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한국의 출판학 교육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Korean Education in the Area of Publicatio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7
작성언어
-주제어
KDC
012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59-85(27쪽)
KCI 피인용횟수
2
비고
학회 요청에 의해 무료로 제공
제공처
본 논문은 최근 한국 출판학 교육이 획기적인 변화를 시도하여야 한다는 문제제기에서 시작되었다. 출판학 교육과정이 어떻게 변하여 왔고, 또한 그러한 변화 속에서 노출된 문제점이 무엇인지, 향후 어떤 방향으로 출판교육이 바뀌어야 할 것인지를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문제는 다음 두 가지이다. 첫째, 한국 출판학 교육의 현황이 어떠한가? 둘째, 한국 출판학교육의 구조적 문제 및 대안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방법은 문헌자료 및 인터넷 조사 자료 분석에 의거하였다. 즉 본 연구는 최근 발표된 출판 교육과 관련된 국내외 기존문헌들을 검토하였다. 또한 출판학 교육과정에 설치된 대학을 중심으로 그들의 인터넷 사이트 자료를 활용하였다. 즉 이를 통하여 각 학과의 출판학 교과목의 현황이외에도 전공 필수나 교양과목에 관한 규정, 학과의 설치 목적, 관련된 교수 수 등의 특성을 살폈다. 대학에서 출판학 교육은 종이책의 기능을 선택, 제작, 분배 및 사회적 기능과 영향 등에 관한 사회학적 관심으로부터 시작되었다. 그러나 최근 비약적인 테크놀로지 발달과 더불어 나타난 미디어융합 현상으로 인하여 출판학 교육은 그 범위를 확대하였다. 즉 최근 출판학 교육은 종이책에 의한 커뮤니케이션은 물론 비종이책, 즉 사이버상의 출판행위에도 집중하고 있다. 출판학 교육이 정규대학 커리큘럼 속에서 이루어진 시점은 금년으로 꼭 50년이 된다. 최근 급변하는 현대 학문의 세계에서, 그리고 경쟁적인 대학의 구조적 특성에서 볼 때 출판학의 50년의 정규대학 교육기간은 결코 짧지 않다. 한국에서 출판학은 출판현상을 기술하고 설명, 비판, 통제하는 하나의 학문으로서 확고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학문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 출판학 교육의 특성은 2년제 대학에서는 출판계에 진출하는 인력의 기능교육을, 특수대학원 과정에서는 출판학연구 및 경력자 심화 보수 교육을 담당한다는데 있다. 그러나 최근 한국 출판학 교육은 대학의 경쟁적인 신입생 유치구조 속에서 평가절하 되고 있다. 따라서 출판업계 및 학계는 물론 우리 사회 전체가 출판의 사회적ㆍ문화적 중요성을 고려하여 이러한 출판학 교육의 현황 및 문제점에 관심을 두어야 할 것이다. 특히 출판학계는 출판교육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사회 변화 및 매체 환경 변화에 적절히 대응하는 새로운 교육패러다임을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더보기This study has dealt with an issue whether or not Korea has to initiate a drastic change in educating publication. Its focus was placed on reviewing major changes made in the education of publication, problems found in the changes, future direction of the education of publication. Two research questions have been raised in the paper : first, what is the current status of the education of publication? ; second, what is the structural weakness of the program and what can we do to resolve it? Data were collected through library research and internet search. A number of research papers presented in the field of the education of publication were reviewed and web-sites of publication departments were searched to collect information. On the basis of the data, the purpose of publication departments, course managements, and professor number were examined. The analyses showed that from the very beginning, the education of publication has taught the whole processes from manufacturing to distribution of paper books from a sociological perspective. They also showed that new technologies and media integration have pushed it to expand its territory as much as to include publication activities made in the cyber zone. 50 years have passed since a number of 4 year universities established the department of publication and taught a wide spectrum of courses. A history of half century is not short, considered especially from the high competition found in the academia. During that period of time, not without a challenge, the education of publication has taken a solid root as an independent department in Korea while performing such important functions as describing, explaining, criticizing, and controlling the phenomena of publication. One of the characteristic features found in the education of publication is that 2-year colleges aim at producing technicians, while special graduate programs provide cutting-edge knowledge and new trends to those who have been working in publication area. This feature has been changed drastically in recent years. A high level of competition among universities for recruiting freshmen has placed a negative influence on the education of publication. The values of teaching publication classes are under-evaluated so less as to be ignored. Under the new environments evolving in higher education area, people in publication industry and academia have to pay more attention to resolving year old problems while advocating the social and cultural importance of publication to the host society. More than anything else, they have to be more interested in establishing academic identity and developing a new education paradigm which can be used as a ground stone in copping drastic changes made in media environment and overall society.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KCI등재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KCI후보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4-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7 | 0.57 | 0.5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9 | 0.61 | 0.79 | 0.17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