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위한 대학 강의학습공간 재구조화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structuring of University Lecture and Learning Spaces for Student-Centered Education
저자
발행사항
부산 :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과 2024. 8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한국어
주제어
발행국(도시)
부산
형태사항
197 ; 26 cm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홍관선
UCI식별코드
I804:21007-200000820762
소장기관
대학교육은 현재 인구구조로 인한 사회·경제적인 변화, 4차 산업혁명과 신기술의 발전, 대학교육의 대중화와 팽창으로 인한 이수자의 변화, COVID-19로 인한 교육환경 변화의 가속화, ChatGPT와 같은 인공지능의 발달로 급격한 환경변화를 겪고 있다. 이러한 변화로 미래 사회에 대응하기 위해 대학은 교육의 패러다임, 학습방식, 학습활동을 원활히 지원하고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현시점의 대학 강의·학습공간은 강의식 교수·학습법과 같은 지식 전달 위주의 학습법에 맞는 공간구성과 시설로써 향후 미래 지향적이고 교육의 패러다임 변화에 적응하며 교육환경과 교수법에 어떻게 조화를 이룰 것인지에 대한 고민과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법과 학습활동을 구현하고 지원할 수 있는 대학 강의·학습공간을 재구조화하고 구축할 수 있는 계획·설계 단계의 가이드라인과 구축 구현 방안을 제시하여 공간 재구조화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교육적 측면에서의 대학교육과 교수·학습법 및 학습자 중심 교육의 특성과 학습활동 유형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공간적 측면에서 대학 강의·학습공간 재구조화 구성요소 및 공간적 특성을 도출하였다. 이론고찰을 통하여 도출되어진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법 8종류와 학습활동 유형 7유형을 분류하였으며, 공간 재구조화의 소요단위공간인 강의공간 4개, 학습지원공간 4개를 분류하였다. 또한 7가지 재구조화 공간적 특성과 하위지표 31개의 항목을 도출하였다. 이는 본 연구의 현장조사 분석의 틀로 사용하여 사례분석을 하였으며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하여 타당도 검증으로 공간 재구조화 구축의 방향성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대학의 다양한 교육공간 중 학습활동이 주로 이루어지는 학습공간 즉 강의실과 강의실과 인접한 학습지원공간으로 한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현장조사는 2019년 이후 대학혁신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교육환경개선 분야 중 강의동의 강의실과 학습지원공간의 리모델링이 이루어진 서울 소재의 대학을 선정하여 조사·분석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현장조사 분석과 학습자 요구도 조사와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해 공간 재구조화를 위한 가이드라인과 공간구축 구현 방안의 프로세스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상의 연구 방법을 통하여 나온 연구의 결과로 공간 재구조화 구축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구축 구현 방안 프로세스는 최종 6단계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1-2단계는 교육적 측면의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법과 학습활동 유형의 중요도를 확인하고 3-4단계에서는 소요단위공간에 따른 공간적 특성의 중요도를 확인한다. 그리고 5-6단계에서는 소요단위공간의 위계 및 상호연관성을 통해 최종 클러스터 기본 유형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공간 재구조화 구축 구현 방안의 5가지 클러스터 유형은 학습지원 클러스터, 학습커뮤니티 클러스터, 프로젝트 기반 학습 클러스터, 테크놀리지 기반 학습 클러스터, 융복합 학습 클러스터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기본 단위의 클러스터를 재구조화하게 되는 강의동 건물의 공간에 맞게 재조합, 재결합하여 활용되고자 한다. 가장 많은 형태를 취하고 있는 편복도와 중복도 홀 형태로 나누어 클러스터 유형을 프로토타입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 중심 교육을 위한 대학 강의·학습공간의 재구조화를 위한 가이드라인 제시와 공간 구축 구현 방안을 클러스터 유형으로 제시하여 향후 재구조화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고자 하였다. 둘째, 기존의 대학 강의실의 물리적인 환경과 학습자와 사용자의 인식 등에 관한 연구와 다르게 강의공간과 학습지원공간의 소요단위공간을 분류하여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법과 학습활동을 지원하는 공간 재구성을 위한 공간적 특성과 하위지표로 가이드라인의 기준을 제시하였으며 공간 구축 구현의 실질적인 클러스터 유형을 5가지로 제시하여 재구조화 계획과 설계 단계 프로토타입을 제시하였다. 이는 향후 대학의 강의·학습공간 재구조화 설계를 할 때 7가지의 공간적 특성을 원칙으로 8가지 소요단위공간의 재조합, 재구성의 기반을 제공하고 다양한 강의동의 강의·학습공간 에 활용이 될 수 있도록 평준화·표준화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공간 재구조화의 가이드라인과 구축 구현 방안의 프로세스와 클러스터 유형은 대학 강의동의 공간 재구조화를 하기 위한 계획·설계자 및 디자이너에게 대학의 환경에 맞게 응용을 할 수 있는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였으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University education is currently experiencing rapid environmental changes due to socio-economic shifts caused by demographic structures, advancements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new technologies, changes in student demographics due to the popularization and expansion of university education, the acceleration of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due to COVID-19, and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such as ChatGPT. To respond to these changes and future societal demands, universities must be able to support and provide new educational paradigms, learning methods, and learning activities. At present, university lecture and learning spaces are configured and equipped to support knowledge transfer-focus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such as lectur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and deliberate on how these spaces can adapt to future-oriented changes in educational paradigms and harmonize with new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teaching methods.
This study aims to present guidelines and implementation plans for restructuring and constructing university lecture and learning spaces that can implement and support student-centered education, teaching methods, and learning activities. These guidelines and plans are intended to serve as foundational resources for spatial restructuring.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the study examined university education, teaching methods, characteristics of student-centered education, and types of learning activities from an educational perspective. From a spatial perspective, the study derived the components and spatial characteristics required for the restructuring of university lecture and learning spaces. Through theoretical research, the study categorized eight types of student-centered teaching methods and seven types of learning activities. It also identified four types of lecture spaces and four types of learning support spaces needed for spatial restructuring, as well as seven spatial characteristics and 31 sub-indicators. These were used as a framework for field investigations and case analyses, and expert Delphi surveys were conducted to validate the direction of spatial restructuring.
The scope of the study was limited to learning spaces where learning activities primarily occur, specifically lecture rooms and adjacent learning support spaces within universities. Field investigations were conducted on universities in Seoul that have remodeled their lecture rooms and learning support spaces with support from the University Innovation Support Project since 2019. The research method involved field investigation analysis, learner demand surveys, and expert Delphi surveys to propose guidelines and a process for implementing spatial restructuring.
As a result of the research methods described above, the study presents guidelines for spatial restructuring and a six-step process for implementation. Steps 1-2 involve confirming the importance of student-centered teaching methods and learning activity types from an educational perspective. Steps 3-4 confirm the importance of spatial characteristics based on required unit spaces. Steps 5-6 derive the final cluster basic types through the hierarchy and interrelationship of required unit spaces. Finally, five cluster types for spatial restructuring implementation are proposed: Lea
rning Support Cluster, Learning Community Cluster, Project-Based Learning Cluster, Technology-Based Learning Cluster, and Convergence Learning Cluster. These basic clusters are intended to be recombined and adapted to the specific spaces of lecture buildings undergoing restructuring. Prototype cluster types were suggested for the most common corridor and hall configuration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presents guidelines and implementation plans for the restructuring of university lecture and learning spaces for student-centered education in the form of cluster types, which can serve as foundational resources for future restructuring. Second, unlike previous studies on the physical environment of university lecture rooms and user perceptions, this study classifies required unit spaces for lecture and learning support spaces, presenting spatial characteristics and sub-indicators as guidelines to support student-centered teaching methods and learning activities. It proposes five practical cluster types for spatial restructuring and design phase prototypes, providing a basis for the recombination and reconfiguration of required unit spaces according to the seven spatial characteristics, thus standardizing and equalizing the application to various lecture spaces.
Therefore, the guidelines and implementation process for spatial restructuring, along with the cluster types proposed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basic resources for planners, designers, and others involved in the restructuring of university lecture buildings, allowing them to adapt to university environments and be effectively utilized.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