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인지행동치료가 척수손상 환자의 정신건강, 자기효능감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on Mental Health,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in Spinal Cord Injury Patient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The Journal of Korea Aging Friendly Industry Association)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3-35(13쪽)
제공처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on mental health,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after 4 weeks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in patients with spinal cord injury.
Methods : The subjects were 20 spinal cord injury patients, and 15 pati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5 in the control group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e study. The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program was reconstructed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specialized books, and consisted of a worksheet for cognitive restructuring that changes negative automatic thinking scales into positive ones and a conversation with a therapist for cognitive restructuring, and consisted of a total of 20 sessions.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20 minutes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nd 30 minutes of traditional occupational therapy in the treatment room, once a day, 5 times a week for a total of 50 minutes, and the control group performed 20 minutes of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and 30 minutes of traditional occupational therapy in the treatment room for a total of 50 minutes, once a day, 5 times a week.
Results : As a result of the study, significant improvement was observed in the experimental group in the items of automatic thinking, depression, anxiety,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after within the group after intervention(p<.01). but the control grou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automatic thinking, A melancholy mood item in the depression test, anxiety (p<.05, p<.01), an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self-efficacy and psychological domain in quality of life(p<.01).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amount of change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items of automatic thinking, depression, anxiety,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p<.01, p<.001).
Conclusion : The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program i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d good guidelines for therapists and spinal cord injury patients.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emotional stability of spinal cord injury patients due to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future rehabilita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participation.
연구목적: 본 연구는 척수손상 환자에게 인지행동치료를 4주간 시행 후 정신건강, 자기효능감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척수손상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군 15명, 대조군 15명을 무작위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은 선행연구와 전문 서적을 기반으로 재구성되었고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척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인지 재구성을 위한 워크시트 작성 및 인지 재구성을 위한 치료사와의 대화로 이루어지며 총 20회기로 구성하였다. 실험군은 치료실에서 인지행동치료 20분, 전통적인 작업치료 30분 총 50분간 1일 1회, 주 5회 실시하고 대조군은 치료실에서 점진적 근육이완요법 20분, 전통적인 작업치료 30분 총 50분간 1일 1회, 주 5회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결과, 중재 후 집단 내 자동적 사고와 우울, 불안, 자기효능감, 삶의 질 항목에서 실험군은 유의한 변화가 관찰되었으나(p<.01), 대조군은 자동적 사고와 우울증 검사에서 우울 기분 항목, 불안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고(p<.05, p<.01),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의 심리적 영역 항목에서는 유의한 향상을 나타내었다(p<.01). 실험군과 대조군의 집단 간 변화량을 비교한 결과 자동적 사고, 우울, 불안, 자기효능감, 삶의 질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p<.001).
결론: 본 연구에서의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은 치료사와 척수손상 환자들에게 좋은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는 것에 큰 의의가 있다. 또한, 인지행동치료로 인한 척수손상 환자의 정서적인 안정은 추후 재활, 일상생활활동 및 참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