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미적분학의 효율적 지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effective instruction for calculus in seventh mathematics curriculum
저자
발행사항
서울 : 明知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 수학교육전공 , 2004. 2
발행연도
2003
작성언어
한국어
주제어
KDC
410.7 판사항(4)
DDC
375.51 판사항(20)
발행국(도시)
서울
형태사항
iv, 61p. : 삽도 ; 26cm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p. 60
소장기관
제 7차 교육과정은 2002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에 적용되었다. 고등학교 1학년인 10학년은 국민 공통 기본 교육 기간을 완성하는 학년으로 단계별 수준별 교육과정을 적용 받는다. 고등학교 2학년과 3학년 학생은 일반 선택 과목과 심화 선택 과목 중에서 본인의 희망에 따라 선택한다. 수학과의 일반 선택 과목으로는 실용수학, 심화 선택 과목으로는 수학 Ⅰ, 수학 Ⅱ, 미분과 적분, 확률과 통계, 이산수학의총 6과목으로 제시하고 있다. 21세기 정보화 사회에서는 수학을 사용한 정보를 이해하는 능력, 얻어진 정보가 타당한지 판단하는 능력, 실생활이나 다른 교과 영역에서 수학적 지식을 사용하여 문제를 구성하고 해결하는 문제 해결력 등의 수학적 능력을 요구한다.
본 논문에서는 선택 과목 중 미분과 적분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는 방안 및 심화 선택 과목으로 미분과 적분과목의 선택의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고, 제 7차 수학 교육 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미적분학의 효율적 지도에 관한 교수·학습 방법을 모색하였다.
첫째, 미분 개념을 지도할 때 미분의 여러 정의를 들어 수준별 교육과정에 따라 각기 다르게 적용해, 개념을 인식시키는 과정에서 입체적인 교육이 되도록 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미적분학이 실생활에 갖는 응용력을 인식시키도록 해야 한다. 특히 미적분학의 공식 및 정리와 증명은 가능한 직관적으로 이해하도록 물리학, 경제학, 심리학, 의학 등과 관련된 실제적인 문제를 다루어 구체적 조작 활동과 사고 과정을 거치게 해 자연스러운 학습방법이 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셋째, 미적분학의 직관적 사고를 위해 컴퓨터를 이용한 시각화 수업도 시도해 볼 필요성이 있다.
미분적분학을 교수·학습 하는 과정에서 위와 같은 방법을 통하여 앞으로 미적분을 학습하게 될 학생들은 보다 흥미와 관심을 가지고, 계산 기술과 함께 문제를 해석하고 응용하는 능력이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21st century of an information society, it is overflowing with a lot of new knowledge and information. In order to accept and examine these information and develop ability to utilize them for practical life, mathematical capability is necessary.
Because the adaptable range of differential and integral calculus has been widened very vastly especially in the present age, it is indispensable for the study of science and engineering.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necessity of choosing calculus as the further subject and to recognize its importance and to make it possible for the students who will study calculus to improve in their capability.
In this thesis, I would like to look into the each content of the chapter in high school text book about calculus.
And I also intend to unite the various opinions through the students inquiry and suggest the efficient teaching method.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