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시설 농업에서의 피복에 따른 냉난방부하와 작물 에너지 교환 산정 및 분석 = Calculation and Analysis of Heating-Cooling Load and Crop Energy According to Covering in Facility Agriculture
본 연구는 건물에너지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대상 온실에서 피복재 종류에 따른 작물(토마토)의 에너지 교환량과 냉난방 부하량을 산정하였다. 연중 작물 에너지 최대 교환량과 연간 교환량은 모두 저철분 강화유리(4mm)가 가장 높게 산정되었다. 난방 에너지 부하는 연중 부하가 PE필름(0.1mm)에서높게 산정되었고, 최대 부하는 PO필름(1.5mm)이 가장 높게산정되었다. 냉방 에너지 부하는 연중 부하가 저철분 강화유리(4mm)에서 가장 높게 산정되었고, 최대 부하는 PO필름(1.5mm)에서 가장 높게 산정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피복재별 광적 특성에 따른 온실 내부의 작물 에너지 교환량과 냉난방 에너지부하를 제시하였으며, 피복 선정에 대한 근거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투광성과 보온성 등 피복재 특성에 따라 태양 복사에 의한 온실 내 온도 상승 효과가 달라질수 있으며, 이는 온실 난방 부하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피복재의 전도율이 높을 경우 내부로 들어오는 외부 열의 양이 증가하여 온실 내 냉방 부하에 큰영향을 미칠 수 있다(Lee 등, 2012). 본 연구의 결과는 온실 설계 시 피복재 종류에 따른 냉난방 부하를 비교하고 적합한 피복재를 선정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후 피복재의 내구성, 가격 등을 함께 고려하고 물성치 실측을 통한 냉난방 부하 산정 연구를 진행하면 보다 실용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increase in energy consumption and greenhouse gas emissions due to industrialization and population growth is causing abnormal climate phenomena worldwide, which are also affecting agriculture. To create optimal growing environments for crops, the use of oil and electricity in agricultural facilities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ing.
Facility-based agriculture ensures high productivity and stable year-round production through artificially controlled growing environments. However, for efficient greenhouse operation from both economic and environmental perspectives, it is necessary to reduce heating and cooling energy consumption. Covering materials play a crucial role in agricultural facilities, as they directly affect the thermal environment inside the facility and help promote crop growth. In this study, dynamic analysis methods from building energy simulation were used to analyze the heating and cooling load based on different types of covering materials. The total annual heating and cooling load, as well as the peak heating and cooling load throughout the year, were calculated depending on the type of covering and whether crops were considered. The results were then interpreted. Through such experiments and simulations, the heating and cooling load within the greenhouse can be assessed, and by comparing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each covering material, a suitable covering material for greenhouse design can be selected.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