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KCI등재

    ADHD 아동⋅청소년의 비약물적 중재에 대한 고찰 = A Review of Non-Pharmacotherapy for Children & Adolescents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This study analyzed the guidelines and necessity of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DHD, the types of interventions, and 301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over the past 20 years, and examined th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by intervention type. The result is as follows. National guidelines recommend evidence-based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including parental education, environmental modification, behavioral therapy, classroom behavioral interventions, and educational interventions as primary treatment. Therefore, Korea also needs to present specific guidelines including intervention procedures, and establish a legal and institutional basis for educational intervention and support.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are essential for solving problems caused by ADHD symptoms, functional impairment, overlapping disorder, and secondary symptoms. Therefore, various intervention methods should be developed, and institutional certification and support based on verification of the effectiveness and safety of intervention methods can be considered.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studie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DHD over the past 20 years have mainly focused on children diagnosed with ADHD, based on a randomized control group design method, performing art and sensory/motor interventions for 11∼20 session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mplex factors. In this study, intervention methods shown in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studies were classified into 9 intervention types and their characteristics were considered. However, in order to help families and teachers in practical understanding and choice, a professional academic society should conduct periodic research on the safety and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s and develop guidelines.

    더보기

    본 연구는 ADHD 아동⋅청소년을 위한 비약물적 중재의 지침과 필요성, 중재유형 그리고 최근 20년간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 301편을 분석하여 비약물적 중재연구의 동향과 중재유형별 특성을 고찰했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가별 지침에는 일차치료로 부모교육, 환경수정 그리고 행동치료와 교실행동중재, 교육적 중재를 포함하는 근거기반의 비약물적 중재를 권고한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중재절차가 포함된 구체적인 지침과 교육적 중재 및 지원의 법적, 제도적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비약물적 중재는 ADHD 증상, 기능적 손상, 중복장애, 이차증상 등의 치료를 위해 필수적이므로 다양한 중재방법들을 개발하고 효과성과 안전성 검증에 기반한 제도적 인증과 지원을 고려해야 한다. 국내 ADHD 아동⋅청소년의 비약물적 중재연구는 주로 ADHD 진단 아동을 대상으로 무작위대조군 설계법에 근거하여 미술 및 감각⋅운동 중재를 11∼20회기 실시하여 복합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비약물적 중재연구에서 적용한 중재방법들을 9개 유형으로 분류하여 특성을 고찰했으나 가족과 교사들의 실제적인 이해와 선택을 돕기 위해서는 전문학술단체에서 중재방법의 안전성과 효과성에 대한 주기적 연구와 지침 개발 등의 역할을 적극 수행해야 한다.

    더보기
    • 1 강민경 ; 이근매 ; 김진희, "활동중심 집단미술치료가 ADHD 성향 아동의 주의집중력 및 자기조절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5 (35): 167-188, 2019
    • 2 박선영 ; 최돈형, "환경 안에서의 교육이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ADHD) 아동의 부적응 행동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교육학회 23 (23): 113-128, 2010
    • 3 유은정, "화용론적 언어중재를 통한 ADHD 아동의 의사소통 기술 증진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8 (8): 283-310, 2006
    • 4 옥수정 ; 노남숙, "형제모래놀이치료가 ADHD 아동의 형제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8 (28): 85-112, 2017
    • 5 김도진 ; 권중호 ; 김현태, "향기요법을 적용한 마사지가 ADHD아동의 신경전달물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23 (23): 1383-1394, 2014
    • 6 고서연 ; 백영선 ; 손승현, "행동적 자문을 통한 긍정적 행동지원이 ADHD성향 아동의 문제행동 및 대체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9 (19): 345-369, 2018
    • 7 김교헌 ; 김사리, "행동억제 훈련이 ADHD 경향이 높은 아동의 실행기능 개선에 미치는 효과" 한국건강심리학회 7 (7): 429-445, 2002
    • 8 박완주 ; 박신정 ; 황성동, "한국 학령기 ADHD 아동을 위한 인지행동중재의 효과 연구: 메타분석" 한국간호과학회 45 (45): 169-182, 2015
    • 9 김동일 ; 김이내 ; 정소라 ; 김은향 ; 김희주 ; 이유리 ; 이기정 ; 박중규 ; 고은영, "한국 ADHD 연구 경향의 분석: 1999년부터 2008년까지" 한국학습장애학회 6 (6): 101-127, 2009
    • 10 김희수, "학습능력계발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주의집중력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교육학회 16 (16): 83-94, 2007
    • 11 서지영 ; 박완주, "학령기 ADHD아동을 위한 비약물적 중재 프로그램의 경향과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정신간호학회 19 (19): 117-132, 2010
    • 12 홍승연, "학령기 ADHD 아동의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42 (42): 33-62, 2014
    • 13 임혜정 ; 김혜리 ; 손정우 ; 김영랑, "학령기 ADHD 아동에 대한 사회기술훈련과 병합치료 효과" 한국아동교육학회 17 (17): 225-239, 2008
    • 14 김동일 ; 안예지 ; 구승영, "학령기 ADHD 아동 비약물중재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단일대상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2 (32): 1-23, 2016
    • 15 이성근 ; 김영표, "학급차원 또래지원 중재가 ADHD를 가진 초등학생의 읽기 유창성 및 비장애 또래학생들의 장애수용태도에 미치는 효과"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7 (7): 263-272, 2017
    • 16 최은경, "학교생활 부적응을 겪는 ADHD 아동의 아동중심놀이치료 사례 연구-치료단계별 놀이주제 및 놀이행동 분석을 중심으로-" 1 : 1-27, 2018
    • 17 김수한 ; 최윤희 ; 김고운, "하타요가 및 신체활동프로그램이 ADHD 성향을 가진 아동 및 청소년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8 (8): 527-537, 2014
    • 18 서진미, "피아노 연주 중심의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주의력결핍 아동의 주의집중에미치는 영향" 2 (2): 25-43, 2008
    • 19 최성규 ; 조경희, "플래시 애니메이션 동화학습이 ADHD 아동의 학습흥미도 및 어휘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7 (7): 343-361, 2006
    • 20 허정식, "프로그램화된 신체운동이 주의결핍 과잉행동 장애 (ADHD) 아동의 자기개념, 주의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 9 (9): 187-198, 2004
    • 21 최재원 ; 강경두 ; 정혜연, "프로그램화 된 신체운동이 ADHD 아동의 주의산만행동과 과잉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사회체육학회 (47) : 637-650, 2012
    • 22 양길석 ; 이상훈, "특수교육 분야의 ADHD 연구 동향 분석: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60 (60): 193-216, 2021
    • 23 이현주 ; 정문자, "통합적 가족놀이치료를 통한 ADHD 아동 가족의 가족체계 변화 및 치료적 요인" 한국가족치료학회 25 (25): 439-470, 2017
    • 24 고현 ; 박신영 ; 김종임,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을 둔 어머니의 효능감 및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13 (13): 251-276, 2017
    • 25 계홍경 ; 오산산 ; 이성복 ; 이범진 ; 박정준, "태극권 운동이 ADHD 소아·청소년의 주의집중력과 동적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체육학회 23 (23): 1-11, 2015
    • 26 박금주 ; 윤형기, "태권도 수련이 ADHD 아동의 도파민 및 주의집중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27 (27): 1-7, 2018
    • 27 박기용 ; 문철희 ; 김동원, "태권도 수련 프로그램이 ADHD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아동학회 12 (12): 77-100, 2010
    • 28 송기범 ; 권상남 ; 이지윤, "컴퓨터프로그램을 이용한 작업기억훈련이 ADHD아동의 작업기억과 전전두활성화에 미치는 효과" 한국학습장애학회 10 (10): 111-130, 2013
    • 29 권명옥 ; 양경애, "컴퓨터를 활용한 그림그리기 활동이 ADHD아동의 과잉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4 (24): 219-240, 2008
    • 30 정계숙 ; 고은경 ; 최은아 ; 이은하 ; 이정림, "치료적 제한 설정을 활용한 집단중재 프로그램을 통한 ADHD 특성을 지닌 아동의 분노 표출과 공격적 행동 감소"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4 (24): 149-180, 2008
    • 31 서강오, "치료도우미견을 활용한 동물매개치료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충동성에 미치는 효과" 2 (2): 9-13, 2013
    • 32 이다연, "촉각중심 감각통합훈련이 ADHD 아동의 주의집중에 미치는 효과" 9 : 108-181, 2011
    • 33 허성희, "초등학교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성향 아동 주양육자들의 자기이해를 위한 집단 프로그램 사례연구" 13 : 119-135, 2015
    • 34 김민정, "초등학교 방문치료사에 의한 놀이치료가 ADHD 아동의 자기통제력, 학교적응력 향상 및 놀이행동에 미치는 효과" 대한아동복지학회 8 (8): 71-87, 2010
    • 35 장영인 ; 박효영, "초등학교 1학년 ADHD 아동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억 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879-904, 2020
    • 36 김원희 ; 이동형, "초등교사의 관점에서 본 ADHD 긍정적 행동지원 전략: 효과성, 수용도 및 활용도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11 (11): 519-540, 2014
    • 37 김나영 ; 장경호 ; 김경은, "체이스의 리듬적 요소를 강조한 무용/동작치료가ADHD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26) : 379-391, 2006
    • 38 차호영 ; 옥정, "청소년 ADHD 증상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발달지원학회 9 (9): 49-63, 2020
    • 39 권명옥 ; 전선희, "차별강화와 반응대가 기법이 ADHD아동의 비 학습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1 (21): 273-295, 2005
    • 40 임정은 ; 신지현, "짝 미술치료가 ADHD 아동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13 (13): 83-106, 2017
    • 41 강승희, "집중력 훈련프로그램이 ADHD 경향을 가진 아동의 주의집중에 미치는 영향" 4 (4): 1-12, 2011
    • 42 남미숙 ; 이영재, "집중놀이 프로그램이 주의력결핍 · 과잉행동장애(ADHD) 학생의 부주의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발달장애학회 8 (8): 73-86, 2004
    • 43 박현주, "집단미술치료가 다문화가정 ADHD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1 (21): 183-204, 2014
    • 44 강삼희 ; 홍정미 ; 백양희, "집단미술치료가 ADHD 아동의 충동성 및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미술치료학회 13 (13): 23-48, 2006
    • 45 서정훈 ; 고영란, "집단미술치료가 ADHD 시설아동의 자기통제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재활심리학회 18 (18): 177-201, 2011
    • 46 손정인, "집단미술치료가 ADHD 경향이 있는 아동의 문제행동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8 (8): 27-53, 2011
    • 47 윤미희 ; 길경숙, "집단게임놀이 프로그램이 ADHD성향 아동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효과" 대한가정학회 47 (47): 25-35, 2009
    • 48 문송이 ; 남현우, "집단 음악치료가 ADHD 아동의 자기표현과 자아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교육학회 30 (30): 5-27, 2021
    • 49 김승주 ; 구기쁨 ; 김경미, "지각운동프로그램이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아동의 시각운동통합기술과 운동기술에 미치는 영향"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15 (15): 21-32, 2017
    • 50 이상복 ; 김영미, "주의집중 활동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아동의 과제불이행 및 과다언어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3 (23): 29-48, 2007
    • 51 민천식, "주의집중 과제가 ADHD 아동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효과" 7 (7): 39-61, 2005
    • 52 안영순, "주의력결핍장애와 불안장애 동반장애 아동의 놀이치료사례"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9 (9): 81-109, 2016
    • 53 변찬석,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초등학생의 교육지원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9 (59): 199-225, 2020
    • 54 강현정,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집중력 향상과 충동성 조절을 위한 바이올린 교습 중심의 음악치료 사례 연구" 3 (3): 1-14, 2006
    • 55 이나핼,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중재방법과 측정도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12 (12): 39-50, 2014
    • 56 박영주 ; 김은주, "주의력결핍과잉행동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제공되는 국내 중재에 대한 고찰 연구"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17 (17): 43-53, 2019
    • 57 박윤이,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청소년의 글씨쓰기 명료도 향상을 위한 Cognitive Orientation of Occupational Performance(CO-OP)중재법 효과 : 사례연구" 7 (7): 13-21, 2018
    • 58 장선영,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아동의 주의집중력 향상을 위한 Interactive Metronome® 훈련의 효과" 4 : 73-87, 2012
    • 59 송화진 ; 안동현 ; 김진미,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학습동기증진프로그램효과검증*"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 4 (4): 51-77, 2009
    • 60 김성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청소년의 부모교육 병행 SST기반 문학치료 프로그램과 SST기반 문학치료 프로그램 단독 중재의 효과 비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6 (56): 31-59, 2017
    • 61 홍주연 ; 김현희,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아동의 부모-아동 상호작용 놀이치료 사례연구"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17 (17): 73-97, 2013
    • 62 신윤미 ; 김의정 ; 김윤신 ; 방수영 ; 이은하 ; 이철순 ; 장형윤 ; 홍민하 ; 신동원,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한국형 치료 권고안(IV) - 비약물적 치료 -" 대한소아청소년 정신의학회 28 (28): 84-95, 2017
    • 63 김효원 ; 김은주 ; 김지훈 ; 박장호 ; 반건호 ; 이연정 ; 정경운 ; 신동원,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한국형 치료 권고안 개정안(III) - 약물치료 -" 대한소아청소년 정신의학회 28 (28): 70-83, 2017
    • 64 이문수 ; 박수빈 ; 김경미 ; 김현진 ; 박상원 ; 김윤신 ; 이영식 ; 권용실 ; 신동원,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한국형 치료 권고안 개정안(II) - 진단 및 평가 -" 대한소아청소년 정신의학회 28 (28): 58-69, 2017
    • 65 이수민 ; 최재원 ; 김경민 ; 김준원 ; 김수연 ; 강태웅 ; 김인향 ; 이영식 ; 김봉석 ; 한덕현 ; 정재훈 ; 이소영 ; 현기정 ; 김붕년,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진단 및 치료: ADHD 중개연구센터 가이드라인" 대한소아청소년 정신의학회 27 (27): 236-266, 2016
    • 66 김미정,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문제행동과 정서에 미치는 음악치료의 효과에 대한 사례연구: 감상곡의 주제그림악보(Theme chart)를 활용한 통합적 접근"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11 (11): 117-146, 2015
    • 67 김정인 ; 윤선경 ; 오현경 ; 이승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뉴로피드백 훈련에 대한 임상적 의의" 대한신경정신의학회 54 (54): 62-68, 2015
    • 68 김혜리 ; 김재원 ; 홍순범 ; 조정혜 ; 김붕년 ; 신민섭 ; 조수철,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에서 뉴로피드백 치료의 효과에 대한 예비 연구" 대한신경정신의학회 51 (51): 326-334, 2012
    • 69 이명희 ; 강문희,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아동의 부주의와 충동성 감소를 위한 인지중재 집단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아동학회 29 (29): 87-103, 2008
    • 70 반지정, "주의력 향상 프로그램이 ADHD아동의 주의력과 학습동기향상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4 (4): 53-78, 2012
    • 71 이대범, "주의력 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성향을 지닌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영화치료"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37 : 173-206, 2016
    • 72 정현주, "주의력 결핍 및 과잉행동 문제를 가진 아동의 주의집중력 증진을 위한 음악인지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한국열린교육학회 16 (16): 55-71, 2008
    • 73 조선미,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의 근거기반치료" 한국임상심리학회 37 (37): 621-636, 2018
    • 74 김영욱 ; 최지아 ; 오수학,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아동의 운동 중재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사회체육학회 (84) : 497-509, 2021
    • 75 양광희,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 아동의 문제행동 감소를 위한 치료 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의 적용"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34 (34): 195-206, 2010
    • 76 신소연 ; 박재국 ; 김영미 ; 이희은, "조작교구활동이 ADHD아동의 주의산만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3 (23): 141-164, 2007
    • 77 이화영 ; 서경희, "정서지능 향상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정서지능과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2 (52): 153-182, 2013
    • 78 노승림, "정서인식 및 표현 훈련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정서인식 및 표현 능력, 자기조절과 또래관계 기술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연구소 35 (35): 79-99, 2019
    • 79 조성봉 ; 한춘근, "점프운동이 ADHD 아동의 주의집중, 인지강도 작업부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21 (21): 1369-1377, 2012
    • 80 김은실, "점토조형활동 프로그램이 ADHD아동의 주의산만과 공격성 감소에 미치는 영향" 한독심리운동학회 4 (4): 43-65, 2018
    • 81 권명옥 ; 서화자 ; 최낙종, "점토조형 미술활동이 ADHD 아동의 공격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6 (26): 263-281, 2010
    • 82 김예슬 ; 박부진, "전통놀이를 활용한 표현예술치료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사회성 및 자기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18 (18): 107-122, 2014
    • 83 윤석일 ; 김은실 ; 최지윤, "전통놀이를 활용한 자존감 프로그램이 ADHD 성향 아동의 자존감 및 또래 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코칭학회 12 (12): 115-134, 2019
    • 84 이경호, "전산화 인지훈련 프로그램이 ADHD성향 아동의 주의집중능력 및 기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8 (28): 91-108, 2012
    • 85 김세영, "적대적 반항장애를 동반한 ADHD 아동의 아동중심놀이치료 사례연구: 놀이치료 단계에서의 놀이주제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아동학회 38 (38): 103-115, 2017
    • 86 이종구 ; 정태운 ; 조효구 ; 한덕현, "재활승마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심리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체육학회 23 (23): 141-152, 2015
    • 87 김세원 ; 정영수 ; 주기원 ; 김근우 ; 김승현 ; 구병수, "자전 동작이 중학생의 주의력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신경정신과학회 21 (21): 79-97, 2010
    • 88 임영미 ; 이근매 ; 송호준, "자연물을 이용한 미술치료가 ADHD 아동의 주의집중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아동학회 17 (17): 257-284, 2015
    • 89 여광응 ; 이점조 ; 이명화, "자기표현 미술활동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ADHD)아동의 주의산만?공격성 행동 감소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7 (7): 331-349, 2006
    • 90 송호준, "자기진술을 활용한 심리운동중재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아동의 운동협응성 및 부적응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8 (28): 191-220, 2012
    • 91 김재은, "자기조절학습전략이 ADHD아동의 수학문장제 성취도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48 (48): 91-106, 2009
    • 92 김계남 ; 민천식, "자기조절학습전략이 ADHD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통합교육학회 3 (3): 1-25, 2008
    • 93 홍성은 ; 김소희, "자기점검전략과 행동수정원리를 활용한 읽기중재가 읽기능력이 부족한 ADHD 아동의 읽기이해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습장애학회 14 (14): 127-155, 2017
    • 94 박명숙 ; 유은정, "자기점검법이 ADHD아동의 학급 내 문제행동 및 학업관련 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아동학회 13 (13): 213-235, 2011
    • 95 강삼성 ; 박정민 ; 신순자, "자기점검 학습전략을 활용한 읽기 훈련이 읽기 능력이 부족한 ADHD 학생의 독해력과 읽기 태도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0 (50): 331-353, 2011
    • 96 이경호, "자기점검 인지기능 훈련 프로그램이 ADHD성향 아동의 주의집중능력 및 과잉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5 (35): 59-75, 2019
    • 97 이진숙, "자기관리를 위한 자기점검 피드백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과잉, 충동성 및 부주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동분석학회 8 (8): 135-155, 2021
    • 98 박도은, "자기 지시 훈련을적용한 보이스 컴패니언봇 디자인 연구: ADHD 환아의 일상생활 과업 수행을 중심으로" 367-373, 2020
    • 99 김경식, "입체매체와 평면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ADHD 경향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미술치료학회 20 (20): 21-46, 2013
    • 100 박동아, "임상사례연구: ADHD아동이 무용/동작치료에서 경험한 신체리듬" 대한무용/동작심리치료학회 4 (4): 83-101, 2019
    • 101 노승림 ; 김은경, "읽기전략 교수가 ADHD 초등학생의 읽기이해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학회 49 (49): 69-98, 2014
    • 102 이영옥 ; 최외선,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와 미술활동을 이용한 부모상담이 아동의 ADHD 경향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미술치료학회 16 (16): 543-567, 2009
    • 103 김희숙 ; 박경란 ; 성형모, "인지행동요법적용 양육 프로그램이 ADHD경향 아동 어머니에게 미치는 효과" 한국정신간호학회 22 (22): 330-338, 2013
    • 104 백은영 ; 채규만, "인지행동 학습치료 프로그램이 ADHD 성향 중학생에게 미치는 효과 검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6 (26): 245-268, 2015
    • 105 서비아 ; 민은정, "인지행동 치료 프로그램이 우울 문제를 지닌 ADHD 성향 아동들의자기존중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 8 (8): 43-60, 2013
    • 106 장혜경 ; 최외선, "인지행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충동성과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미술치료학회 15 (15): 391-410, 2008
    • 107 김지선 ; 전상신, "인지행동 놀이치료가 ADHD 아동의 주의집중과 자기통제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연구소 36 (36): 53-74, 2020
    • 108 김성범, "인문테라피기반 부모교육이 ADHD아동의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부모-자녀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9 (59): 217-233, 2020
    • 109 노승림, "이야기도식을 활용한 읽기훈련이 ADHD아동의 읽기 이해 및 읽기태도에 미치는 영향" 18 : 1-22, 2007
    • 110 이윤정 ; 임진섭, "의사소통 기능성 보드게임이 ADHD 아동의 자기통제력, 자아존중감, 가족 기능 및 또래 관계에 미치는 영향" 지방자치연구소 35 (35): 99-134, 2018
    • 111 이경호, "음악치료프로그램이 ADHD성향 아동의 주의력결핍과 과잉행동에 미치는 영향" 28 (28): 21-34, 2007
    • 112 정미라, "음악치료가 ADHD 유아의 주의집중력과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교육학회 15 (15): 241-255, 2006
    • 113 김귀복, "음악치료가 ADHD 유아의 문제행동과 사회적 수용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0 (10): 145-162, 2008
    • 114 김종운, "음악치료 활동이 ADHD 경향 아동의 정서 및 행동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사례연구" 12 (12): 1-15, 2009
    • 115 최영경 ; 정미라,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ADHD 유아의 음악능력에 미치는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 12 (12): 335-358, 2005
    • 116 유지영 ; 김춘경, "음악치료 기법을 활용한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문제행동 개선과 사회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4 (24): 255-274, 2008
    • 117 박금주 ; 윤형기, "음악줄넘기 운동이 ADHD 아동의 신경전달물질 및 뇌파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28 (28): 525-534, 2019
    • 118 김보경 ; 김용희, "음악놀이 프로그램이 ADHD 학생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초등학교 5학년을 중심으로-" 한국음악교육학회 43 (43): 77-94, 2014
    • 119 조미란 ; 박혜영, "음악 중재 프로그램이 ADHD 아동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융복합 연구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7 (17): 497-507, 2019
    • 120 유진호 ; 강유석 ; 채정은, "융합적 중재를 기반으로 한 심리운동프로그램이 ADHD아동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6 (16): 463-470, 2018
    • 121 박윤재 ; 장홍영 ; 김종혁, "융복합을 활용한 승마운동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정서·행동 발달, 불안, 우울 및 ADHD에 미치는 영향" 한국융합학회 7 (7): 287-295, 2016
    • 122 문정연 ; 문현미, "유아교사-특수교사 협력기반 긍정적 행동 중재 및 지원(PBIS)이 ADHD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 (20): 193-216, 2020
    • 123 이수정, "유아 대상 ADHD 관련 중재연구의 국내 동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715-734, 2018
    • 124 정혜연 ; 최재원, "유산소운동이 ADHD 아동의 실행기능 및 뇌파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5 (25): 13-28, 2014
    • 125 김경민 ; 배내윤, "유산소 운동이 ADHD 학생의 주의집중과 과잉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3 (23): 127-142, 2007
    • 126 조재혁, "운동의 형태가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주의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코칭능력개발원 14 (14): 42-52, 2012
    • 127 이해권 ; 조홍관 ; 김기중 ; 반철환 ; 정창년 ; 최종운 ; 박지영 ; 박상민 ; 노재귀, "요가운동에 따른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청소년의 신체적 자기개념에 대한 변화분석" 한국발육발달학회 20 (20): 165-175, 2012
    • 128 허정식 ; 윤기운, "요가명상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 9 (9): 323-335, 2011
    • 129 최아람 ; 김은경, "예방-교수-강화(PTR)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ADHD의심 학생의 수업참여행동과 수업방해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동분석학회 5 (5): 1-26, 2018
    • 130 신효순 ; 이원령, "연극 활동이 ADHD 초등학생의 주의집중력과 사회성 기술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3 (33): 133-150, 2017
    • 131 박다해, "어머니-교사와의 협력을 통한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ADHD 성향유아의 유치원에서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33 (33): 111-137, 2017
    • 132 문소희 ; 유순화, "어머니 코칭을 활용한 긍정적행동지원 적용이 다문화 가정 ADHD 아동의 어머니에 대한 폭력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6 (36): 1-22, 2020
    • 133 이은경 ; 김혜선 ; 유한익, "약물치료 중인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 청소년에서 작업기억훈련이 행동문제와 부모 스트레스에 미치는 부가적 효과" 대한소아청소년 정신의학회 28 (28): 115-122, 2017
    • 134 김혜선 ; 이은경 ; 홍인화 ; 안정숙 ; 유한익, "약물치료 중인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 청소년에서 작업기억력 훈련이 임상증상과 신경심리소견에 미치는 부가적 효과" 대한소아청소년 정신의학회 28 (28): 123-131, 2017
    • 135 윤행란 ; 김경희, "아동중심 놀이치료와 Melanie Klein의 이론을 적용한 ADHD아동의 사례연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555-563, 2018
    • 136 강규훈 ; 김승희, "심리운동이 ADHD 성향의 아동들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효과" 한독심리운동학회 7 (7): 17-43, 2021
    • 137 김일명, "심리운동을 통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ADHD 청소년의 신체적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달장애학회 21 (21): 37-56, 2017
    • 138 김춘경 ; 유지영, "심리운동놀이치료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문제행동 개선과 사회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14 (14): 51-65, 2010
    • 139 조재혁 ; 정영인, "심리운동과 유산소운동이 ADHD 아동의 주의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 18 (18): 671-680, 2020
    • 140 정수경 ; 이숙정, "심리운동과 감각통합치료가 ADHD성향 아동의 감각조절력 및 주의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아동학회 13 (13): 331-356, 2011
    • 141 송미옥, "실행기능 훈련 프로그램이 ADHD 성향 유아의 주의집중능력 및 과잉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4 (24): 67-88, 2019
    • 142 문장원 ; 정병종, "신호 제공하기 절차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충동성 조절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1 (31): 283-301, 2015
    • 143 전혜연 ; 윤선아, "시지각 및 청지각 촉진 신체활동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주의집중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7 (27): 307-328, 2011
    • 144 이경호 ; 박종섭, "시각·청각 자극 반응훈련프로그램(Q-TRAINER)이 ADHD성향아동의 주의집중력 및 과잉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6 (26): 1-15, 2010
    • 145 장창호, "승마기구 운동이 ADHD 아동의 주의집중과 균형에 미치는 영향" 대한운동학회 14 (14): 63-70, 2012
    • 146 김응갑, "소조활동중심 미술치료가 ADHD 아동의 공격성 및 주의집중에 미치는 효과" 3 (3): 43-62, 2007
    • 147 김미라, "소조활동 중심 미술치료가 ADHD아동의 주의집중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달장애학회 18 (18): 1-21, 2014
    • 148 이영지 ; 김혜금 ; 하수홍 ; 천은진 ; 서완석 ; 이종범 ; 구본훈, "소아청소년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에서 뉴로피드백의 효과 : 후향적 연구"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 (20): 248-257, 2014
    • 149 강재원, "상호작용식 메트로놈(Interactive Metronome; IM) 훈련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아동의 집중력 향상과 충동성 조절에 미치는 효과 : 개별 실험 연구"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6 (6): 45-54, 2017
    • 150 남궁영 ; 손다인 ; 김경미, "상호작용식 메트로놈(Interactive Metronome: IM)이 타이밍과 주의력, 운동기능에 미치는 영향: 사례보고"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13 (13): 63-73, 2015
    • 151 박민경 ; 김희, "상호작용식 메트로놈(Interactive Metronome: IM) 훈련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자세조절과 글씨쓰기 수행에 미치는 영향: 단일사례연구"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16 (16): 14-24, 2018
    • 152 구기쁨 ; 강제욱 ; 이수민 ; 김경미, "상호작용식 메트로놈 중재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의 행동증상, 타이밍, 및 운동기능에 미치는 효과"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15 (15): 35-45, 2017
    • 153 박은미 ; 정대영, "상위인지전략중심의 가정연계 게임놀이프로그램이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문제행동, 실행기능 및 어머니의 양육반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8 (28): 487-521, 2012
    • 154 정종진 ; 김영화, "사회적 기술 향상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충동성 및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초등교육학회 15 (15): 403-424, 2002
    • 155 박영아 ; 장세희, "사회상황이야기와 동작활동을 결합한 사회기술훈련이 ADHD 아동에게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학회 32 (32): 125-140, 2011
    • 156 김명주 ; 황순영, "사회상황이야기 중재가 ADHD 아동의 문제행동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6 (36): 1-24, 2020
    • 157 이정은 ; 김춘경, "사회기술향상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사회기술과 ADHD 주요증상 변화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18 (18): 207-224, 2002
    • 158 송호준, "사회경험중심의 심리운동중재가 ADHD 아동의 주의집중력 및 정서인식에 미치는 효과" 한국재활심리학회 19 (19): 337-359, 2012
    • 159 김현숙 ; 강옥려, "사회 상황이야기 중재가 ADHD 학생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초등교육연구원 30 (30): 207-224, 2019
    • 160 정다은 ; 김은경, "사진카드를 활용한 자기관리중재가 ADHD 유아의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6 (36): 267-296, 2020
    • 161 김윤희 ; 권석만, "사례연구: 청소년 ADHD의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한 자기관리기술훈련"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14 (14): 407-434, 2014
    • 162 권윤정, "분노조절과 규칙수용에 문제를 보이는 ADHD 아동의 놀이치료 사례: 게임놀이의 활용" 한국아동교육학회 26 (26): 65-81, 2017
    • 163 윤진영, "분노조절 문제를 동반한 ADHD 아동의 놀이치료 사례연구" 한국발달지원학회 7 (7): 39-56, 2018
    • 164 박동아, "북을 활용한 무용/동작심리치료가 ADHD 아동의 주의집중력과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효과" 대한무용/동작심리치료학회 5 (5): 31-66, 2020
    • 165 정현준 ; 장미경, "부모놀이치료가 ADHD 아동의 자아존중감, 형제관계 및 가족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대한아동복지학회 14 (14): 41-59, 2016
    • 166 양원영 ; 원희랑, "부모교육 병행 미술치료가 ADHD경향 아동의 뇌기능지수, 사회적 유능성 및 어머니 양육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미술치료학회 19 (19): 43-68, 2012
    • 167 김형숙, "부모 훈련 병합 인지 행동치료가 ADHD-우울증 아동의 우울과 공격성에 미친 영향: 단일 사례 연구"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5 (25): 37-63, 2014
    • 168 김형숙, "부모 훈련 병합 놀이 치료가ADHD-우울증 청소년의 우울증과 가족관계에 미친 영향: 단일 사례 연구" 한국상담학회 15 (15): 535-554, 2014
    • 169 김형숙, "부모 훈련 병합 놀이 치료가 ADHD-ODD 아동의 공격성과 가족 관계에 미친 영향: 단일 사례 연구"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4 (24): 85-112, 2013
    • 170 조정은, "방과후학교 음악프로그램이 ADHD성향 청소년의 사회적기술에 미치는 영향" 한국음악교육공학회 (14) : 227-244, 2012
    • 171 서화자 ; 조형자 ; 강민채, "미술활동이 ADHD 아동의 주의집중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5 (25): 223-251, 2009
    • 172 강은주, "미술활동을 통한 ADHD 특성 아동의 문제행동 개선 연구" 4 (4): 1-16, 2002
    • 173 김효정, "미술치료의 번갈아 그리기 기법에서 체험되는 관계 바라보기: ‘따돌림’을 겪는 남자아동과의 번갈아 그리기를 중심으로"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9 (9): 145-169, 2013
    • 174 김미정, "미술치료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아동의 문제행동 감소에 미치는 효과" 3 (3): 29-55, 2013
    • 175 임지향 ; 김민정, "미술치료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아동의 주의집중과 충동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발달장애학회 8 (8): 45-63, 2004
    • 176 허승준, "미술치료가 ADHD 성향 학습부진아의 주의집중 및 주의산만 행동에 미치는 효과" 11 (11): 175-194, 2011
    • 177 변찬석,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주의산만행동과 공격성행동에미치는 효과" 6 (6): 189-220, 2004
    • 178 김정일, "미술소그룹활동내 자기행동관리가 ADHD 아동의 과제이행 증진과 방해성 행동 감소에 미치는 효과: 사례연구"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2 (22): 103-122, 2006
    • 179 여광응, "무상토큰 반응대가 적용이 ADHD아동의 충동성 및 과잉행동 감소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8 (8): 215-234, 2007
    • 180 이정자, "모래상자놀이를 통한 ADHD 아동의 문제행동과 모-자간 의사소통 개선효과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22 (22): 41-54, 2018
    • 181 변은진 ; 박병도, "모래놀이 활동에 참가하는 ADHD 성향 아동들의 긍정적 변화 탐색" 한국특수아동학회 20 (20): 117-145, 2018
    • 182 김소영, "모-자 미술치료가 아동의 문제행동 감소에 미치는-ADHD 효과" 2 (2): 108-129, 2006
    • 183 고예린 ; 김소희, "명시적 교수와 비디오 피드백이 결합된 중재가 ADHD 아동의 대화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2 (32): 1-31, 2016
    • 184 김진, "명상치료와 미술치료 활동이 ADHD 아동에게 미치는 효과-개인상담 사례-" 8 : 133-185, 2012
    • 185 유현정, "멈춤신호놀이프로그램이 ADHD아동의 충동성과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효과" 5 : 55-72, 2008
    • 186 정은주, "만다라 미술치료가 ADHD아동의 주의력향상과 정서불안에 미치는단일사례연구" 12 : 1-20, 2013
    • 187 윤은주 ; 이미옥, "만다라 미술치료가 ADHD성향이 있는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미술치료학회 17 (17): 1311-1331, 2010
    • 188 박시윤, "만다라 미술치료가 ADHD 정서불안과 주의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3 (3): 103-115, 2020
    • 189 변찬석 ; 송찬원 ; 김경민, "만다라 미술치료가 ADHD 아동의 과제수행 태도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충동성 변화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2 (22): 123-144, 2006
    • 190 이충헌 ; 이우현 ; 조옥희 ; 이원형, "만다라 미술치료 게임이 ADD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한국컴퓨터게임학회 28 (28): 187-194, 2015
    • 191 이재연, "리코더 연주활동이 ADHD 아동의 주의산만과 충동성감소에 미치는영향" 2 (2): 105-126, 2011
    • 192 남현욱 ; 이진향, "로봇교육을 통한 조작적 활동이 ADHD 아동의 주의집중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 27 (27): 181-199, 2014
    • 193 이지예 ; 김은경, "또래와 함께 하는 사회․정서 프로그램이 ADHD 성향 유아의 정서조절전략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9 (9): 123-151, 2009
    • 194 이효신 ; 함명실, "또래모델링역할놀이가 ADHD 성향 유아의 놀이참여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48 (48): 111-132, 2009
    • 195 서경희, "또래관계 중심 중재가 ADHD 아동의 우정 발달과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질적·양적 연구"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6 (26): 43-64, 2010
    • 196 김미지, "동화를 활용한 무용동작치료가 정서⋅행동 문제 아동의 불안 감소와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2 (2): 57-77, 2018
    • 197 고은영 ; 정소라, "단일대상연구를 중심으로 한 국내 ADHD아동을 위한 비약물적 중재 연구" 교육연구소 14 (14): 1-27, 2013
    • 198 이선아, "다중지능 이론에 기초한 강점지능 활용 국어학습이 ADHD 학생의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 15 (15): 73-95, 2013
    • 199 서정훈 ; 고영란, "다중언어에 노출된 ADHD경향성 아동의 문제행동과 자기표현 개선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한국미술치료학회 20 (20): 333-357, 2013
    • 200 신민주 ; 주용국, "다문화가정 ADHD 아동의 문제행동 감소와 부-자의 관계 회복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749-769, 2020
    • 201 오혜원 ; 김고운, "다감각놀이치료프로그램이 ADHD아동의 주의집중력과 학습에 미치는 영향" 대한통합의학회 7 (7): 23-32, 2019
    • 202 권순황 ; 천장현, "뉴스포츠 프로그램이 ADHD 초등학생의 부적응 행동 개선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습장애학회 6 (6): 153-171, 2009
    • 203 김락형 ; 유경 ; 정은희 ; 강준원 ; 박정경 ; 전용우 ; 한국 ; 박현철, "뉴로피드백을 이용한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치료 1例" 대한한방신경정신과학회 16 (16): 243-249, 2005
    • 204 김태헌 ; 류영수 ; 강형원 ; 김진형 ; 오용렬 ; 이종화, "뉴로피드백과 한방치료를 병행한 주의력결핍 과다행동장애 치료 1례" 대한한방신경정신과학회 17 (17): 157-164, 2006
    • 205 박광제, "뉴로피드백 훈련이 ADHD 아동의주의력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1 : 41-56, 2010
    • 206 노옥분 ; 손정락 ; 박태원 ; 박순권, "뉴로피드백 훈련이 ADHD 아동의 부주의와 과잉행동/충동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임상심리학회 30 (30): 397-418, 2011
    • 207 공마리아 ; 김정임, "뉴로피드백 게임이 ADHD 경향 청소년의 주의집중에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교육학회 28 (28): 79-97, 2019
    • 208 지윤미 ; 원근희 ; 김준원, "뉴로피드백 : ADHD 아동의 비약물적 대안치료의 가능성"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6 (26): 195-202, 2020
    • 209 정명숙 ; 강희철 ; 이승기, "뇌파 훈련을 시행한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증례 보고" 대한한방신경정신과학회 19 (19): 289-298, 2008
    • 210 유숙경, "뇌병변장애를 가진 ADHD 청소년의 미술치료가 주의집중문제와 공격행동에 미치는 영향" 4 (4): 21-39, 2013
    • 211 박경아, "놀이중심 인지행동프로그램이 ADHD아동의 자기 통제력에 미치는효과" 6 (6): 94-111, 2014
    • 212 최영남 ; 이병인, "놀이중심 음악활동이 ADHD 성향 유아의 주의집중에 미치는 효과" 한국행동분석학회 7 (7): 51-77, 2020
    • 213 김미연, "놀이와 게임을 활용한 주의력향상훈련을 적용한 ADHD 아동의 단일사례연구" 8 (8): 15-32, 2009
    • 214 이혜원 ; 김정호 ; 김미리혜, "놀이마음챙김명상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주 증상 및 정서인식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건강심리학회 24 (24): 331-344, 2019
    • 215 장시현 ; 강옥려, "놀이 활용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문제행동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소 14 (14): 275-303, 2013
    • 216 민지영 ; 김은경, "긍정적 행동지원이 ADHD 아동의 수업참여 행동과 공격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7 (27): 1-32, 2011
    • 217 소명희 ; 김윤희, "긍정적 행동지원이 ADHD 아동의 가정 내 자율학습시간 문제행동과 과제참여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9 (29): 165-193, 2016
    • 218 김성화 ; 양경애 ; 권영미, "그룹요리활동이 ADHD아동의 주의집중 및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1 (31): 269-290, 2015
    • 219 김현영 ; 최은영, "국내 ADHD청소년에 대한 연구 동향 및 중재 방향"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8 (28): 101-123, 2012
    • 220 정윤하, "구조화된 보드게임이 초등학교 1학년 ADHD 아동의 주의력에 미치는 영향" 20 : 53-94, 2008
    • 221 신갑영 ; 이성한, "교사와의 종이조형활동을 통한 학령기 ADHD경향아동의 행동변화 사례연구" 한국상담학회 10 (10): 1611-1626, 2009
    • 222 이미선, "교과 중심 집단놀이 활동이 ADHD위험군 학생의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 2015개정교육과정 2학년 통합교과를 중심으로" 34 (34): 281-301, 2018
    • 223 신민경 ; 박지혁, "과제중심의 중재가 학령기 ADHD아동의 글씨쓰기에 미치는 영향: 사례보고" 대한작업치료학회 24 (24): 65-74, 2016
    • 224 노효련 ; 곽성원, "과제 중심 다감각운동 프로그램이 학습지연을 동반한 ADHD성향 아동의 자아효능감과 쓰기능력에 미치는 변화"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8 (8): 1-14, 2018
    • 225 제갈선아, "공예활동 집단미술치료가 ADHD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조형교육학회 (60) : 309-322, 2016
    • 226 정영숙, "게슈탈트 예술치료가 ADHD 성향 아동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7 (7): 25-41, 2017
    • 227 고하나, "게슈탈트 관계성 향상 프로그램(GRIP)이 ADHD 성향 아동의 자기조절능력과 집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1 (1): 51-69, 2011
    • 228 권서영, "건강보험 청구자료를 이용한 ADHD 약제의 처방 현황 분석" 성균관대학교대학원 2021
    • 229 김미혜 ; 노진아,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ADHD 성향 유아의 문제행동과 활동참여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통합교육학회 11 (11): 43-65, 2016
    • 230 김주연, "감사 일기쓰기를 통한 ADHD아동의 방해행동 감소를 위한 사례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9 (59): 1-23, 2020
    • 231 함보현 ; 김수경 ; 이재신 ; 전병진, "감각통합치료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글씨쓰기 수행에 미치는 영향" 대한작업치료학회 20 (20): 55-71, 2012
    • 232 신효순, "갈등상황 역할놀이가 ADHD성향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7 (17): 145-162, 2017
    • 233 이승희 ; 윤호열, "가족놀이치료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경향을 지닌 아동 가족의 가족기능과 아동의 주의산만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3 (23): 25-50, 2007
    • 234 김형숙, "가족 간 의사소통 방식의 변화가 ADHD와 불안장애의 공존질환을 지닌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치료학회 19 (19): 207-232, 2011
    • 235 김성범, "Zoom을 활용한 실시간 비대면 문학치료기반 부모교육이 ADHD 아동을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부모효능감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60 (60): 107-126, 2021
    • 236 두정훈 ; 손정락, "Think Aloud 훈련이 ADHD 성향이 있는 아동의 주의력 결핍, 충동성 및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임상심리학회 22 (22): 1-15, 2003
    • 237 오현경 ; 조선미 ; 현명호, "Think Aloud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단일대상연구방법을 중심으로-" 한국건강심리학회 11 (11): 1-24, 2006
    • 238 Breaux, R. P., "The importance of therapeutic processes in school-based psychosocial treatment of homework problems in adolescents with ADHD" 86 (86): 427-438, 2018
    • 239 Kim, S., "The effects of neurofeedback training on concentration in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6 (6): 13-24, 2014
    • 240 김원 ; 강경숙 ; 마영남, "The Influences of Outdoor Activities with Companion Dogs on the Attention of Children with ADHD"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7 (27): 49-75, 2011
    • 241 구효진 ; 신행우, "The Effects of Imagery based Self-Control training on problematic behavior of a child at risk with ADHD"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5 (15): 1-30, 2015
    • 242 이나핼 ; 김경미, "The Effects of Group Play Activities Based on Ayres Sensory Integration® on the Occupational Performance Areas of Low-Income Children with ADHD"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7 (57): 473-489, 2018
    • 243 전화은 ; 박경 ; 송현주, "The Effects of Dance/Movement Psychotherapy Program through Korean Mask Dance on Self-Regulation Impro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DHD" 한국청소년학회 21 (21): 303-324, 2014
    • 244 조형철 ; 노효련, "The Effect of Convergence Vision Therapy on Symptoms and Visual Perception in Children with ADHD tendency" 한국융합학회 11 (11): 59-71, 2020
    • 245 강희영, "TA 인지행동놀이치료의 적용과 ADHD 아동의 주의산만, 충동성, 자아개념의 변화" 15 : 39-56, 2006
    • 246 Barbaresi, W. J., "Society for Developmental and Behavioral Pediatrics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the assessment and treatment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complex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41 (41): S35-S57, 2020
    • 247 이슬기 ; 손승현, "SRSD(자기조절전략)를 활용한 쓰기교수가 ADHD 아동의 쓰기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학습장애학회 6 (6): 43-67, 2009
    • 248 서소희, "SMART기법을 적용한 미술치료가 ADHD중학생의 우울과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미술치료학회 17 (17): 915-936, 2010
    • 249 Morris, H. S., "Research to practice : Implementation of Family School Success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ADHD" 26 (26): 535-546, 2019
    • 250 조현아 ; 전효정, "ROCF 그리기 접목 인지행동적 미술치료가 ADHD 아동의 ROCF 그리기 수행과 주요 증상 및 문제행동 변화에 미치는 효과" 인지발달중재학회 11 (11): 85-105, 2020
    • 251 The MTA Cooperative Group, "Moderators and mediators of treatment response for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56 (56): 1088-1096, 1999
    • 252 유진호 ; 강유석, "Interactive Metronome(IM) 훈련이 ADHD 아동의 운동타이밍과 운동수행력, 행동증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체육학회 28 (28): 81-92, 2020
    • 253 van der Oord, S., "How to improve behavioral parent and teacher training for children with ADHD : Integrating empirical research on learning and motivation into treatment" 23 (23): 577-604, 2020
    • 254 이정민, "GRIP을 활용한 ADHD 가족놀이치료의 조기종결 사례연구" 6 (6): 81-102, 2016
    • 255 DuPaul, G. J., "Future directions for psychosocial intervention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DHD" 49 (49): 134-145, 2020
    • 256 Jensen, P. S., "Findings from the NIMH multimodal treatment study of ADHD(MTA) : Implications and applications for primary care providers" 22 (22): 60-73, 2001
    • 257 Evans, S. W., "Evidence-based psychosocial treatment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47 (47): 157-198, 2018
    • 258 최말옥, "Effect of Integrated Parent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ADHD" 인문과학연구소 45 : 35-60, 2018
    • 259 주미선 ; 송영혜, "EMDR 통합 놀이치료가 ADHD 아동의 불안, 분노, 자존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18 (18): 53-72, 2014
    • 260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for mental disorders (5th ed.)"
    • 261 Wolraich, M. L.,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the diagnosis, evaluation, and treatment of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in children and adolescents" 144 (144): e20192528-, 2019
    • 262 신민경 ; 조은미, "CO-OP 적용이 ADHD 아동의 작업수행에 미치는 효과: 예비연구"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4 (4): 51-62, 2015
    • 263 정병호, "Beyond Medications: Understanding Executive Function Deficits of Children with ADHD Through Jungian Sandplay Therapy" 사단법인 한국임상모래놀이치료학회 10 (10): 1-17, 2019
    • 264 이나핼 ; 장문영 ; 이재신 ; 강제욱 ; 여승수 ; 김경미, "Ayres의 감각통합(Ayres Sensory Integration®) 그룹 놀이 활동이 저소득층 ADHD 아동의 감각처리능력, 사회적 기술능력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16 (16): 1-14, 2018
    • 265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ADHD)"
    • 266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are Excellence,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Diagnosis and management, NICE clinical guideline"
    • 267 길한아 ; 김미령 ; 마지성 ; 정다이 ; Sakura Yusuke ; 손승현, "ADHD학생의 문제행동 중재를 위한 단일대상연구의 전반적인 동향 분석과 CEC 질적 지표에 의한 분석 - 문제행동유형을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 (20): 323-351, 2019
    • 268 홍진승, "ADHD의 평가 및 치료를 위한 가상현실 기반 연구동향: 국외 문헌 고찰"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8 (8): 9-27, 2021
    • 269 두정일, "ADHD의 통합적 이해" 학지사 259-278, 2015
    • 270 안동현, "ADHD의 통합적 이해" 학지사 225-255, 2015
    • 271 이소영, "ADHD의 통합적 이해" 학지사 2015
    • 272 임명호, "ADHD의 통합적 이해" 학지사 281-290, 2015
    • 273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ADHD에 대한 가장 완전한 지침서 [ADHD:What every parent needs to know]" 범문에듀케이션 2021
    • 274 김정일, "ADHD아동의 학급중심 응용행동분석적(ABA)행동중재효과: 일반학급 모형 방과후 교실에서의 사례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43 (43): 17-34, 2004
    • 275 박채진 ; 김수진, "ADHD아동의 중재관련 연구분석 : 2006년 ~ 2015년 학술저널 논문 중심으로"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5 (55): 275-291, 2016
    • 276 김경 ; 강영심, "ADHD아동의 정서ㆍ행동문제 개선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한국미술치료학회 15 (15): 251-274, 2008
    • 277 송혜경 ; 최현석 ; 정수연, "ADHD아동의 사회적 관계성 증진을 위한 현실요법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11 (11): 161-176, 2020
    • 278 한선화 ; 현온강, "ADHD아동의 부모를 위한 집단상담프로그램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ADHD아동의 ADHD증상에 대한 효과" 가정과삶의질학회 26 (26): 43-56, 2008
    • 279 김미경 ; 이에스더, "ADHD아동의 문제행동 개선을 위한 음악중심 융합예술치료 프로그램 중재효과 분석" 한국예술교육학회 18 (18): 183-198, 2020
    • 280 김미경 ; 이에스더, "ADHD아동의 문제행동 개선을 위한 미술중심 융합예술치료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16 (16): 219-240, 2020
    • 281 편도원 ; 곽승철, "ADHD아동의 교육·행동중재 관련 연구분석: 1989년-2007년까지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4 (24): 49-80, 2008
    • 282 김미영, "ADHD아동을 위한 무용프로그램의 효과" 대한무용학회 77 (77): 1-19, 2019
    • 283 황은희 ; 김정규, "ADHD아동과 어머니를 위한게슈탈트 예술치료와 부모훈련 병합프로그램 효과검증: 예비연구" 한국건강심리학회 19 (19): 865-884, 2014
    • 284 신소정 ; 이재모, "ADHD성향을 가진 유아를 위한 음악치료가 행동에 미치는 영향연구" 한국교정복지학회 (21) : 177-205, 2011
    • 285 신해림, "ADHD성향 유아의 인지행동놀이치료 사례연구" 18 : 75-108, 2020
    • 286 김영란 ; 장성호, "ADHD성향 아동에 대한 미술치료 효과: 취학 전 아동 단일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부모교육학회 18 (18): 65-92, 2021
    • 287 최고은 ; 권지성, "ADHD성향 아동과 지지체계를 대상으로 한 통합적 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65 (65): 207-238, 2013
    • 288 이춘희, "ADHD를 가진 학령기 아동가족에 대한 해결중심상담모델 적용의 경험적연구" 4 (4): 23-44, 2017
    • 289 최진아, "ADHD경향 아동의 사회성, 자아개념 증진을 위한 사회적 기술훈련의 효과" 1 : 89-105, 2010
    • 290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ADHD: What every parent needs to know"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2019
    • 291 성원영 ; 유종호 ; 황민영 ; 김남열, "ADHD 환자에게 미술치료와 한방치료를 병행하여 치료한 치험 3예" 대한한방신경정신과학회 25 (25): 253-262, 2014
    • 292 정은혜, "ADHD 학생의 학업기술 중재에 관한 고찰"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2 (32): 213-233, 2016
    • 293 천진승 ; 장혜원, "ADHD 학생의 분수학습을 위한 개별지도 사례연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14 (14): 807-825, 2010
    • 294 황병주 ; 안동현 ; 이재영, "ADHD 치료에서 가족치료캠프의 적용" 대한소아청소년 정신의학회 23 (23): 82-89, 2012
    • 295 이경아 ; 이윤미 ; 이정림 ; 이숙정, "ADHD 초등학생의 학교적응과 학교기반개입에 대한 부모의 인식과 요구"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4 (24): 121-147, 2008
    • 296 김인자 ; 원희랑, "ADHD 초등학생의 부주의 및 또래관계 개선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 연구" 한국미술치료학회 17 (17): 1357-1377, 2010
    • 297 백명재 ; 김붕년 ; 조수철 ; 신민섭 ; 김재원 ; 안정광 ; 임소연 ; 김양렬 ; 박민현 ; 김효원, "ADHD 초등학생을 위한 학교 중심 사회성기술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연구" 대한소아청소년 정신의학회 20 (20): 82-89, 2009
    • 298 김정미 ; 박은선 ; 정옥현, "ADHD 초등학생 대상 미술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미술치료학회 25 (25): 421-438, 2018
    • 299 임혜숙, "ADHD 청소년의 미술치료 사례연구" 7 (7): 31-57, 2016
    • 300 신소영 ; 송현종, "ADHD 청소년의 내재화 증상 감소를 위한 공예 중심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발달장애학회 20 (20): 173-202, 2016
    • 301 이상훈, "ADHD 진단에 대한 특수교육학적 고찰: DSM-5를 중심으로"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3 (33): 283-311, 2017
    • 302 한수연, "ADHD 자녀를 둔 가족의 통합적 가족상담 사례연구" 2 (2): 15-32, 2013
    • 303 국립정신건강센터 소아청소년정신과, "ADHD 자녀 이해하기" 케이엠커뮤니케이션 2021
    • 304 김수진 ; 김진희 ; 이효신 ; 김성애 ; 신윤희 ; 김창걸, "ADHD 위험군 아동의 중재를 위한 원격로봇의 적용 가능성 탐색"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5 (55): 415-434, 2016
    • 305 신희선 ; 김정미, "ADHD 위험 아동에 대한 반응성 부모교육이 아동의 문제행동과 중심축 발달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간호학회 17 (17): 39-47, 2011
    • 306 황혜자 ; 천성문 ; 김종운, "ADHD 아동의 행동변화와 학교적응에 미치는 인지적 NLP 집단상담과 행동적 NLP 집단상담의 효과비교" 한국상담학회 6 (6): 777-788, 2005
    • 307 이정은 ; 김춘경, "ADHD 아동의 학교기반 중재를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구성의 예비연구" 한국열린교육학회 17 (17): 343-364, 2009
    • 308 이영미, "ADHD 아동의 통합놀이치료 효과" 7 (7): 41-57, 2004
    • 309 최혜영 ; 임숙희 ; 김교헌, "ADHD 아동의 창의성 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예비 연구" 한국심리학회 34 (34): 795-810, 2015
    • 310 이정은 ; 김춘경, "ADHD 아동의 주증상 완화와 학교생활적응을 위한 부모교육과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비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1 (11): 253-276, 2010
    • 311 이후희, "ADHD 아동의 주의집중 향상을 위한 인지행동프로그램과 부모의 양육태도 개선을 위한 부모상담 사례연구"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7 (17): 93-101, 2019
    • 312 이성한, "ADHD 아동의 주의력 집중 행동 상담 사례" 20 : 86-101, 2011
    • 313 권미경 ; 전우천, "ADHD 아동의 자아효능감 증진을 위한 MLE기반 스마트교육시스템 개발 및 적용" 한국정보교육학회 16 (16): 337-352, 2012
    • 314 송영아, "ADHD 아동의 자아개념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8 (8): 211-238, 2008
    • 315 강경두 ; 현기정 ; 박정하 ; 한덕현, "ADHD 아동의 운동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국내연구 중심으로" 대한신경정신의학회 54 (54): 399-405, 2015
    • 316 이선경, "ADHD 아동의 운동프로그램 적용이 뇌파와 심리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사례연구" 한국웰니스학회 9 (9): 109-123, 2014
    • 317 임지향 ; 김은정 ; 신지현, "ADHD 아동의 애착과 문제행동을 위한 치료놀이를 활용한 미술치료 단일사례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4 (54): 545-572, 2015
    • 318 김지은 ; 문현미, "ADHD 아동의 수업참여행동에 대한 피아노배경음악 삽입과 미삽입 미술활동의 효과 비교"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1 (31): 77-102, 2015
    • 319 윤희봉 ; 강민채, "ADHD 아동의 사회성기술 관련 연구동향 분석" 한국특수아동학회 16 (16): 243-261, 2014
    • 320 이황은, "ADHD 아동의 미술활동에 나타난 미술치료의 효과" 6 (6): 75-120, 2006
    • 321 이미경, "ADHD 아동의 미술치료에 대한 동향 분석 : 최근 10년간 연구를 중심으로" 4 (4): 35-55, 2014
    • 322 김연 ; 황혜정, "ADHD 아동의 문제행동 감소에 대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10 (10): 93-116, 2013
    • 323 유지영 ; 전은주 ; 김춘경, "ADHD 아동의 문제행동 감소 및 사회성 기술 향상을 위한 음악과 미술치료프로그램의 효과성 비교연구"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5 (25): 73-92, 2009
    • 324 하재희, "ADHD 아동의 만다라 미술치료 사례연구" 8 (8): 87-210, 2008
    • 325 조영숙, "ADHD 아동의 놀이치료 사례연구" 4 (4): 1-26, 2013
    • 326 박준혁, "ADHD 아동의 낙관성 및 사회 유능성 향상을 위한 집단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사회기술훈련과 긍정심리를 기반으로-" 7 (7): 83-106, 2017
    • 327 장성은, "ADHD 아동의 긍정적 행동지원을 통한 문제행동 단일사례연구" 13 (13): 1-15, 2011
    • 328 최은비 ; 정미라, "ADHD 아동의 공격성과 반항성 및 모-자 상호작용을 위한 치료놀이 사례연구"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1 (31): 359-392, 2015
    • 329 장우영 ; 황순영, "ADHD 아동의 공감 능력과 공감 프로그램 적용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2 (32): 163-189, 2016
    • 330 김동휘 ; 김윤희, "ADHD 아동의 가정 내 기본생활습관 개선을 위한 행동적 부모 컨설테이션의 적용"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5 (25): 1-28, 2017
    • 331 박미영 ; 박순말 ; 조성준 ; 신민섭, "ADHD 아동을 위한 컴퓨터 훈련 프로그램 기반 CBT 효과검증" 한국임상심리학회 29 (29): 639-657, 2010
    • 332 이석훈 ; 양광희, "ADHD 아동을 위한 치료 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 개발 및 부모 면담을 통한 사전·사후 효과 검증" 한국초등체육학회 17 (17): 1-11, 2011
    • 333 박현진 ; 허자영 ; 김영화 ; 송현주, "ADHD 아동을 위한 인지증진훈련, 사회기술훈련, 부모교육 병합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7 (27): 25-58, 2011
    • 334 김유진, "ADHD 아동을 위한 음악적 개입의 현황연구" 3 (3): 1-16, 2017
    • 335 이선경 ; 이청무, "ADHD 아동을 위한 움직임 프로그램이 신체조성과 도파민 및 노르에피네프린에 미치는 영향" 대한무용학회 69 (69): 197-210, 2011
    • 336 유진호 ; 강유석, "ADHD 아동을 위한 심리운동 프로그램의 적용 실행연구" 한국특수체육학회 28 (28): 129-144, 2020
    • 337 이경률 ; 이진희, "ADHD 아동을 위한 사진 프로그램이 주의집중력 및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기초조형학회 15 (15): 377-389, 2014
    • 338 라대엽 ; 박혜연, "ADHD 아동을 위한 부모훈련 중재의 효과 연구: 메타분석"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18 (18): 56-72, 2020
    • 339 윤미연, "ADHD 아동을 위한 문학치료 사례 연구" 한국문학치료학회 9 : 179-226, 2008
    • 340 강혜숙, "ADHD 아동을 위한 놀이치료, 사회기술훈련, 부모 훈련 사례" 2 (2): 103-123, 2009
    • 341 이동훤 ; 이효신, "ADHD 아동을 위한 국내 부모교육 연구 현황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1 (51): 219-239, 2012
    • 342 권윤희, "ADHD 아동을 위한 Kiphard 심리운동 6단계 모델이 주의산만 유아의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4 (4): 37-61, 2012
    • 343 홍선주 ; 이명진 ; 정은주 ; 김초복 ; 손영돈, "ADHD 아동용 작업기억 훈련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검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8 (18): 209-232, 2015
    • 344 박신희 ; 고현, "ADHD 아동에 대한 인지행동치료와 예술심리치료의 상담 사례"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6 (6): 79-99, 2010
    • 345 김동일 ; 김주선 ; 이정민, "ADHD 아동에 대한 사회적 행동 중재 효과: 국내 단일대상연구 메타분석"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1 (31): 51-72, 2015
    • 346 구영진 ; 현명호 ; 윤선영 ; 전진아 ; 김효창, "ADHD 아동에 대한 사회기술 훈련과 부모 교육 병합 치료의 효과" 한국건강심리학회 12 (12): 529-545, 2007
    • 347 김혜경, "ADHD 아동에 대한 부모 교육 병행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사례 연구" 33 (33): 139-170, 2017
    • 348 최진아, "ADHD 아동에 대한 놀이치료적 중재논문 고찰" 대한가정학회 50 (50): 125-138, 2012
    • 349 배미정 ; 박중규, "ADHD 아동대상 부모훈련 연구 현황과 개선방안: 2006년~2015년 국내연구 중심으로" 한국재활심리학회 26 (26): 77-94, 2019
    • 350 신가인 ; 홍초롱 ; 우예신 ; 한아름, "ADHD 아동과 청소년의 실행기능 향상에 효과적인 중재에 대한 체계적 고찰" 대한작업치료학회 27 (27): 85-102, 2019
    • 351 박경화 ; 전영주, "ADHD 아동․청소년에 관한 연구동향 및 가족치료 중재연구 현황 분석 -1996년~2017년 발간된 국내 전문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치료학회 26 (26): 455-474, 2018
    • 352 이상훈, "ADHD 아동·청소년의 약물치료에 대한 고찰"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7 (37): 1-27, 2021
    • 353 이상훈, "ADHD 아동·청소년을 위한 치료 및 돌봄의 원칙과 절차에 대한 고찰"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6 (36): 1-25, 2020
    • 354 이선영 ; 김상희, "ADHD 아동 집단놀이치료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21 (21): 95-111, 2017
    • 355 김윤희 ; 서수균, "ADHD 아동 및 청소년의 학업문제에 대한 비약물적 개입의 동향과 과제"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8 (8): 79-110, 2011
    • 356 이후희, "ADHD 아동 및 청소년의 국내 중재 연구동향 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9 (19): 43-55, 2021
    • 357 이에스더, "ADHD 아동 대상 음악치료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한국예술교육학회 13 (13): 151-168, 2015
    • 358 안민영 ; 전상신, "ADHD 아동 대상 미술치료 연구 동향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2009~2018)" 특수교육연구소 35 (35): 55-77, 2019
    • 359 선우현 ; 박재훈, "ADHD 아동 가족의 가족놀이치료 중재 후 변화연구" 한국놀이치료학회 24 (24): 137-157, 2021
    • 360 박지현 ; 송현주, "ADHD 성향 초등학교 고학년의 계획 및 조직화 중심 실행기능 향상 프로그램 효과" 한국재활심리학회 23 (23): 159-171, 2016
    • 361 김윤희 ; 서수균 ; 권석만, "ADHD 성향 청소년을 위한 학업적 자기관리기술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상담심리학회 23 (23): 577-602, 2011
    • 362 김도희 ; 전영희, "ADHD 성향 아동의 충동성 감소를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한국미술치료학회 21 (21): 1323-1346, 2014
    • 363 배숙경 ; 김택호, "ADHD 성향 아동의 창의성 증가와 부주의성 및 과잉행동, 충동성 감소를 위한 인지학(人智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미술치료학회 23 (23): 447-476, 2016
    • 364 오혜선 ; 채규만 ; 김명식, "ADHD 성향 아동의 사회기술향상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연구 -컴퓨터 영상 프로그램과 심리적 시연 기법을 활용하여-" 한국임상심리학회 26 (26): 21-37, 2007
    • 365 두정일, "ADHD 성향 아동의 문제행동과 그 어머니의 심리 및 상호관계에 미치는 부모-아동 상호작용치료(PCIT)의 효과연구"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0 (30): 307-335, 2014
    • 366 박현숙, "ADHD 성향 아동을 위한 강점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29 (29): 247-270, 2013
    • 367 배은경 ; 정순둘, "ADHD 성향 아동, 부모, 교사를 위한 학교 현장 인지행동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41 (41): 169-198, 2013
    • 368 남상임, "ADHD 가능성 아동의 미술치료를 통한 케어" 6 (6): 19-32, 2009
    • 369 DuPaul, G. J., "ADHD in the schools : Assessment and intervention strategies" Guilford Publications, Inc 2014
    • 370 장석진 ; 박승이 ; 길태숙, "A Case Study of the Effect of Feedback and Repeatability of Game Storytelling on Overcoming Fear of Failure of a ADHD Child" (사)한국컴퓨터게임학회 31 (31): 71-80, 2018
    • 371 The MTA Cooperative Group, "A 14-month randomized clinical trial of treatment strategies for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56 (56): 1073-1086, 1999
    • 372 이종구 ; 조효구 ; 김태수 ; 이유미 ; 정태운, "6주간의 재활승마프로그램이 ADHD아동의 평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26 (26): 1191-1201, 2017
    • 373 교육부 학생건강정보센터, "2022 학생정서⋅행동특성검사 및 관리 매뉴얼"
    • 374 이광희, "15분 체조운동이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 및 청소년의 총문제행동과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재활학회 8 (8): 101-109, 2012
    • 375 조재혁, "12주간의 복합운동이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주의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환경학회 18 (18): 690-698,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3-22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The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 The Korean Society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KCI등재
                2018-01-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후보
              •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4 1.44 1.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4 1.42 1.763 0.22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