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자의 인식론 연구 = A Study on Chu Hsi's Epistemolog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36-162(27쪽)
제공처
유학자들이 학문하는 목적은 인간의 만사와 만물의 사리에 관한 궁리를 통해 밝혀진 認識을 행동으로 나타나게 하여 성현이 되는 데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朱子(1130-1200)의 인식론의 핵심적인 내용인 격물치지론을 고찰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주자는 『대학』의 格物致知 보망장을 수정 보완하여 수신·제가·치국·평천하하는 초석으로 격물치지를 제시하였다. 격물치지의 주체와 대상, 방법을 규명하는 일과 격물치지를 통해서 실현하려고 하는 居敬窮理의 실천을 알아보는 것은 인식론을 올바로 파악하는 길이 될 것이다. 주자는 마음을 외부 사물에 대해 인식하고 반응하는 주체로 본다. 인식대상의 물과 리를 구분하였다. 또한 사물 지리를 궁구하여 경험지를 쌓아 나가면서 항상 소당연지칙을 따라 그 소이연지고를 추구하는 노력을 하다 보면 뭇 사물의 이치가 귀일되는 근원처를 알게 된다고 하였다. 격물치지의 공부를 통하여 도달하려는 궁극적 경지를 ‘豁然貫通’이라고 표현한다. 물을 통하여 치지한다는 것은 리를 자각하여 그것을 자기화함으로써, 스스로를 속이는 일이 없게 되고 행함 역시 진실하게 하려는 것이다.
우리는 주자의 인식론을 통해서 현대의 지식위주의 교육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으며, 일상 속에 흐르는 理의 실체를 체인함으로써 본연의 성을 회복할 수 있다. 격물치지는 학문적 결실을 토대로 확립된 居敬窮理의 體認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Confucians" engaging in studies is to be a sage by making cognition revealed through the all things of a man and reason of all things show itself in action. Thus this study focused on considering the core content of Chu Hsi(1130-1200)"s epistemology, Gyeokmoolchiji(格物致知).
Chu Hsi modified and complemented Gyeokmoolchiji Bomang Chapter (格物致知 補亡章) in Daehak 『大學』, suggesting Gyeokmoolchiji as cornerstone of moral training(修身)·home control(齊家)·country governing(治國)·world stabalizing (平天下).
Exploring the subject, object and method of Gyeokmoolchiji, and the practice of Geogyeonggoongri(居敬窮理) through Gyeokmoolchiji will be a way to rightly understand epistemology.
Chu Hsi sees mind as a subject to recognize and respond to external object. He categorized the material and principle of a cognitive object. Also he maintained that if we deeply study on the knowledge and reason of an object, buil up experienced knowledge, and follow the natural principle(所當然之則), and pursue the reason for that (所以然之故), then we can come to know the source the principle of all things are reduced to. The ultimate position to reach through the study of Gyeokmoolchiji is expressed as "Hwalyeongwantong(豁然貫通)’. That we reach knowledge through an object is to realize principle, make it absorbed to oneself, not to deceive oneself and become honest at all times.
We can complement the limitation of knowledge oriented education in modern times through Chu Hsi"s epistemology, recognize the substance of the principle in operative in daily life, and recover our natural nature. Gyeokmoolchiji can be said to be the core of recognition of Geogyeonggoongri (居敬窮理) established based on scholastic fruits.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