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Partnership for Sustainability: NGO and Community Participation in Lawmaking in South Korea = Partnership for Sustainability: NGO and Community Participation in Lawmaking in South Korea
저자
발행기관
서울대학교 아시아태평양법연구소(The Korea Law Rease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1
작성언어
-주제어
KDC
300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39-270(32쪽)
제공처
소장기관
This paper analyzes citizen participation in lawmaking in South Korea, particularly during the period of early 1990s through present. In a broader context, this is part of an effort to analyze the democratization of the political process from the perspectives of community decisionmaking in terms of democratic legitimacy. This paper focuses on the participatory dimension of sustainability, from constitutional law perspectives in a larger context. Particularly, this paper analyzes the institutional and procedural aspect of participation of NGOs and citizens in some of the exemplary instances of lawmaking in South Korea’s recent experience. NGO activities in South Korea were initiated as part of democratization movement, and became conspicuously expanded in the nation’s democratization context in the 1990s. Particularly since early 1990s, many NGOs and civil community in general in South Korea have been actively serving such role of participation and collaboration in policymaking and lawmaking, primarily by means of public interest litigation and proactive legislative initiatives. Such partnership for sustainability is due to diverse grounds,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Some of the areas where such voluntary NGO initiatives and lawmaking movement in South Korea have been particularly active include consumer protection, welfare, human rights protection for minorities including those with disabilities, gender equality,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preservation, labor, and monitoring of the media, conglomerates, and legislative and judicial activities. South Korea’s NGOs have served as the triggering mechanism for institutional changes through changes in law and public policies from grassroots for maturing and implementing democracy, based upon their expertise in pertinent subject matters as well as their democratic legitimacy and representativeness. Such partnership for sustainability of its democracy in the form of proactive citizen participation in policymaking and lawmaking has further constitutional significance and ramifications in South Korea as the legislative process within its unicameral national legislature vests highly concentrated power and authority of lawmaking in intramural standing committees as opposed to the plenary session, thereby potentially subjecting the national legislative process to challenges of lack of deliberation under the ideal of representative democracy and criticisms of actively lobbying interest groups. This in turn demands even more urgently in South Korea a healthy partnership between governmental sector and civil sector in policymaking and lawmaking. A balance between institutionalization of such participation for the sake of stability and its spontaneity and voluntariness for the sake of further sustainability of democracy is the remaining challenge.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