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현대사회의 폭력성에 대한 마르쿠제의 문화인간학적 해명 = Marcuse's Cultural Anthropological Explanation of the Violent Characteristics of Modern Societ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51-274(24쪽)
제공처
마르쿠제는 현대사회를 첨단 기술과 자본의 논리로 무장한 전체주의로 규정한다. 기술과 자본은 제도적 틀을 갖추면서 개인의 욕구와 의식을 통제, 억압한다. 쾌락의원리는 현실원칙에 질식돼 버리며 사랑과 생명의 힘은 실종된다. 복지사회를 표방하는 선진사회를 지탱하는 힘은 전쟁과 파괴를 지원하는 무기산업의 번성에 있다. 인공지능은 정보의 편중현상을 극단화시키며, 이로 인한 기술 권력화가 우려된다.
반생명적이고 권력화된 일상을 회복시킬 수 있는 방법은 연대성이다. 우선 ①폭력적 현실을 이해하고 뜻을 공유한 이들의 자유로운 “연대”, ②자본과 권력에 의해 배제된 “소수자들과의 연대”, ③ 민주주의와 가치를 실현하기 위한 “공동체 살리기 연대”의 중요성이다. 비폭력의 가치는 삶의 생명성에 있다. 개인의 존재가치 역시 생명체로서의 활력에 있다. 사회는 다양한 생명의 연합으로서 그 자체가 거대한 생명체이다. 그런 의미에서 사회의 모든 구성원들이 평화롭게 공존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는 일이 자유롭고 이상적인 사회의 핵심요소이다.
Marcuse defines modern society as totalitarianism armed with advanced technology and the logic of capital. Technology and capital establish an institutional framework to control and suppress individual desires and consciousness. The pleasure principle is suffocated by the reality principle, and the power of love and life disappears. The power that supports an advanced society which advocates a welfare society lies in the prosperity of the weapons industry that supports war and destruction. Artificial intelligence is accelerating the phenomenon of information concentration, which raises concerns about technological power.
The way to restore anti-life and empowered daily life is solidarity. First of all, the importance of ① free "solidarity" between those who understand the violent reality and share the same ideas, ② "solidarity with minorities" excluded by capital and power, and ③ "solidarity to save the community" to realize democracy and values.
The value of nonviolence lies in the vitality of life. The value of an individual's existence also lies in his or her vitality as a living organism. Society is a union of various life forms and is itself a gigantic living organism. In that sense, building an environment where all members of society can coexist peacefully is a key element of a free and ideal society.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