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교육과정 및 미술교과서 분석을 통한 다문화 미술교육 개선 방안 연구 : 2009,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a Plan for Multicultural Art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Middle School Curriculums and Art Textbooks
Today we live in a multicultural society where people from multi-ethnic backgrounds are mingled, not in a racially homogeneous nation. The recent increase in the number of immigrants and international marriages has changed South Korea that had tried to exclude other cultures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and, consequently, attached greater importance to multicultural education so that people can accept other cultures in a desirable way and learn to live together with others. Because art as a part of culture can deliver its specific culture, regardless of language, art education can be of great value in multicultural education.
In South Korea, the curriculums have been revised in seven sessions by the year of 2015. Multicultural art education was introduced into the art curriculum in 200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urricular revisions and, on this basis, the textbooks and present a plan for improving multicultural art education.
The 2007 curricular revision for art is similar to the 2009 curricular revision in the area of multicultural art education and the 2015 curricular revision was announced but is to be applied in 2018; for this reason,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outline of the 2009 and 2015 curricular revisions and both revisions for art, determine the direction for multicultural art education the Ministry of Education aims at,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ntents and illustrations in the multicultural unit in the eight types of art textbooks for the 2009 curricular revision, and help manufacture new art textbooks based on the 2015 curricular revision.
The analysis of the outline of the 2009 and 2015 curricular revisions and both revisions for art showed that they poorly reflected the situations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number of whom has rapidly increased in the pluralistic society.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develop an art curriculum to meet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lticultural society of South Korea. The art textbooks for the 2009 curricular revision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 theories of some scholars in multicultural art education and Mcfee's approach to multicultural art education and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textbooks focused on learning of culture and art history and had a strong inclination toward specific countries and artists and works in specific era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diverse types of balanced art textbooks for the 2015 curricular revision by adding the contents related to such concepts for multicultural art education as race, nation, social status, gender, religion, and minority to the learning objectives for the units in each area. It is also necessary to contain works related to visual culture that address a diversity of contemporary social issues as well as a diversity of ethnic culture, pluralistic value expressions, gender, and art culture for minorities.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2009 and 2015 curricular revisions and solve the problems of the current middle school art textbooks and allow students to obtain knowledge about diverse art cultures, understand human beings from multi-ethnic backgrounds, and compare art cultures, enable the non-mainstream group at risk to become self-confident, and give multicultural art education in pursuit of cultural identity. It is hoped that textbooks will be manufactured to reflect these issues.
오늘날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는 단일민족국가가 아닌 다양한 민족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섞여 살아가는 다문화 사회이다. 최근 늘어나고 있는 국내 이민자의 증가와 국제결혼의 증가로 타문화에 배타적 태도가 강했던 우리나라는 다문화 사회로 변화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다른 문화를 올바른 방법으로 받아들여 함께 사는 것을 가르치고 배우는 다문화 교육의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미술은 우리의 삶과 문화의 한 영역으로서 그 시대의 역사와 문화, 예술을 전달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기 때문에 다문화 교육에서의 미술 교육은 큰 가치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 교육과정은 1차 교육과정부터 시작하여 7차 교육과정과 2007, 2009,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발표되었다. 그 중, 다문화 미술교육은 2007 개정 미술 교과과정에 처음 도입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개정 교육과정들과 이를 바탕으로 한 교과서 분석을 통해 다문화 미술교육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2007 미술교육 교육과정은 2009 개정 교육과정과 다문화 미술교육 부분의 내용이 유사하며, 2015 개정 교육과정은 발표는 되었으나 중학교의 적용은 2018년부터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총론과 미술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교과부가 지향하는 다문화 미술교육의 방향을 확인하고, 2009 개정 중학교 미술 교과서 8종의 다문화 관련 단원 내용과 도판을 비교·분석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편찬될 새 미술교과서 제작에 도움을 주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2009 개정,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과 미술과 교육과정을 분석해 본 결과 다원화된 사회 속에서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다문화 가정 학생들의 실정을 반영하기에는 부족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볼 때 한국 다문화 사회의 특성에 맞는 미술과 교육과정 개발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2009 개정 미술 교과서 분석은 다문화 미술교육 학자들의 이론과 맥피(June King Mcfee)의 다문화 미술교육 방법을 기준으로 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 문화학습과 미술사 학습에 편중된 교과서 구성, 특정 나라와 작가, 특정 시대의 작품을 매우 편향되게 수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편찬될 2015 개정 미술 교과서는 다문화 미술교육의 개념인 성별, 인종, 민족, 종교, 사회적 지위, 소수집단 등의 내용을 각 영역별 단원의 학습 목표에 추가하여 다양하고 균형 있는 교과서 개발이 이루어져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다양한 민족 문화와 다원화된 가치표현, 성별, 소수 집단의 미술문화와 현대의 다양한 사회적 문제들을 다룬 시각문화 관련 작품들도 함께 수록되어야 한다는 사실도 확인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살펴본 2009 개정,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한계점과 현행 중학교 미술 교과서의 문제점들을 보완하여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미술 문화에 대한 이해, 서로 다른 미술 문화의 비교 체험 및 문화 비주류 문화권의 학생들에게 자문화에 대한 자신감을 가지게 하여 문화적 정체성과 자긍심을 심어줄 수 있는 다문화 미술교육이 이루어지길 바라며, 아울러 이를 반영할 수 있는 교과서가 제작되기를 기대해본다.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