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한국 전략물자 무역패턴 결정요인 분석: 비 시장 조절변수 효과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Determinants of Trade Patterns of Strategic Items in Korea: Focus on Moderating Effect of Non-Market Factor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43-155(13쪽)
제공처
This study analyzed the determinants of Korea's strategic items trade pattern based on gravity theory from 2001 when the government's interest began to rise to 2020 when defense exports achieved tangible outcomes as a new growth engine that will drive Korea's economic growth in the future. Based on this, it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reflecting economic and political relations with trading partners on the trade size between the two countries, especially the moderating variable effects of non-market factors such as alliances, agreements, and democratic indic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economic size (GDP) of each countr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trade of strategic items, and geographical distance had a negative effect. In other words, from an economic point of view, as the supply capacity for products and services increases and the transaction cost decreases, the scale of trade between countries gradually increases.
Second, the economic size of the two countries and the interaction effect of defense industry and military cooperation have been shown to have a negative (-) effect on strategic items trade, showing that the defense export market is diversifying from the United States, Europe to South America and east Europe. Third, it was found that the economic size and democratic ideology of the two countries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trade of strategic items. Compared to undemocratic countries pursuing arbitrary trade policies, the existing theory that trade expands within the control of institutional devices such as international law also applies to Korea's strategic material trade.
As such,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non-market factors is particularly significant because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strategic item's trade include major issues such as international politics and diplomacy as well as the economy.
Until now, discussions on trade between countries have been conducted mainly from an economic point of view, but the reality is that empirical studies, including non-market factors, have been insufficient due to difficulties in securing reliable data.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sufficient verification efforts for these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surrounding the trade of strategic items will promote our national interests and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international status and credibility at the same time.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경제성장을 견인할 신성장 동력으로서, 정부의 관심이 고조되기 시작한 2001년부터 방산수출이 가시적인 성과를 달성한 2020년까지 한국의 전략물자 교역패턴의 결정요인을 중력이론을 바탕으로 분석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교역대상국과의 경제적, 정치적 관계를 반영하는 변수들이 두 나라의 교역규모에 미치는 관계, 그중에서도 특히 동맹, 협정, 민주주의 지수와 같은 비 시장 요인의 조절변수 효과를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다.
분석결과 첫째 각국의 경제 규모는 전략물자의 무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지리적 거리는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경제성 관점에서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공급능력이 커지고, 거래비용이 작아질수록 국가간 교역량이 늘어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양국의 경제규모와 방위산업 및 군수 협력의 상호작용 효과는 전략물자 무역에 부(-) 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것은 최근 정부의 적극적인 수출주도 정책으로 인해 과거 전통적인 우방국인 미국, 유럽으로부터 동유럽 및 남미지역으로 방산수출 시장이 다변화 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셋째, 양국의 경제규모와 민주주의 정치 이념은 전략물자 무역 간에 정(+)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독단적인 무역정책을 추구하는 비민주적인 국가들에 비해 국제법과 같은 제도적 장치의 통제 안에서 무역이 확대된다는 기존이론이 우리나라의 전략물자 교역의 경우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비시장 요인에 대한 효과 분석이 갖는 특별한 의의는 전략물자 교역의 본질적인 특성이 경제뿐만 아니라 국제정치, 외교라는 주요한 이슈를 내포하고 있기 때문인데 특히, 최근 러시아 우크라이나 간 전쟁의 장기화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전략물자의 수요가 급증하였고 이에 발맞추어 한국의 방산수출액이 역대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는 시점에 이러한 분석은 매우 시의 적절해 보인다.
그 동안 주로 경제학적인 관점에서 국가 간 무역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져 왔으나, 신뢰성 있는 자료 확보의 어려움으로 인해 비 시장 요인을 포함한 실증 연구가 부족했던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전략물자의 교역을 둘러싸고 있는 이러한 외부 환경요인에 대한 충분한 검증 노력들이 우리의 국가이익을 도모하고 동시에 국제적 위상과 신인도의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