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권태석의 항일투쟁과 민족통일운동 = Kwon Tai-Suk‘s Anti-Japanese Struggle and National United Movement
저자
박순섭 (서강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23-256(34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Kwon Tai-Suk participated in organizing Great Korean National Association in 1919 after the 3.1 Movement. In the 1920s, he joined the Seoul Faction socialist group and worked for the National United Movement such as Singanhoe.
After 1945 he joined The Committee for Preparation of Korean Independence. Next, he joined the moderate right wing camp and began the party integration movement. As a result, some right-wing political forces were consolidated around the Korean Independence Party.
In 1947, Kwon Tai-Suk insisted on an active participation in The American-Soviet Joint Commission and held a party struggle within the Korean Independence Party. And he also strongly opposed the general elections in South Korea.
As such, Kwon Tai-Suk is meaningful as a figure that penetrates the flow of the National United Movement, an effective strategy for independence movement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and a major national construction line for the US Army Military Government.
권태석은 1919년 3․1운동을 계기로 조선민족대동단 조직에 참여했다. 대동단은 각계각층의 다양한 계급을 수용하는 민족통일적 성격을 지녔다. 1920년대에는 서울파 사회주의 운동가로 신간회 등의 민족통일전선 구축을 주도했다. 또한 프롤레타리아 계급주의를 강조하는 ML파와 노선투쟁을 벌였다.
해방 이후에는 건국준비위원회에 합류하여 선전부 책임자가 되고, 우익 계열의 포섭에 나섰다. 건준이 좌경화된 후에는 중도적 우익 진영에 합류하여 당통합 운동에 매진했다. 그 결과 신한민족당이 창당되고, 한국독립당을 중심으로 일부 우익 정치세력이 통합되었다.
이후 미소공동위원회가 재개되자 권태석은 적극적인 참여를 주장했다. 좌우익을 포괄하는 민주적이고 독립된 정부 수립을 위해 수용했던 임정법통론을 철회하고, 미소공위에 대한 기민한 대응과 협조를 강조했다. 당에서 제명된 후에는 민주한독당을 창당하고 민족자주연맹에 합류하여 남북통일정부 수립을 위해 노력했다.
1947년 9월 한국문제의 유엔 이관에 의한 총선거 실시에 대해서도 권태석은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그는 유엔임시위원단과의 면담에서 한국 독립이 공산주의자와 민족주의자 간의 협력을 통해 달성된다고 밝혔다. 이처럼 권태석은 일제강점기의 효과적인 독립운동 전략이자 해방 공간의 주요한 국가건설 노선인 민족통일운동의 흐름을 관통한 인물로서 의미를 지닌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1 | 0.81 | 0.7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5 | 0.66 | 1.616 | 0.06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