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탑의 기원으로서의 찰주(刹柱)와 동아시아적 수용 = Cosmic Axis as an Origin of Stūpa and Its East Asian Employment
저자
한대성 (정각사 학술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5-60(26쪽)
제공처
불탑신앙은 불교의 기원과 발달에 있어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따라서 불교철학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불탑의 기원과 본질을 이해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인도에서불탑의 기원은 붓다의 유해가 안치된 거대한 복발형 구조물 상단에 왕의 상징인 산개가 찰주 위에 세워진 형태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견해는 고대 인도와 불교가 전파된 동아시아 스투파의 구조와 상위를 보인다. 특히 통일신라 이후의 한국의 전형적인 불탑과 인도의 일반적 불탑은 그 형태에서 큰 차이를 보이고, 인도의 복발형 탑이 한국 불탑의 상륜부로서 전승되었다는 기존의 견해는 탑신의 규모와 기능을 무시하는 것이다.
불교에 관한 본문 중 가장 오래됐다고 평가받는 아쇼카 비문에서는 탑과 찰주가 구분돼서 나타난다. 니갈리 사가르 석주에서는 thuba라는 술어가 사용되었는데, 이는빨리어 thūpa, 그리고 범어 stūpa와 동일하다. 여기서 스투파는 꼬나까마나 붓다의 유해를 보존한 것으로 유추된다. 하지만 룸비니의 룸민데이 석주의 비문에서는 석조-찰주(silā-thabha)라는 술어가 사용되었고, thabha는 빨리어로 thamba인데, 범어로는 stambha이다. stambha는 비문의 문맥상 유해를 보관한 건축물이 아니다. 따라서 아쇼카 시기까지 불탑에는 붓다의 유해를 보관한 고분형 혹은 반구형 스투파와 기둥형 stambha가 별도로 존속하다, 이후에 결합한 것으로 보인다.
아쇼카 석주 혹은 stambha는 고대의 엑시스 문디의 이형으로 보인다. 엑시스 문디는 크게 세 가지 형태가 있는데, 첫째는 수미산과 같은 우주산이고, 둘째는 보리수나반얀나무 같은 우주수이며, 마지막은 우주기둥이다. 불교 경전인 Divyāvadāna에서는 탑의 중심에 찰주를 세운다고 기술되었는데, 여기서 사용된 술어인 yūpa-yaṣṭi는 베다시대부터 내려오는 전통과 관련되어 있다. 건립연대가 아쇼카 시대로부터 1세기 이후로 추정되는 라우리야 난단가르에서 발굴된 불탑에는 아직도 목제 찰주가 현존하고 있으며, 이는 인도 고대 스투파가 stambha 혹은 찰주와 결합했다는 가장 오래된 물질적 증거이다.
인도 아마라바티 유적지를 비롯한 다수의 유적지 부조에 나타난 탑 상부에 심어진 나무와 아잔타 동굴의 일부 스투파에서 볼 수 있는 특이한 형태의 상부구조도 스투파가 불교의 초창기 시절부터 엑시스 문디와 결합했다는 것을 이해할 때 그 구조가 비로소 파악된다. 그리고 이러한 찰주 중심구조의 스투파는 인도 불교를 직접 계승했다는 티벳에도 존재한다. 티벳어로는 불탑이 mchod༌rten༌(མཆད་རན་)인데, 이는 어원적으로 ‘기둥 공양’ 혹은 ‘기둥 숭배’로 풀이된다. 티벳 불탑 가운데 심어진 기둥은 srog་shing་(སག་ཤ ང་)이라 하는데, 이는 생명의 나무라는 의미이다.
티벳뿐만 아니라 한국의 법주사 팔상전과 일본의 호류지 5중탑을 비롯한 동아시아에 현존하는 고대 목재 스투파의 중추가 찰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석탑의 원형은 목탑에서 찾을 수 있으니, 석탑의 원래 구조도 찰주가 중심이 되었음을 유추할 수 있다.
통도사와 같은 한국의 고찰에 남아있는 당간지주 또한 원래의 용도는 찰주 숭배 혹은 엑시스 문디로 추정되고, 불국사 다보탑 또한 팔각형 찰주가 내장되었는데, 이는베다의 yūpa-yaṣṭi를 계승한 정통성 있는 조탑양식으로 이해된다.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