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사회경제환경 변화에 따른 개발제한구역 정책기조변화와 전망 = Policy Agenda Change and Perspective for the Restricted Development Zone, Green Belt under Socio-Economic Paradigm Chang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23-143(21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소장기관
In this paper,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restricted development zone policy, the so called green belt including the policy change and recent agenda are reviewed. One of the major policy agenda recently discussed is active respondence towards climate change and low carbon society.
The recent trend is to reevaluate the value of green socio-economically. After analyzing the policies for the restricted development zone, we reached to the conclusion that policy paradigm of the green belt should be operating and NGO movement to maintain the green belt is very important.
In almost every presidential election, policies utilizing the green belt are propelled by the various purposes such as public housing, public building, etc after deregulation. From 1999 in Korea, deregulation for the restricted development zones are already realized to some degree. Hence, to preserve the green belt for the future or at least minimize the change of green belt, persuasive efforts and social movements to place green as one of the highest value are important. From the result of policy changes and movement of the local government to get some more use of the green belt, we suggested that it will be better to preserve and maintain the restricted development zone to minimize the change in land use within the restricted development zone.
본 논문은 전국의 14개 권역 중 7개 중소도시권은 전면 해제되고 7개 대도시권은 유지되는 차원에서 개발제한구역의 정책적 동향과 향후 전망을 비전적 차원에서 살펴보았다. 특히 개발제한구역 정책의 역사적 배경, 소위 그린벨트의 정책적 변화와 최근의 정책 어젠다를 포함하여 심도 있는 검토를 하였다. 이중 최근에 논의되고 있는 주요 정책 과제 중의 하나는 기후변화와 저탄소사회를 위한 적극적인 대응과 관련한 것으로서 최근의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경제적인 가치를 재평가 하는 것이다. 그리고 우리는 그린벨트의 정책적 패러다임이 과거부터 변화되고 있으나 도시의 허파역할 등 과거부터 상당부분 중요한 기여를 해 온 것도 사실인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거의 모든 대통령 선거에 있어서 공공부분의 도시계획시설이나 주택공급을 위한 다양한 활용을 위해 개발제한구역의 규제완화나 해제가 추진되어 왔다. 우리나라에서 제도적으로 개발제한구역에 대한 규제완화는 1999년부터 현실화 되었다. 이러한 해제와 개발과정을 살펴볼 때 향후 그린벨트를 보존하기 위해서 또는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설득적인 노력과 운동 - 그린, 즉 녹색을 가장 높은 가치 중의 하나로 자리매김하는 사회적 운동 - 이 매우 중요하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개발제한구역의 이미 해제된 지역을 통하여 단순히 주택공급을 하기 보다는 수도권의 일자리 창출과 생산성 제고를 위해 토지를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들 지역을 제외한 지역에 대해서는 개발제한구역을 유지하고 보존하는 것이 더 적합하다고 제안한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4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KCI후보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0-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9 | 0.59 | 0.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5 | 0.72 | 0.923 | 0.2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