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헌법과 통일법제 연구의 과거․현재․미래 = Past, Present and Future of the Research on Constitutional and Unification Legislation in Korea
저자
박정원 (국민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41-169(29쪽)
KCI 피인용횟수
1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우리에게 통일은 어떠한 통일방법에서도 법제도의 통합에 의해 완성된다. 남북 통일이 숙명론적 내지 이상론적 통일에서 현실문제로서의 통일을 논의하게 되는 것은 바로 남북한 법제도의 통합론에서 찾을 수 있다. 법제도 통일의 중요성은 동서독과 남북예멘의 분단국가의 통일을 비롯하여 중국과 대만의 양안관계의 발전 등의 과정에서 잘 알 수 있다. 남북한이 각기의 체제 아래 법제도를 구축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우리의 통일연구에서 법제도의 통합논의는 중요한 과제에 해당한다.
무엇보다 현행 헌법상 통일조항(제4조)이라는 헌법규범의 창출은 통일에 관한 시대적 환경변화에 대응한 헌법개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었다. 다시 말해 헌법규범상 통일조항을 기본으로 하여 통일정책의 원칙과 내용을 정하고 있다. 이와 함께 헌법상 분단과 통일관련 조항은 통일정책의 입장과 방향을 정하는 기준을 제시한다. 무릇 남북관계가 전개되는 과정에서 북한에 대한 이해와 분석은 시대적 환경변화에 대응하여 이루어졌다. 이러한 논의의 초점은 북한 이해, 분단 극복과 통일 완성 등에 두고 다루어졌다. 특히 남북의 적대관계 속에서 법제도적 관점에서 부정되었던 북한의 위상은 남북간 교류협력이 확대되면서 협상의 상대방, 미래지향적 통일의 동반자로서의 지위를 인정받게 되었다.
남북관계의 발전에 대한 기대와 함께 보다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정책추진에는 다방면에서 각각의 노력이 경주되어야 한다. 남북관계 발전이 현실적으로 이루어지려면 무엇보다 법제도적인 차원에서 접근되어야 한다. 물론 그동안도 남북관계와 관련하여 단계적인 법제정비가 이루어져 왔지만 앞으로 남북관계가 진전함에 따라 관련 분야의 법제정비는 더욱 필요하게 될 것이다. 한반도는 분단이라는 특수한 사정에 의해 남북관계를 설정하는 데에 있어 일반적인 법적 관계 또는 법적 성격으로는 설명되기 어려운 특유한 법적 지위를 형성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환경에서 한반도의 정세와 남북관계의 상황변화는 필연적으로 관련 법령의 검토와 변경을 필요로 한다.
남북관계의 변화와 함께 그 법제도적 관계에 대한 논의는 결과적으로 새로운 시각에서 대북인식을 갖게 하였다. 북한의 법을 분석하여 북한을 이해하고 남북통합적 관점에서 남북한의 제도적 통합방안을 논의하면서 새로운 남북관계의 성격을 파악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과거 냉전적 대결시기에는 북한의 법과 통합 내지 통일에 관한 법제도적 연구는 최소한의 정책적 차원의 필요에 의한 것이었을 뿐 학문적 또는 실무적 차원의 접근은 경시되었던 것이 사실이다. 이를 극복하고 최근 북한의 법제와 남북통일법제에 관한 연구는 학문적 또는 실무적 차원에서 확대되어 왔다여기서는 우리의 통일법제에 대한 연구가 어떤 변화의 과정을 거쳐 발전하였으며, 향후 발전을 위해 개선되어야 할 문제점과 과제 및 전망에 고찰한다. 이를 위해 우리 헌법상 통일조항의 변화와 관련한 논의의 배경과 의미를 살피되, 헌법개정논의에 비추어 제기된 통일조항의 내용을 고찰한다. 그리고 평화통일 원칙을 규정한 우리 헌법상 통일조항에 비추어 통일법제 연구의 방향과 과제에 대해 논급한다.
The unification of Korea is accomplished by the integration of the legal system in any unification method. The reason why the unification of Korea is discussed as a reality issue, not as a fatalistic or idealistic unification can be found in the integration theory of the unification of two Koreas legal systems. The importance of unification in the legal system can be seen in the course of unifications of divided nations, East and West Germany and North and South Yemen, and the development of bilateral relations between China and Taiwan. Considering that the two Koreas are establishing each legal systemdiscussing the integration of the legal system is an important task in the unification research.
Above all, the creation of the Constitutional Code, the unification clause (Article 4) in the current Constitution, could be achieved by amending the Constitution in response to the changing environment of the times. In other words, the principles and contents of the work policy are set based on the unification clause in the constitutional norm. In addition, the provisions on division and unification in the Constitution provide the criteria for setting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unification policy. In the course of the development of inter-Korean relations, understanding and analysis of North Korea has changed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times. The focus of this discussion was on understanding North Korea, overcoming division and unification. In particular, the status of North Korea, which has been denied from the legal institutional point of view in the inter-Korean hostilities, has been recognized as a partner of negotiation and a partner of future-oriented unification with the expansion of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Prof. Ph. D in Law, College of Law, KOOKMIN Univ., Seoul, Korea
With the expectation of the development of inter-Korean relations, each and every effort must be made to pursue more rational and systematic policies. In order for the development of inter-Korean relations to be realized in reality, it should be approached from a legal level. Of course, there has been a step-by-step legal reform in relation to inter-Korean relations, but as the inter-Korean relationship progresses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improve the legal system in related fields. This is because the Korean peninsula has formed a peculiar legal status that can not be explained by the general legal relationship or legal character in establishing inter-Korean relations under the special circumstances of division. In this environment, changes in the situ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situation of inter-Korean relations inevitably necessitate the review and revision of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As a result, discussions on the legal and institutional relationship with the changes in inter-Korean relations has resulted in recognizing North Korea from a new perspective. By analyzing the law of North Korea, we understoodNorth Korea and discussed the institutional integration of the two Koreas from an inter-Korean perspective. At the time of the Cold War confrontation in the past, the legal and institutional research on the law and integration and unification of North Korea was based on a minimum policy-level need, but the academic or practical approach was neglected. In recent years, studies on the legal system of North Korea and the unification law of North and South have been expanded on the academic and practical level.
In this paper, I discuss the problems, tasks, and prospects that need to be improved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our unified legislations through the process of change. For this purpose, I examine the background and meaning of the unification clause in our Constitution, and consider the contents of the unification clause which is raised in the discussion of constitutional amendment. In the light of the unification clause in our Constitution which prescribes the principle of peaceful un...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5-06-14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저스티스외국어명 : The Justice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3 | 1.23 | 1.3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9 | 1.25 | 1.356 | 0.6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