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웹 페이지 내 분석 도구의 추세 데이터 분석을 위한 UX 디자인 연구 -뷰저블 솔루션 연구를 중심으로- = A UX Design on the Trend Data Analysis of In-page Visual Analytics Tools -Focused on Beusable Solution Research-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45-61(17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Background: Throughout the data industry markets grow in size globally, in-page analytics Tool to help gain insights and make storytelling using data is widely used. However, the functions of the in-page analytics Tools are focused on the public analysis based on the heatmap and the UI and functions for the analysis of the overall flow of the insight for the service are not considered. Therefore, in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UI development that helps users to get service improvement factors from UX side, focusing on trend data analysis.
Methods: This study investigated data visualization method through literature survey and case study and investigating service for UI development of analysis tool in web page. The research subjects were selected as a visualization tool, which is a visualization tool for easy access and data viewing for future prototype development and progress. Analysis of basic components and improvement factors of data visualization tool through analysis of Beusable and derived service idea from trend data perspective. Based on the functional elements of the service idea, the prototype was produced and the research hypothesis was verified through expert evaluation.
Result: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of the experts through the prototype, we focused on the trend of the data and made a positive response to the research direction of the category by comparing the comparison. Key improvements include the need to define long-term trend data and the lack of a link between the heatmap and the analysis.
Conclusion: In this study, UX designer made a research hypothesis and prototype to understand the overall pattern of how user data flow changes over time and to improve problems. The research hypothesis was verified by not only the suggestion of the interaction but also the expert evaluation, and confirmed the usability verification and improvement poin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is meaningful to have received a positive answer from the point of view that the data analysis function of the new perspective is focused on the essential functions from the viewpoint of the practitioner.
연구배경: 최근 세계적으로 데이터산업 시장이 증가함에 따라 데이터를 활용하여 인사이트를 발굴하고 스토리텔링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웹 페이지 내 분석 도구(in-page analytics tool)가 전 분야에 걸쳐 널리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웹 페이지 내 분석 도구들의 기능은 히트맵을 기반으로 한 공시적 분석 위주이며 서비스의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하고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는 통시적 분석을 위한 UI와 기능이 고려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추세 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UX 측면에서 서비스 개선 요소를 얻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UI 개발을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문헌 조사와 사례 조사를 통해 데이터 시각화 방법에 관해 연구하고, 국내외 데이터 시각화 도구의 시각화 방식을 분석하여 웹 페이지 내 분석 도구의 UI 개발을 위한 서비스를 조사했다. 주요 연구 대상은 추후 프로토타입 개발 및 진행을 위하여 초보자도 쉽게 접근하여 데이터를 살펴볼 수 있는 시각화 도구인 뷰저블로 선정하였다. 뷰저블 서비스의 분석을 통해 데이터 시각화 도구의 기본 구성 요소 및 개선 요소를 분석하고, 추세 데이터 관점의 서비스 아이디어를 도출하였다. 서비스 아이디어의 기능 요소를 바탕으로 프로토타입을 제작하고 전문가 평가를 통해 연구 가설을 검증했다.
연구결과: 프로토타입을 통해 전문가 평가를 진행한 결과, 데이터의 추세에 집중하여 비교를 세분화하여 카테고리화 한 것에 관한 연구 방향성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이 나타났다. 주요 개선점으로는 장기간 추세 데이터의 필요성에 대한 정의와 히트맵과 분석 내용의 연계성이 부족하다는 점이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UX 디자이너가 시간에 따라 사용자 데이터 흐름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전체적인 패턴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연구 가설을 세우고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였다. 전문가 평가를 진행해 연구 가설을 검증하고 사용성 검증 및 개선점을 확인했다. 분석 결과, 실무자 관점에서 필수적인 기능에 집중하여 새로운 시각의 데이터 분석 기능을 제안하였다는 것에 대해 긍정적인 답변을 얻은 것에 그 의의가 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6-03-15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4-03-24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Journal of Digital Interaction Design ->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 KCI후보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9 | 0.29 | 0.3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7 | 0.34 | 0.528 | 0.09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