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역량 기반 교육과정을 대비한 화법 교육 내용 개발 방향 탐색 = Review on Directions of Speech Communication Education Contents Development in Comparison to Competency-based Curriculum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802.5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01-137(37쪽)
KCI 피인용횟수
8
DOI식별코드
제공처
본 연구는 역량 기반 교육과정을 대비하여 화법 교육 내용을 개발하는 방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 지 속적으로 강조해 온 화법 교육 내용 요소와 해외 여러 나라의 자국어 교육과정에서 공통적으로 강조하고 있는 화법 교육 내용 요소를 분석 하여 교집합을 이루는 핵심 내용들을 추출하고, 그 과정에서 포착된 화법 교육 내용 구성상의 특징과 시사점을 분석하였다. 화법 교육 내용에 대한 비교 연구를 위해 살핀 교육과정은 우리나 라 교육과정 중 제6차.제7차.2007 개정.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 정과 미국.호주.영국의 자국어 교육과정이다. 분석 결과, 각 시기별· 국가별 교유과정에서 공통적으로 강조하고 있는 화법 교육 내용 요소 는 내용 이해를 질문하며 적극적으로 듣기, 비판적 듣기, 상황.목적 에 적절하게 내용을 선정하고 조직하여 말하기, 상대방과 협력적으로 상호교섭하며 생각 발전시키기, 반언어 및 비언어적 표현 활용하여 말 하기, 다중복합매체를 활용하여 이해하고 표현하기, 사회적 활용도 및 전이 가능성이 높은 대표적인 담화 유형 익히기(발표하기, 토의하기, 토론하기)였다. 한편 각 교육과정을 고찰하면서, 담화 유형 중심 접근 법과 의사소통 일반 원리 중심 접근법의 의의, 화법 교육 내용 조직의 계속성과 계열성 구현 방안, 역량 기반 교육과정에 적절한 교육 내용 진술 방식, 지식기반사회에서 요구하는 사고 능력 함양을 위한 구어 의사소통의 활용, 구어 의사소통의 상호교섭적 성격의 체계적 반영 등 과 관련한 시사점을 얻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제시한 화법 교육 내용 개발 방향은 세가지이다. 첫째, 국내.외 화법 교육 내용을 관통하는 요소를 참조하며 전이가가 높은 필수 핵심 내용을 엄선해야 한다. 핵심 내용을 엄선 할 때는 보편적.항존적 요소를 중심으로 하되 변화지향적.특수적 요소도 고려하며 조화를 유지해야 한다. 둘째, 개별 담화 유형에 특화 된 내용을 우선하기보다 구어 의사소통 상황에 두루 적용되는 원리를 중심으로 심화 반복 학습할 수 있도록 조직해야 한다. 셋째, 화법 교 육 내용 개발 방향 및 역량 기반 교육의 취지를 고려하여 내용 진술 수위를 조정해야 한다. 표준적인 필수 내용의 범위를 명확하게 제시하 되, 장기적으로는 간소화 방향을 검토해야 한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화법 교육에서 핵심적인 교육 내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더불어 역량 기반 교육과정을 대비한 화법 교육과정 설계 논의를 풍성하게 하는 계기를 마련하는 데도 기여할 수 있을 것 이다.
더보기This study explored directions of contents development in communication education which would satisfy expectations of current national competency-based curriculum. Having focused on contents of speaking communication education, factors continuously stressed in Korean national curriculums and commonly emphasized factors in national language curriculums from various foreign countries were analyzed and key factors in common were deducted accordingly. Furthermore,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in speech communication education contents were evaluated for the study. Comparisons were made taking account of the 6th and the 7th Korean language curriculums and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s of 2007 and 2009, English curriculums in the USA, Australia and the UK. Commonly stressed education contents between Korean curriculums and the foreign curriculums were found as follows: proactive listening while asking questions for better understanding, critical listening, selecting and organizing proper things to speak, developing ideas by cooperative transaction with others, speaking with semi-verbal expression & nonverbal expression, comprehending and expressing with the utilization of multi-media, studying discourse types of wide application. Some more crucial aspects were found to be : characteristics of discourse focused types and general communication skills ineducation contents, guaranteed continuity and sequence for improving communication ability, proper statement in competency-based curriculum, general capacity building of communication in cross-curriculums, systematic reflection of transactive nature in oral communication. This study resulted in three directions of developing speaking communication education contents in an era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Firstly, there should be quantity optimization of core contents selected proportionately based upon universal and perennial application, change oriented or unique contents. Secondly, there need to be systematic core and substantial contents with widespread application that can be studied repeatedly in depth. This would contribute to effective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ability and general capacity in cross-curriculums. Lastly, more simplified education contents, not very substantive, with an overview or general guidelines, would need to be introduced in the future in order to better implement goals and objectives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although it is quite challenging under the current circumstances. The findings of the study should be able to provide helpful information regarding core education contents in speaking communication education. In addition, the study results are expected to promote positive discussion on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contents for competency-based curriculum.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06-30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Speech Research -> Journal of Speech Communication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9 | 0.89 | 0.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4 | 0.91 | 1.348 | 0.2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