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WTO/FTA 통신분쟁해결조항의 기원, 발전 및 새로운 변화 = WTO/FTA Telecommunications Dispute Resolution Provisions: Origins, Evolution, and New Changes
저자
박영덕 (숙명여자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51-97(47쪽)
제공처
외국계 기업이 현지 기업 또는 그 밖의 외국계 기업과 통신서비스 관련 분쟁이 발생하면 우선 현지국의 법률과 행정・사법 체계에 따라 만족스러운 분쟁해결을 모색할 것이다. 그런데 WTO 출범 당시에는 통신서비스 분쟁에 특화된 ‘전반적인’ 통신분쟁해결조항이 마련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GATS 국내규제조항에서 보장된 국제 최소기준이 국제통상법 차원에서 적용될 수 있을 뿐이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WTO 통신참조문서는 상호접속 구제신청조항을 WTO 차원에서 최초로 도입하였고, 이후 미국은 1934년 방송통신법의 관련 규정을 바탕으로 미국식 FTA 통신분쟁해결조항을 모델화하였으며, EU 역시 EU 기본 입법지침과 유럽전자커뮤니케이션법(EECC) 입법지침에 맞추어 EU식 FTA 통신분쟁해결조항을 발전시켜 왔다.
WTO/FTA 통신분쟁해결조항은 (1) 구제신청조항(상호접속 구제신청조항과 특정 사안 구제신청조항)과 (2) 통신규제기관의 판정・결정에 대한 행정심사 또는 사법심사에 관한 불복조항으로 구성되는데, 이 논문은 FTA 통신서비스 규범을 8가지로 유형화하고 40여 개 FTA를 대상으로 통신분쟁해결조항의 유무와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우선 상호접속 구제신청조항과 특정 사안 구제신청조항을 비교・해설한 후, 미국식 FTA와 EU식 FTA의 특정 사안 구제신청조항의 특징을 고찰하고, FTA 특정 사안 구제신청조항에 대한 여러 해석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WTO/FTA 통신 규범의 행정・사법적 불복조항과 관련하여, 불복심사 청구인적격에 관한 요건을 FTA 유형별로 분석하고, 법률상 이익 개념이 청구인적격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며, 불복 청구가 집행에 미치는 효력에 관한 FTA 규정을 유형별로 고찰하였다. 더 나아가, 통신분쟁해결조항의 새로운 변화와 관련하여, 최근 WTO 전자상거래협정(안)에 포함된 통신서비스 관련 신규 조항과 EU가 최근에 체결한 FTA의 통신분쟁해결 관련 신규 조항을 소개하고, EU EECC 입법지침이 이들 신규 조항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았다.
끝으로 이 논문은 FTA 특정 사안 구제신청조항에 대한 합리적인 해석을 제언하고, 1934년 방송통신법에 바탕을 두는 재고 조항과 EU EECC 입법지침에 토대를 두는 WTO/FTA 신규 조항이 국내법 불합치성 문제를 야기하는 경우에 관한 대응 방안을 모색하였다.
Since the domestic regulation provisions of the GATS are not sufficient to satisfactorily resolve domestic telecommunications disputes, the WTO Reference Paper on Basic Telecommunications Services introduced the interconnection recourse clause for the first time at the WTO level, and subsequently, the US and the EU in particular have included ‘general’ telecommunications dispute resolution provisions specialized for domestic telecommunications disputes into their FTA telecommunications chapters or sections. In other words, the US modeled US-style FTA telecommunications dispute resolution clauses based on the relevant provisions of the Communications Act of 1934, and the EU has also developed its EU-style FTA telecommunications sections consistently with the EU Framework Directive and the EECC Directive.
The WTO/FTA telecommunications dispute resolution clauses consist of (1) recourse clauses comprised of an interconnection recourse clause and a matter-specific recourse clause and (2) appeal clauses relating to administrative and/or judicial review of a decision of a telecommunications regulatory body. This paper categorizes FTA telecommunications chapters or sections into eight types and examines the presence and characteristics of telecommunications dispute resolution clauses in more than 40 FTAs.
Specifically, this paper elucidates the differences between interconnection recourse clauses and matter-specific recourse clauses, explores the features of the matter-specific recourse clauses of US-style FTAs and EU-style FTAs, and reviews some approaches to the interpretation of FTA matter-specific recourse clauses. With regard to the appeal clauses of the WTO/FTA telecommunications chapters or sections, it analyzes the standing or locus standi requirements by FTA type, examines the influence of the legal interest factor on the standing to sue question, and surveys the provisions about non-suspensive effect of appeals by FTA type. Then, with respect to the new changes in the telecommunications dispute resolution provisions, it introduces the new provisions related to telecommunications services included in the recent draft text of the WTO E-commerce Agreement and in the FTAs recently concluded by the EU, and considers the impact of the EECC Directive on these new provisions.
Finally, this paper suggests a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matter-specific recourse clauses and puts forward some ideas to solve the issues of inconsistency with domestic laws or regulations which might be raised by the reconsideration clauses based on the Communications Act of 1934 or the new WTO/FTA provisions based on the EECC Directive.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