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종관기압 패턴별로 분석한 강원 지역 기상재해 = Analysis of Meteorological Disasters Generated in Gangwon-do Region Using Synoptic Pressure Pattern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한국방재학회논문집(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57-70(14쪽)
KCI 피인용횟수
3
DOI식별코드
제공처
Based on the contents of ‘yearbook of calamities’ from 2001 to 2010 provided by the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meteorological disasters, generated by heavy rain, heavy snow and strong wind in the Gangwon-do region, were classified in accordance with synoptic pressure pattern to survey the damage of disaster with the pressure pattern types and to reveal regions vulnerable to disasters. In Gangwon-do region, total 32 events of heavy rain occurred for ten years, which lead to about 2,203 billion won of the total damage amount. Especially, Pyeongchang-gun and Inje-gun had outstanding damages of about 604billion won and 579 billion won, respectively. In case of migratory low type, the amount of disaster damage caused by heavy rain was about 303 billion won while there was damage of about 1,900 billion won in case of Changma front type. The amount of disaster caused by Changma front type was six times more than that caused by migratory low type. Since regions vulnerable to disasters from this survey were Pyeongchang-gun and Inje-gun, these regions would need to have priority to heavy rain prevention and measurement aid. The total damage amount caused by the heavy snow events was 24 billion won in Gangwon-do region. Especially, Hongcheon-gun and Chuncheon-si had damage amount of about 4.9 billion won and 4.4 billion won, respectively.
In case of cP high air pressure expansion type, the disaster by the heavy snow events caused the damage of about 4.1 billion won while the damage amount of 19.6 billion won was mainly caused by the migratory low type. Finally, there were two strong wind events for 10 years, leading to the damage of about 15 million won and 63 million won in Samcheok-si and Gangneung-si located in the Yeongdong coastal region, respectively.
강원도 지역은 태백산맥과 동해의 복합적인 영향으로 다른 지역에 비해 재해기상이 빈번히 발생하는 지역으로, 이 지역에서발생하는 재해기상(호우, 대설, 태풍, 강풍 등)에 의한 피해액은 우리나라 전체 피해액의 1/3정도를 차지한다. 본 연구에서는 소방방재청에서 제공하는 2001년부터 2010년까지의 ‘재해연보’의 내용을 바탕으로 호우, 대설, 강풍에 의하여 강원도 지역에서 재해가 발생한 사례들을 추출하였고, 그 사례들을 종관 기압 패턴에 따라 분류하여 유형별 재해 피해액을 조사하여 재해 취약지역을 밝혀내었다. 강원도 지역에서는 10년 동안에 총 32 건의 호우에 의한 재해 사례가 발생하였고, 호우에 의한 강원도 지역의 총 재해 피해액은 2조 2,027억 34백만 원으로 집계되었다. 특히, 평창군과 인제군 지역에서는 각각 6,036억 8백만 원,5,789억 2백만 원 정도로 큰 피해를 입었다. 호우에 의한 재해 사례를 종관 기압 패턴에 따라 분류하여 재해 피해액을 살펴보면, 저기압 통과형의 경우 3,025억 7백만 원 정도이었고, 장마전선형의 경우에는 1조 9,002억 13백만 원 정도이었다. 즉 호우의 경우, 장마전선형 호우에 의한 재해 피해가 가장 많았고, 호우와 관련된 재해 취약 지역은 평창군과 인제군 지역으로 밝혀졌으며, 이들 지역에 대해서 호우 예방 및 대책 지원의 우선순위를 둘 필요가 있다. 대설에 의한 재해 사례의 경우, 재해 사례 건수는 2001년부터 2010년까지 총 8 건이었고, 대설에 의한 강원도 지역의 총 재해 피해액은 238억 51백만 원 정도로집계되었다. 특히, 홍천군은 49억 63백만 원 정도, 춘천 지역은 44억 11백만 원 정도의 피해를 입었다. 대설에 의한 재해 사례를 종관 기압 패턴에 따라 분류하여 재해 피해액을 살펴보면, cP 고기압 확장형 대설의 경우에는 41억 79백만 원 정도, 저기압 이동형 대설의 경우에는 196억 72백만 원 정도이어서, 저기압 이동형 대설의 경우가 cP 고기압 확장형 대설의 경우보다더 큰 재해를 일으켰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강풍에 의한 재해 사례의 경우, 10년 동안에 재해 사례 건수는 총 2 건이었고, 강원 영동 해안 지역에 위치한 삼척과 강릉 지역에서 각각 15백만 원, 63백만 원 정도의 피해가 나타나, 강풍의 피해지역은 강원 영동 지역으로 국한되었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3 | 0.43 | 0.4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1 | 0.4 | 0.602 | 0.1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