될 수 있다 = 749
    • 치료용 클로닝(therapeutic cloning)과 생식적 클로닝(reproductive cloning)은 매우 다른 분야이다 = 751
    • 유도만능줄기세포(induced pluripotent stem cell)는 인간의 ES 세포처럼 편리한 재료다 = 752
    • 암 = 753
    • 암세포는 증식과 더불어 조직을 침투하여 전이된다 = 754
    • 역학 연구는 예방할 수 있는 암의 원인을 찾아낸다 = 755
    • 암은 돌연변이의 축적에 의해 발생한다 = 756
    • 암세포는 다른 세포와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도록 진화한다 = 757
    • 종양유전자와 종양억제유전자, 두 부류의 유전자가 암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 759
    • 암의 원인이 되는 돌연변이는 몇 몇 기본적인 경로로 나뉠 수 있다 = 761
    • 대장암은 종양억제유전자의 결손이 어떻게 암과 연관되는지를 보여준다 = 761
    • 암 세포생물학의 이해로 암 치료의 새로운 방법을 찾을 수 있다 = 762
    • 필수 개념 = 766
    • 해답 = 771
    • 용어해설 = 843
    • 찾아보기 = 877
    더보기

    온라인 도서 정보

    온라인 서점 구매

    온라인 서점 구매
    서점명 서명 판매현황 종이책 전자책구매링크
    정가 판매가
    (할인율)
    포인트
    (포인트몰)

    필수 세포생물학

    절판 48,000 원 48,000원 (0%) 종이책 구매 0 포인트 (0%)
    • 포인트 적립은 해당 온라인 서점 회원인 경우만 해당됩니다.
    • 상기 할인율 및 적립포인트는 온라인 서점에서 제공하는 정보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RISS 서비스에서는 해당 온라인 서점에서 구매한 상품에 대하여 보증하거나 별도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책소개

    자료제공 :

    필수세포생물학

    세포생물학 교재 『필수세포생물학』은 우리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생명의료 및 생물학 기술과 이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세포생물학의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필수세포생물학 제4판”은 상당한 검토와 수정의 과정을 거쳤다. 조절 RNA, 유도 만능줄기세포, 세포자살, 세포 재편성, 인간 유전체, 네안데르탈인 DNA 등의 새로운 주제와 최신 내용을 추가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피드백 요청에 따라 광합성과 DNA 수선 및 복구에 대한 내용을 보강하였다. 새로운 그림과 흥미로운 최신 실험 기술들을 상당히 많이 첨가하였으며, 대표적으로 RNAi, 광유전학, 새로운 방식의 염기서열 분석법, 인간 질병의 원인을 규명하는 데 사용하는 돌연변이 실험동물 등에 대해 소개하였다. 과학자들이 중요한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며 이들의 실험결과가 추후 어떤 아이디어로 이어지는지를 보여주는 “어떻게 알았을까” 부분도 업데이트하였다.

    more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