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러시아어 삽입문 연구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7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99-123(25쪽)
KCI 피인용횟수
2
제공처
삽입문은 문장의 앞, 뒤, 중간에 삽입되는 “주어+ 술어” 혹은 “접속사+주어+술어” 형태 의 짧은 문장으로, 발화, 지각, 생각의 주체를 밝히거나, 주어의 내적 상태를 첨언하기 위해 사용된다.
삽입 구문은 “주어+술어”라는 형태적인 유사성으로 인하여 주절의 변형으로 간주되거나, 의미와 어순의 유사성으로 인하여 문장부사 혹은 양상어의 동의적 표현으로 간주된다.
삽입문은 주절과 여러 가지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우선 주절은 위치가 고정된 데에 비해, 삽입문은 위치가 자유롭다. 문장 강세에 있어서도 주절은 술어에 따라 문장 강세를 받을 수도, 받지 않을 수도 있는데 반해, 삽입문은 어떠한 경우에도 문장 강세를 받지 않는다. 또한 주절이 부정되는데 어떠한 제약도 받지 않는데 반하여 삽입문은 부정문의 제약을 받아서, 명제의 내용을 부정할 수 없다. 또한 주절이 술어의 인칭과 시제에 따라 의미적 뉘앙스만 달라지는 것과 달리, 삽입문에서는 그 형성에 있어서 술어의 인칭과 시제의 제약을 받는다. 마지막으로 화자는 что절의 내용이 사실이라고 생각하지 않을 때에도, что절을 지배하는 주절을 사용할 수 있지만, 삽입문과 결합하는 명제의 내용이 사실이라고 생각하지 않을 때 삽입문을 사용하여 표현할 수 없다.
한편 비슷한 기능을 가진 문장 부사와 비교해 보았을 때, 삽입문은 많은 공통점을 드러낸다. 우선 문장 내의 위치가 자유롭고, 문장의 레마보다는 테마가 된다는 점에서 삽입문과 문장 부사는 비슷하다. 또한 문장 부사는 삽입문처럼 주어진 명제 자체를 부정하는 형태로 사용될 수 없다는 점에서 삽입문과 의미적으로 유사하다.
즉 러시아어 삽입문은 형태적 측면에서는 접속사 что 지배 주절과 비슷하고, 통사적, 의미적인 측면에서 문장 부사와 유사하다. 하지만 '화자는 주어의 의견이 거짓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라는 화용론적인 함축을 보유하고 있어 주절이나 문장 부사와 구별되는 자신만의 독특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The aim of the paper is to introduce the concept of Russian parentheticals and compare them with the other analogous linguistic units, such as the main clauses with subordinate conjunction chto or the sentential adverbials.
The parentheticals are similar to the main clauses in that they consist of a subject and a finite form of the inner states verbs (ex. ona, ja dumaju, rasserditsja). Therefore it has been considered that the main clauses (ex. ja dumaju, chto ona rasserditsja) transformed into the parentheticals, losing the conjunction chto and obtaining free word order.
The parenthticals, however, are different from the main clauses in many ways.
First of all, parentheticals can be inserted in any positions in the sentence and they do not have the phrasal stress. Secondly, the parentheticals are not permitted to have negative constructions (ex. *ona, ja ne dumaju, rasserditsja). Thirdly, their use is restricted in some person-tense structures like third-person, present-tense structure of the perceptive verbs (ex. *U sosedej, Ivan vidit, gorit svet) or first-person, present-tense structure of the epistemic parentheticals with conjunction kak (ex.*Deti, kak ja bojus', ne spjat). Fourthly, parentheticals have their own implicature that 'the speaker does not believe that the given sentence is false', and the speaker can not deny the given sentence with the parentheticals (ex.*Eti igry, kak utverzhdaet avtor, detjam vredny; ja dumaju, chto eto ne tak).
On the other hand the parentheticals have in common with the sentential adverbials in the lack of phrasal stress and free word order. Sentential adverbials, just like the parentheticals, can not be negative, because the negative sentential adverbials deny the truth of the given sentence (ex.*Falsely I can't tell you the answer) and the speaker commits the illocutionary suicide with them.
However parentheticals, unlike sentential adverbials, consist of a subject and a finite verb and have restriction in the particular person-tense structures. Besides parentheticals reflect speaker's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content of the main sentence, which supposedly lacks in the sentential adverbials.
Thus the Russian parentheticals are analogous with main clauses or the sentential adverbials in their syntactic and semantic features, and on the other hand they are different in pragmatic function and the speaker's implicature. The speaker's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sentenc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s in the Russian sentences containing parentheticals.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16 | 0.16 | 0.1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 | 0.19 | 0.374 | 0.09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