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상세검색

    인기검색어

      혁신학교를 통해 본 교육혁신 연구 = A study on educational innovation : focused on innovation schools

      • 저자

        김옥순

      • 발행사항

        강릉 : 강릉원주대학교, 2019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강릉원주대학교 대학원 , 교육학과 , 2019

      • 발행연도

        2019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370 판사항(6)

      • DDC

        370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강원특별자치도

      • 형태사항

        v, 180 p.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손영민
        참고문헌: p. 162-177

      • 소장기관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급변하는 미래사회를 위해 학교교육은 오랜 시간을 거쳐 변화를 거듭하고 있지만 그 변화라는 것은 대부분 국가 혹은 외부의 세력에 의해 주도되었기에 현장에 뿌리 깊게 정착하지 못하였다. 2000년대에 들어서 작은학교를 중심으로 시작된 새로운 학교교육의 변화는 ‘혁신학교’로 이어져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학교현장에 자리 잡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이 연구에서는 혁신학교를 중심으로 교육혁신의 지속과 중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봄으로써 미래사회를 위한 교육혁신의 확산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혁신학교의 지속과 중단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무엇인가?
      둘째, 혁신학교의 확산 방안은 무엇인가?
      문헌과 선행 연구의 분석을 통해 교육혁신의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혁신의 특성’, ‘학교맥락’, ‘지원체제’, ‘구성원의 역할’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질문지를 구성하고 혁신학교의 운영을 지속하는 학교와 중단한 학교의 관리자와 교사를 중심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혁신의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혁신학교의 특성은 교육중심 학교시스템, 민주적인 학교운영, 새로운 교육의 구현 및 변화가능성으로 나타났으며, 이것은 혁신학교를 지속하는데 영향을 미쳤다.
      둘째, 혁신의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맥락적 요인으로는 조직적 요인으로 혁신학교의 업무구조, 의사결정 권한, 의사소통 방법이 나타났고, 문화적 요인으로는 철학적 합의 및 구성원의 관계가 나타났다. 이 요인들은 혁신의 지속과 중단에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환경적 요인으로서의 학교의 규모와 시설, 학생의 사회․경제적 수준, 외부환경은 상대적으로 적게 영향을 미쳤다.
      셋째, 혁신의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지원체제로는 업무지원, 학습공동체 활성화, 다양한 평가와 피드백, 철학 공유의 지원, 협력적 분위기 조성이 나타났으며, 이것은 혁신의 지속과 중단에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외부지원은 혁신학교 지속에 영향을 미쳤다.
      넷째, 혁신의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구성원 모두의 자발적 참여는 혁신의 지속에 영향을 미쳤지만 일부의 참여, 소극적 혹은 다른 방향으로의 참여는 혁신의 중단에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혁신 과정에서의 갈등과 저항은 혁신의 지속과 중단에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혁신학교의 확산을 위해 학교 안에서는 교사동력의 확보, 교육중심 학교시스템 유지, 학교철학 공유와 소통하는 문화의 정착이 필요하고, 학교 밖에서는 교육청 자체의 혁신과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혁신학교 운영은 실질적인 점검을 통한 학교별 특성화가 필요하다. 혁신학교는 교육정책으로서 확산 추세에 있지만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자칫 형식적인 운영에 그치거나 중단되기도 한다. 따라서 혁신학교의 확산을 위해서는 그 학교만의 실질적이고 근본적인 자체평가를 토대로 단위학교만의 특성을 살릴 필요가 있다.
      둘째, 구성원 간의 관계 형성과 철학적 합의가 필요하다. 혁신학교는 교사의 비판적 시각에서 출발하였다. 그렇다보니 모든 구성원의 다양한 시각을 충족시킬 수 없었고, 이로 인해 발생한 오해와 갈등은 혁신 실행을 어렵게 했다. 따라서 혁신학교의 확산을 위해서는 구성원 간의 돈독한 관계 형성과 혁신학교에 대한 진정한 이해를 통한 철학적 합의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혁신은 그 방향을 유지하고 협력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혁신학교 운영을 위한 구성원의 조화로운 참여와 역량강화가 필요하다. 혁신학교는 모든 구성원의 참여로 운영되므로, 구성원들은 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렇게 역량을 갖춘 구성원 모두가 제 역할을 하며 조화를 이룰 때 혁신학교는 지속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혁신학교 운영을 위한 총체적이고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혁신학교는 새로운 길을 만들어가는 과정으로 혁신이 학교현장에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학교장과 리더교사의 물적, 인적, 심리적 지원과 더불어 상위교육기관의 행․재정 및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다시 말해, 혁신학교의 지속을 위해서는 일시적이고 단편적인 지원이 아닌 학교 안팎에서의 총체적이고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더보기

      For a rapidly changing future society, school education has been changing over a long period of time, but most of the changes were led by national or external forces, and they failed to be institutionalized in school field. In the 2000s, changes in new school education, which began with small schools, led to “innovation schools" and spread throughout the country, but there are still many difficulties in locating them on the school fie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factors affecting the continuation and discontinuation of educational innovation focused on the innovation schools and to find ways to diffuse educational innovation for the future society.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for this research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what factors influenced the continuation and discontinuation of the innovation schools?
      Second, what is the proliferation of innovation schools?
      The characteristics of innovation, school context, support system, and role of members were derived from the analysis of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Based on this, we constructed questionnaires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managers and teachers of the schools where the innovation was continued or discontinu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innovation schools affecting the diffusion of innovation were derived from the teaching-centered school system, the operation of democratic schools, the implementation of new education and the possibility of change. And these influenced the continuation of the innovation school.
      Second, as the school contextual factors influencing the diffusion of innovation, organizational factors such as work structure, decision-making authority, and communication method were derived, and as cultural factors such as philosophical consensus and relationship of members were derived. These influenced the continuation and discontinuation of innovation. However, the size and facilities of the school as an environmental factor, the socio-economic level of the students, and the external environment were relatively less affected.
      Third, the supporting system which influences the diffusion of innovation has resulted in the administrative support, activation of learning community, various evaluation and feedback, support of philosophy sharing, and cooperative atmosphere. These influenced the continuation and discontinuation of innovation. External support also influenced the continuation of the innovation school.
      Fourth,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all members influenced the continuation of innovation as a factor influencing the diffusion of innovation. However, participation of some, participation in passive or other direction influenced the discontinuation of innovation. And the conflict and resistance in the process of innovation influenced the continuation and discontinuation of innovation.
      Fifth, in order to diffuse innovation schools, it is necessary to secure teachers' power in school, to maintain teaching-centered school system, to establish culture to communicate and to share school philosophy.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characterize the school through practical check of the operation of the innovation school. Innovation schools are spreading as education policy, but despite their many efforts, it is either stopped or were a formal operation. Therefore, in order to diffuse the innovation school, it is necessary to utilize the characteristic of the unit school only based on the actual and fundamental self-evaluation of the school.
      Second, it is necessary to form relations and philosophical consensus among members. The innovation school started from a teacher's critical point of view. So it was not possible to meet the diverse perspectives of all the members, and the misunderstanding and conflict caused by this made it difficult to implement innovation. Therefore, for the diffusion of innovation school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trong relationship among the members and a philosophical agreement through a true understanding of the innovation school. Through this, innovation will be able to maintain that direction and lead to cooperation.
      Third, harmonious participation and capacity building are needed for the operation of innovation schools. Innovation schools operate with the participation of all members, so they need the ability to perform their roles. Innovation schools can continue when all these competent members play their roles and harmony.
      Fourth, comprehensive and continuous support for the operation of innovation schools is needed. Innovation schools are a process of creating a new path. They need the administrative, financial, and institutional support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n addition to the physical, human, and psychological support of the principal and leader teachers so that innovation can be placed at the school site. In other words, the continuation of an innovation school requires total and ongoing support both inside and outside the school, rather than temporary and fragmented support.

      더보기
      • 국문초록ⅰ
      • 목차 ⅳ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 2. 연구 문제 5
      • Ⅱ. 이론적 배경 6
      • 1. 혁신학교 6
      • 2. 교육혁신 17
      • 가. 교육혁신의 개념 17
      • 나. 교육혁신의 확산 20
      • 다. 교육혁신의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2
      • Ⅲ. 연구 방법 47
      • 1. 연구 대상 47
      • 2. 연구 설계 및 절차 53
      • Ⅳ. 연구 결과 62
      • 1. 교육혁신의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62
      • 가. 혁신의 특성 62
      • 나. 학교맥락 84
      • 다. 지원체제 109
      • 라. 구성원의 역할 126
      • 2. 혁신학교의 확산방안 144
      • Ⅴ. 요약 및 결론 154
      • 1. 요약 154
      • 2. 결론 및 제언 158
      • 참고문헌 162
      • Abstract 178
      더보기
      • 1 성열관, 이순철, "혁신학교", 서울: 살림터, 2011
      • 2 윤정일, 주철안, 이훈구, "교육리더십", 서울: 교육과학사, 2004
      • 3 오석홍, "행정개혁론", 서울: 박영사, 2003
      • 4 김병주, 조동섭, 윤정일, 송기창, "교육행정학원론", 서울:학지사, 2014
      • 5 박병량, 주철안, "학교․학급경영", 서울:학지사, 2007
      • 6 이중현, "학교가 달라졌다", 서울: 우리교육, 2012
      • 7 이정선, 최영순, "초등학교문화 이해", 파주:양서원, 2009
      • 8 김민조, 한점숙, 진동섭, 전수현, 이은주, 이승복, 박진형, 박지웅, 박인심, 박상완, 나민주, 김진수, 김병찬, "한국 학교조직 탐구", 서울: 학지사, 2005
      • 9 신경림, 조명옥, 양진향, "『질적 연구방법론』",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8
      • 10 김성천, "혁신학교란 무엇인가", 서울: 맘에드림, 2011
      • 11 경태영, "나는 혁신학교에 간다", 서울: 맘에드림, 2012
      • 12 조용환, "질적 기술, 분석, 해석", 교육인류학연구, 2(2), 27-63, 1999
      • 13 박현숙, "희망의 학교를 꿈꾸다", 서울: 해냄출판사, 2013
      • 14 서근원, "질적 연구 수행의 의미", 교육학연구, 46(3), 133-161, 2008
      • 15 김용, "교육개혁의 논리와 현실", 경기도: 교육과학사, 2012
      • 16 이부영, "서울형 혁신학교 이야기", 서울: 살림터, 2013
      • 17 강충열, 이성대, 이범희, 이광호, 신문승, 송주명, 서길원, 권동책, "학교혁신의 이론과 실제", 서울: 지학사, 2013
      • 18 이윤미, "혁신학교의 성과와 과제", 교육비평, 33, 12-30, 2014
      • 19 이미경, "혁신학교 지속 가능성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 20 오두범, "「조직커뮤니케이션 원론」",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1994
      • 21 양병찬, "혁신학교와 지역사회의 협동", 교육비평, (33), 98-120, 2014
      • 22 김재웅, 진동섭, 이윤식, "교육행정 및 학교경영의 이해", 파주:교육과학사, 2014
      • 23 김영화, "미국의 종합적 학교혁신 동향", 교육정치학연구, 13(2), 101-125, 2006
      • 24 송순재, 이정민, "혁신학교 운영과정 질적 연구", 서울: 서울교육연구정보원, 2011
      • 25 이기명, 천세영, "A초등하교는 왜 변하지 않을까?", 교육행정학연구, 29(3), 223-247, 2011
      • 26 조소영, "초등교사의 e-러닝 확산과 채택",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 27 정진화, "교사주도 학교개혁 운동의 등장", 교육사회학연구, 24(2), 243-276, 2014
      • 28 강소연, "학부모의 학교참여 현황과 과제",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11
      • 29 한국교육네트워크, "혁신학교에 대한 교육학적 성찰", 서울: 살림터, 2015
      • 30 박승철, "경기도 혁신학교 정책 평가 연구", 중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 문, 2014
      • 31 신현석, "교육거버넌스 갈등의 쟁점과 과제", 교육행정학연구, 28(4), 351-380, 2010
      • 32 박철희, "혁신학교 교사문화의 특징과 과제", 교육비평, (33), 55-73, 2014
      • 33 김영천, 이용숙, "교육에서의 질적연구: 방법과 적용", 서울: 문음사, 1998
      • 34 김수경, "혁신학교 운영의 실태와 성과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29(4), 145-168, 2011
      • 35 배은주, "혁신학교 운영의 특징과 갈등 탐색", 교육사회연구, 24(2), 145-180, 2014
      • 36 조선자, 최두진, 박운형, 박동진, 고정순, "교육혁신의 개념, 동향 및 발전방향", 교육혁신연구, 19(1), 1-24, 2009
      • 37 박승배, "전라북도 제1기 혁신학교 성과 분석", 초등교육연구, 27(4), 27-51, 2014
      • 38 박상완, "학교조직문화와 구성원간 의사소통", 지방교육경영, 9, 20-58, 2005
      • 39 황기우, "학교개혁을 위한 교사 리더십의 연구", 교육문제연구, 31, 23-47, 2008
      • 40 성기선, "혁신학교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과제", 교육비평, (33), 121-143, 2014
      • 41 이영석, "퍼실리테이션의 개요(Facilitation overview)", 월간 HRD 6월호, 106-109, 2009
      • 42 이현정, "학교혁신의 지속가능성 저해요인 분석", 광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 43 김민조, "혁신학교 교육거버넌스의 특징과 과제", 교육비평, (33), 74-97, 2014
      • 44 박상완, "개방형 자율학교의 학교혁신 사례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27(2), 177-201, 2009
      • 45 포남초등학교 교사들, "배움의 공동체를 만들다 학교를 바꾸다", 서울: 에듀 니티, 2016
      • 46 이혜영, "중등학교 교직문화의 현황과 발전 방향", 한국교원교육학회 학술대 회자료집, 24(3), 67-99, 2006
      • 47 김성열, "학교 혁신, 리더 교사 그리고 평생 교육", 한국교원교육연구, 23(1), 291-305, 2006
      • 48 서근원, "학교혁신의 길: 교육인류학의 관점에서", 서울 : 강현출판사, 2012
      • 49 김정현, "교원의 학교개혁 참여 양상에 관한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29(3), 25-47, 2011
      • 50 서병조, "새로운 기술, 새로운 세상 지능정보사회", 대구: 한국정보화진흥원, 2016
      • 51 양성관, 전상훈, 이승덕, "학교변화 수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 연구", 교육정치 학연구, 17(2), 65-88, 2010
      • 52 박미희, 백병부, "혁신학교가 교육격차 감소에 미치는 효과", 교육비평, (35), 204-226, 2015
      • 53 정화섭, "소셜미디어 혁신저항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 지, 13(6), 158-166, 2013
      • 54 이정선, "학교변화의 방법으로서 학교문화 변화 전략", 교육인류학연구, 10(1), 127-154, 2007
      • 55 박일관, "혁신학교 2.0 혁신학교를 넘어 학교혁신으로", 서울: 에듀니티, 2015
      • 56 서용희, 주철안, "미국의 성공적인 학교교육혁신사례 비교연구", 비교교육연 구, 17(3), 191-215, 2007
      • 57 서길원, "학교 혁신을 위한 학교 시설의 재구조좌 방안", 한국교육시설학회지, 20(5), 29-32, 2013
      • 58 이두휴, "자녀교육지원활동에 나타난 학부모 문화 연구", 교육사회학연구, 18(3), 135-165, 2008
      • 59 권문주, 박성택, 김태웅, "공개소프트웨어 도입 및 확산의 영향요인 연구", 디 지털정책연구, 10(1), 225-234, 2012
      • 60 김귀원, "조직혁신 과정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2012
      • 61 박상완, "교감의 역할과 교감직의 특성에 대한 질적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2892), 365-389, 2011
      • 62 송경오, 허은정, "교사의 공식적 학습기회 효과에 대한 연구 분석", 한국교원 교육연구, 29(4), 243-268, 2012
      • 63 박완화, "비자발적 근무 교사의 혁신학교 참여 경험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 64 김지연, 이자명, "교사를 위한 심리적 어려움 및 지원에 대하 인식", 학습자중 심교과교육연구, 1697), 235-260, 2016
      • 65 김효정, "교사의 학교개혁 실행 영향 요인 간 구조적 관계", 교육육행정학연 구, 29(4), 365-394, 2011
      • 66 김정현, 홍창남, 김홍원, "교육혁신정보 확산 방안 연구(연구보고 RR 2009-01)",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09
      • 67 최홍규, 이유민, 안미선, 김형지, 김성태, "소셜미디어 이용거부자의 혁신저항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56(4), 439-464, 2012
      • 68 Berry, F. S., 김대진, "정책혁신과 확산 연구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한 국정책학회보, 19(4), 75-110, 2010
      • 69 허학도, "학교공동체구성원의 역할에 관한 내용분석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23(2), 281-302, 2005
      • 70 김위정, "학생자치활동 경험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27(1), 179-203, 2016
      • 71 김현섭, "혁신학교 운동을 위한 수업 혁신 모델 비교 연구", 열린교육실행연 구, 14, 55-78, 2011
      • 72 주철안, "단위학교 교육공동체 구축의 원리와 상황적 조건", 교육연구, 12, 45-59, 2002
      • 73 이경호, "전문가학습공동체 구축을 위한 교장의 역할 탐색", 교육행정학연구, 29(3), 195-221, 2011
      • 74 이원기, 박현일, 강호영, "종업원 교육훈련과 보상시스템의 동 기부여 효과", 국제회계연구, 51, 122, 2013
      • 75 김인희, "학교의 형식주의와 학교혁신의 관계에 관한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25(3), 29-56, 2007
      • 76 정상섭, "학교조직 내 의사소통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초등교육연구, 24(4), 351-374, 2011
      • 77 한영욱, "혁신학교의 교사문화 형성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교원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2015
      • 78 고승진, "교사주도 자생적 학교혁신 과정에 관하 사례 연구", 창원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2014
      • 79 Rogers, E., "Diffusion of Innovations. 김영석, 강내원, 박현구 역(2005)", 서울: 커뮤니케이션 북스, 2003
      • 80 오찬숙, "교사학습공동체의 개혁확산 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4
      • 81 고장완, 임천순, 이수정, 이광현, 김진영, "교육재정과 학교특성이 학업성취도 에 미치는 영향", 교육재정경제연구, 20(4), 171-188, 2011
      • 82 김상진, "덕양중학교 교사 일동 덕양중학교 혁신학교 도전기", 서울: 맘에드 림, 2012
      • 83 김영화, "미국 지역사회 기반 시민사회조직의 학교개혁 참여", 비교교육연구, 18(3), 123-153, 2008
      • 84 김영훈, "스마트폰의 수용단계에 대한 혁신저항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 85 정바울, 황영동, "자생적 학교 혁신j의 확산 경로와 과정에 관한 연구", 교육행 정학연구, 29(2). 313-338, 2011
      • 86 박종철, "혁신학교 교사의 민주적 의사소통 경험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 87 허은정, "학습조직으로서의 학교가 교사전문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교육 연구, 2893), 29-53, 2011
      • 88 강충열, "혁신 지향적 초⋅중등학교 학교 문화 창조 모델 탐색", 통합교육과정 연구, 8(3), 139-166, 2014
      • 89 한영태, "교사의 교육혁신에 대한 관심과 학교효과성과의 관계", 공주교육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 90 김흥주, 이석희, 박재윤, "이정아 학교혁신 지원체제 분석연구(연구보고RR 2005-7)",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05
      • 91 김현진, "공영형 혁신학교에 대한 교육주체들의 인식 조사 연구", 교육행정학 연구, 24(1), 313-338, 2006
      • 92 김선아,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학생과 교사의 심리적 특성 비교", 호서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2013
      • 93 신현석, "교육개혁의 이념과 철학: 교육개혁 10 년의 반성과 과제", 교육정치 학연구, 12(1), 19-50, 2005
      • 94 장 훈, "공립학교군별 전문적학습공동체 형성 정도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 95 박주호, 송인발, "교사의 전문성 개발 참여에 미친 학교 수준 변인의 영향", 한국교원교육연구, 31(4), 93-117, 2014
      • 96 허봉규, "혁신 학교 운영 모델 탐색: 경기도 혁신학교를 중심으로", 성균관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97 백병부, 하봉운, 성열관, "경기도 혁신학교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수시연구 2014-02)", 경기도 : (재)경기도교육연구원, 2014
      • 98 연희정, 한안나, 이연선, "한 초등교사의 혁신학교 교육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교육혁신연구, 27(1), 63-90, 2017
      • 99 윤기옥, "효과적인 학교에 대한 연구 : 그 변천과 현황을 중심으로", 경인교육 대학교 교육논총, 28, 51-67, 2008
      • 100 구슬기, 박인용, 김완수, 김성은, "학교 학업성취 연도별 변화에 미치는 교육 맥락변인 분석", 교육평가연구, 28(5), 1447-1471, 2015
      • 101 김희규, "학교교육에 대한 기존 패러다임의 대안으로서의 학습조직", 인천교육 대학교 교육논총, 20, 277-295, 2002
      • 102 Sergiovanni, T. J., "Building community in schools. 주철안 역(2004). 학교공동 체 만들기", 서울: 에듀케어, 1994
      • 103 Lortie, D. C., "School Teacher . 진동섭 역(1993). 교직 사회 : 교직과 교사 의 삶", 서울:양서원, 1975
      • 104 김명수, 장훈, "경기 혁신학교 운영 사례 분석: 초등학교 사례를 중 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1(1), 311-333, 2011
      • 105 신종호, "이러닝 수용과정에 있어서 학습자의 혁신저항에 관한 연구", 한양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 106 오욱환, "교육격차의 원인에 대한 직시: 학교를 넘어서 가족과 사회로", 교육 사회학연구, 18(3), 111-133, 2009
      • 107 김남순, 최용희, 차지철, 박소영, 나민주, "자율학교 성과분석 연구 : 혁신학교 모형을 중심으로(CR2013-10)",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13
      • 108 김영애, "초등교사의 학교 의사결정 참여와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분석", 진 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 109 김병찬, 윤정, "‘학교혁신’에 참여하게 된 교사들의 갈등 경험에 관한 연 구", 교육행정학연구, 34(2), 221-252, 2016
      • 110 위은주, "학교공동체문화가 교사의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교 육행정학연구, 31(2), 1-27, 2013
      • 111 이순형, "학부모 참여에 의한 학교교육의 혁신 :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비 교교육연구, 13(2), 1-20, 2003
      • 112 심은미, "교육혁신 사례로서의 열린교육의 전파와 확산 과정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7
      • 113 박소영, "중등학교 교사 문화 비교분석 : 2001년과 2011년간 변화를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28(3), 201-222, 2011
      • 114 김성천, "학교 혁신의 핵심 원리: 교장공모제를 실시한 D중학교를 중심으로", 교육사회학연구, 19(2), 59-89, 2009
      • 115 백승효, "업무 연계성, 조직 지원, 평가 및 보상 체계와 조직 혁신활동 성 과",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 116 심경은, "초록초등학교 교사들의 혁신학교 참여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 연 구", 전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 117 김천기, 나종민, "부르디외의 장 이론 관점에서 본 혁신학교 교원들의 권력관 계 특성", 교육사회학연구, 25(1), 79-103, 2015
      • 118 이경호, 이준희, "전문가 학습공동체 구현양상에 관한 질적연구: 혁신학교를 중심으로", 교육문제연구, 28(2), 231-259, 2015
      • 119 박일관, 최창의, 오재길, 오윤주, 손동빈, 박현숙, "시도교육청 혁신학교 정책 비교 연구 : 경기․전북․서울을 중심으로", 수원: 경기도교육연구원, 2015
      • 120 문지현, "피드백 유형이 인지양식에 따라 초등학생의 쓰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 121 Fullan, M., Hargreaves. A., "What's Worth Fighting for in Your School? . 최의창 역(2015). 학교를 개선하는 교사", 서울: 레이보우북스, 1996
      • 122 김국일, "조직 여유자원이 혁신성과, 재무성과, 그리고 조직생존에 미치는 영 향", 한국외국어대교 박사학위논문, 2014
      • 123 이영상, "혁신학교의 도입과 실행과정에 대한 연구: 농촌의 두 학교를 중 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3
      • 124 조규락, 조소영, "Rogers의 혁신의 확산이론에 기반한 초등학교 교사의 e-러 닝 확산과 채택", 교육공학연구, 28(2), 409-438, 2012
      • 125 민부자, 홍후조, "교육과정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학급․학교 규모에 관한 시론적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12(2), 1-24, 2011
      • 126 이상철, "부산다행복학교의 성과 및 과제 연구 : 교사 대상 집단면담을 중심 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35(1), 53-81, 2018
      • 127 서근원, "학교 혁신을 위한 대안적 패러다임 모색: 해석적 교육사회학의 관점에서", 한국교육, 38(3), 209-240, 2011
      • 128 박세훈, "․이정로 학교장의 리더십과 학교조직가치 결합유형 간의 인과관계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23(3), 95-118, 2006
      • 129 김성환, 오아라, "직무요구-자원과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직무열의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경영컨설팅연구, 16(4), 1-17, 2016
      • 130 김왕준, 윤창희, "초등학교 교감의 의사소통유형이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33(3), 265-288, 2016
      • 131 곽혜정, "교사가 지각한 조직의사소통의 활성화 정도와 학교조직몰입의 관 계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 132 박균열, "교사의 임파워먼트와 교사헌신 및 학교조직 효과성 간의 공분산구조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26(1), 315-341, 2009
      • 133 유경훈, "학교혁신 과정의 양가성: 혁신학교 운영과정에 관한 문화기술적 사례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134 김영미, 홍지은, 이재덕, 안순억, 서길원, 서근원, 김진경, "학교혁신 사례발굴 과 확산을 위한 네트웍 구축 방안 연구(정책연구 2005-06)", 대통령 자 문 교육혁신위원회, 2005
      • 135 양은주, 이윤식, "교장의 지도성, 교감의 지도성, 교사효능감,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구조관계", 한국교원교육연구, 33(2), 395-421, 2016
      • 136 김남수, 이혁규, "문화역사 활동이론을 통한 1년차 서울형 혁신학교의 수업 혁신 활동의 이해", 열린교육연구, 20(4), 357-382, 2012
      • 137 정지영, "혁신학교 지정 신설초등학교의 교사문화 형성과정과 특성에 관한 사례연구",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 138 Drucker, P. F., "Peter F. Drucker on Innovation. 권영설, 전미옥 역(2006). (피터 드러커의)위대한 혁신", 서울: 한국경제신문, 2005
      • 139 백병부, 정광필, 이형빈, 이윤미, 송순재, 성영관, "서울교육 발전을 위한 학교 혁신 방안 연구 : 혁신학교 운영성과를 중심으로", 서울특별시의회, 2013
      • 140 문대영, "융합인재교육(STEAM) 확산 요인 도출: Rogers의 ‘혁신의 확산’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9(1), 133-150, 2016
      • 141 나효진, "경기도혁신학교 운영에 따른 학교체제 변화 연구 : 초등학교 사 례를 중심으로", 중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 142 안희상, "초․중등교사의 피드백 인식과 혁신적 학교풍토가 피드백 실제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 143 엄정영, "오정란, 정재균, 조무현, 박성자 혁신학교의 학교효과성 분석(전북교 육: 2013-058)", 전주: 전라북도교육연구정보원, 2013
      • 144 이유경, 정영수, "학교장의 권한위임과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관계에 미치는 의사소통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0(2), 287-306, 2010
      • 145 박삼철, "학교조직 변화과정 모델 탐색: 학교조직문화와 기술구조적 접근의 수 용적 통합", 교육행정학연구, 23(1), 49-69, 2005
      • 146 김세은,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긍정심리, 직장내관계, 업무환경 간의 구조관계 규명",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 147 김정원, "빈곤과 교육과의 관계 : 대도시 영구임대아파트 거주 빈곤층 자녀들 을 중심으로", 교육사회학연구, 22(3), 77-109, 2012
      • 148 윤위석, "조직혁신과 혁신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적, 합리적, 제도적 관 점의 비교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6
      • 149 김태연, 한은정, 최현진, 진동섭, 임선빈, 이승호, 이기쁨, 오유진, 박원영, 나현주, "학교변화의 새로운 요인 탐색 : 폐교 위기를 극복한 J초등학교 D분교 사례를 중심", 한국교원교육연구, 31(2), 345-371, 2014
      • 150 장왕준, "초등학교 교사의 교육혁신정책 수용요인 분석 : 행․재정통합시 스템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 151 장영명, "협력과 혁신행동의 영향요인 : 리더십, 내재적 동기부여, 임 파워먼트를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 152 김혜영, 홍창남, 김혜진, "교사협력이 교사만족에 미치는 효과분석 : 혁신학교 와 일반학교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32(2), 123-148, 2015
      • 153 최용환, "서울형 혁신학교 성과평가 연구 : 고교유형별 학교효과를 중심으로 (서교연 2015-53)", 서울: 서울특별시교육연구정보원, 2015
      • 154 배정현, 조윤정, "교사학습공동체 기반 연수에 관한 질적 연구: 교과연수년 직무연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32(2), 33-65, 2015
      • 155 김영곤, "적정 학급규모와 학교규모에 대한 현장교원의 인식: 혁신초등학 교 교원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5
      • 156 오 숙, "“교사가 지각한 학교 조직 내 의사소통 활성화 정도와 조직효 과성과의 관계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 157 김영화, "학교조직혁신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초등학교 교원의 사회연결망 특성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2
      • 158 Ellsworth, J. B., "Surviving change: a survey of educational change models. 서순식, 김성완 역(2005). 교육변화모형 탐구", 서울: 문음사, 2000
      • 159 이혜정, "박진아, 남미자 빈곤, ‘공부’ 그리고 학교 : 빈곤층 중학생의 경험 분 석을 중심으로", 교육사회학연구, 27(2), 101-140, 2017
      • 160 한대동, "수업과 교사협의회를 중심으로 한 학교혁신 사례연구 : 한국과 일본 의 시범학교 비교", 비교교육연구, 18(1), 141-169, 2008
      • 161 윤석주, "혁신학교의 민주적 학교 운영에 관한 질적 연구: 서울S초등학교의 교사회를 중 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32(3), 109-135, 2015
      • 162 Fullan, M., "The new meaning of educational change(5rd ed.). 이찬승, 은수진 역(2017). 학교개혁은 왜 실패하는가", 서울: 교육을바꾸는사람들, 2016
      • 163 김혜인, "개인의 혁신수용에서 커뮤티케이션 네트워크의 역할: 개인의 네 트워크 중심도의 영향",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 164 Creswell, J. W.,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조흥 식 외 역(2010). 『질적 연구방법론-다섯 가지 접근』", 서울: 학지사, 2007
      • 165 곽선경, "경기도 혁신학교 중학생의 학습동기와 학교생활만족도 및 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성과인식", 안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 166 이옥남, "혁신학교 지원재정 사용실태 분석 및 교직원 인식 연구 : 전라남 도 무지개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 167 김영애, 이현주, 배상훈, "학교의 학습조직풍토,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 교사 의 변화수용태도 간의 구조적 영향 관계", 직업교육연구, 33(6), 97-118, 2014
      • 168 이미애, "혁신교육 실천공동체 형성과정과 교사의 참여경험에 관한 연구 : 서울형 혁신고 사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 169 송경오, "학교혁신을 위한 교사 전문적 정체성의 의미와 중요성 : 자유학기제 와 혁신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구, 33(4), 147-174, 2015
      • 170 나승일, 조성웅,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의 변화몰입과 교사효능감, 학교풍토 및 학교장 변혁적 리더십의 인과적 관계",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3(1), 1-25, 2011
      • 171 남미자, 조윤정, 정진화, 이규대, "단위학교 혁신과정에서의 학생의 역할에 관 한 질적 연구 : 경기도 A 혁신고등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학연 구, 53(1), 29-54, 2015
      • 172 백병부, 성열관, "교사의 혁신적 태도 및 신념의 내면화 결정 요인 분석: 경 기도교육청의 혁신학교 관련 연수를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28(3), 101-125, 2011
      • 173 강창동, 최욱, 전제상, 이미숙, 성병창, 노면순, 김희규, "학교교육 내실화 후속 지원 연구 : 초등학교 교육과정 개정에 대비한 지원체제 연구(연구보고 RRC 2006-2-1)",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6
      • 174 김상돈, 김현진, "학교장의 거래적, 변혁적 지도성이 개방성과 폐쇄 성을 매개로 학교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구조적인 영향", 교육행정학연구, 29(4), 395-415, 2011
      • 175 권동택, 최연희, 김현욱,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 사협력 및 학교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교원교육",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31(2), 87-105, 2015
      • 176 Fullan, M., Hargreaves, A., "Professional Capital-Transforming Teaching in Every School. 진동섭 역(2014). 교직과 교사의 전문적 자본: 학교를 바꾸는 힘", 파주: 교육과학사, 2012
      • 177 홍제남, "혁신학교 수업연구회를 통한 교사 수업전문성 사례 연구-다양한 교과 교사들이 함께 하는 수업연구회 탐색", 한국교원교육연구, 34(1), 175-204, 2017
      • 178 성낙돈,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의 참여적 의사결정이 학 생, 수업, 학교 조직에 대한 교사 헌신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교육연구, 25(1), 137-158, 2008
      • 179 정연수, 최은수, "중등학교 교감의 퍼실리테이션 역량이 교사리더십, 학교조 직문화, 조직몰임 및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교육연 구, 31(3), 151-173, 2014
      • 180 Hoy, W. K., Miskel, C. G., "Educational administration :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김형관, 오영재, 신현석, 박종필 역(2005). 교육 행정 : 이론 연구 실제", 서울: 원미사, 2001
      • 181 김현철, 최연주, 조성기, 조덕주, 이미숙, 이낙종, 민용성, "학교교육 내실화 후 속 지원 연구 :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중등학교 적용 지원 체제를 중 심으로(연구보고 : RRC-2007-6-1)",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7
      • 182 Huberman, A. M., Miles, M. B., "Qualitative data analysis : an expanded sourcebook. 박태영, 박소영, 반정호, 성준모, 은선경, 이재령, 이화영, 조성희 공역(2009). 질적 자료 분석론", 서울:학지사, 1994
      • 183 Hall, G. E., Hord, S. M., "Implementing Change: Patterns, Principles, and Potholes(2nd Ed.). 양성관, 손희권, 박종필, 이용운, 이경호, 전상훈, 윤수정(2011). 학교 변화와 혁신: 패턴, 원리, 당면과제", 서울: 학지사, 2006
      • 184 Owens, G. R., Valesky, C. T., "Organizational Behavior in Education: leadership and school reform, 10th. 김혜숙, 권도희, 이세웅, 신경석, 전 수빈, 이혜미, 손보라 역(2012). 교육 조직 행동론: 리더십과 학교 개혁", 서울:학지사,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