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언론매체의 ‘강남권역’ 신화형성과 이데올로기 : KBS-TV의 보도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 Mass Media and its Myth-Making & Ideology : A Text Analysis on KBS-TV Coverages on 'Gangnam Area'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36(35쪽)
KCI 피인용횟수
7
제공처
From the standpoint that 'Gangnam Area' in Seoul has functions of making issues in the present phase of Korean society, this study investigated media coverages on the 'Gangnam Area' in KBS(Korea Broadcasting System) from 2000 to 2007, through semiotic . mythical analysis.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 The result of categorization analysis shows that 'Gangnam Area', recognized as 'the area of unlimited competition', is categorized as the bundle of symbols which regards 'socioeconomic activities' and 'deviation' as natural and pathological phenomena. Through over-lexicaliztion analysis, it is cleared that socioeconomic polarization on the basis of a specific residence area has been constructed by discriminatory calling on 'Gangnam Area' and other places, 'non-Gangnam Area'. Overall analysis indicates that transition in signifying process of symbols is derived from material foundation of 'Gangnam Area' and objective conditions shared by producers of media coverages, which strengthens symbolic images. From mythical analysis, it is assumed that 'Myth of Invincible Gangnam' was ultimately built up through 'Myth of Success', 'Myth of Locality Zoning', 'Myth of Money Power', 'Myth of Aesthetic Consumption', and 'Myth of Privilege' based on unlimited competition. Ideologies such as 'Only For Success Symptom', 'Exclusivism', 'Mammonism', 'Discrimination', 'Monopolism', which are immanent in these myths, are converged into 'Extreme Success Ideology'. Under the condition of increasing the importance of symbolic meaning from symbols of significant consumption target in Postmodem era, these media coverages in KBS would playa ideological role of 'maintaining the status quo' or contributing to 'stability' of social ruling structure. It is also assumed that media coverages will result in more strong fixation of region and class.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would be explained as belows. With analysis on media coverages on 'Gangnam Area', it is implied that the centralization of economic (financial) capital in the specific urban area in Seoul, 'Gangnam Area', has been transformed into symbolic capital through media coverages and has exercised the symbolic power. New classification system, which ranks perpendicularly on the basis of a specific area in Korea, has been systemized. It is also asserted that Media coverages had spreaded only 'Success' oriented discourse and are closely concerned with constructing the crippled culture that winner takes it all in Korean Society.
더보기이 논문은 서울의 ‘강남권역’이 현 단계 한사회의 문제설정 기능을 하고 있다는 입장에서 2000~2007년까지 관련된 KBS-TV의 보도뉴스를 대상으로 기호학적 · 신화적 분석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범주화분석에서는 ‘강남권역’을 ‘무한경쟁지대’로 인식하면서 ‘사회경제적 활동’, ‘일탈행위’ 등에 대해 자연적이고 병리적 현상으로 보는 기호들의 묶음으로 범주화하고 있음을 밝혀냈고, 과어휘화 분석에서는 ‘강남권역’과 여타 다른 지역, 즉 ‘비강남권역’에 대한 차별적 호명에 의해 특정지역의 거주를 기반으로 사회양극화가 구성되고 있음이 밝혀졌다. 전제분석에서는 ‘강남권역’의 물적 기반과 보도뉴스 생산자들이 공유하는 객관적 조건에 따라 기호의 의미화 과정에서 전이현상이 나타나 상징이미지가 고양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신화분석에 서는 ‘성공신화’, ‘지역블록신화’, ‘금권신화’, ‘미학적 소비신화’, ‘특권신화’를 통해 ‘강남불패신화’가 형성되었다. 이들 신화에 내재된 ‘성공제일주의’, ‘배타주의’, ‘배금주의’, ‘차별주의’, ‘독점주의’ 등의 이데올로기는 결국 ‘극단적 성공이데올로기’로 수렴된다. 이러한 KBS-TV의 보도방식은 탈근대 시대에 주요 소비 대상인 기호로 인한 상징 의미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사회적인 지배구조의 ‘현상유지’나 ‘안정’에 기여하는 이데올로기적 효과를 내고 있으며 지역과 계층을 더욱 고착화 시키는 결과를 낳게 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가 갖는 의의는 강남권역에 대한 보도뉴스 분석을 통해 한국사회의 특정 도시공간인 강남권역 의 경제적 자본 집중이 매체의 보도를 통해 상징적 자본으로 전환되어 상징적 권력을 행사하고 있고, 특정 지역을 기준으로 수직 계층화하는 새로운 분류체계로 제도화되었으며, 오직 ‘성공’ 위주의 담론을 유포시켜 한국 사회에 승자독식의 파행적 문화를 조성하는 것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의미한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7-19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언론과 사회외국어명 : 미등록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0-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8 | 1.28 | 1.1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9 | 1.23 | 1.797 | 0.6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