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SCIE
SCOPUS
제 2 형 당뇨병 실험쥐 모델에서 PPAR-γ Agonist의심근 섬유화 억제 효과 = PPAR-γ Agonist Attenuates Myocardial Fibrosis in a Type 2 Diabetic Rat Model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5
작성언어
-등재정보
KCI등재,SCIE,SCOPUS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883-890(8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소장기관
Background and Objectives:Receptor for advanced glycosylation end product (RAGE) plays an importantrole in the development of myocardial fibrosis in diabetics. Activation of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receptor (PPAR)-γ agonist, rosiglitazone, reduces the RAGE expression. We investigated whether rosiglitazonecould prevent left ventricle (LV) diastolic dysfunction and attenuate the myocardial fibrosis in a type 2 diabeticrat model. Materials and Methods:Otsuka Long-Evans Tokushima Fatty (OLETF) rats were treated with rosiglitazone(20 mg/kg/d) for 20 weeks. At the age of 20 and 40 weeks, all rats underwent intraperitoneal glucosetolerance tests, hemodynamic studies and Doppler echocardiography. At the age of 40 weeks, the hearts wereexamined by performing histopathological and immunohistochemical analyses. Results:At the age of 40 weeks,rosiglitazone significant improved the parameters of the LV diastolic function such as the E/A ratio (treated vs.untreated: 1.7±0.1 vs. 1.5±0.1, p<0.05), the deceleration time and the isovolumic relaxation time in the OLETFrats, and this was correlated histologically to the reduced LV collagen volume fraction in the rosiglitazonetreatedOLETF rats (3.2±1.3% vs. 5.7±2.0%, respectively, p<0.001). Rosiglitazone also significantly reducedthe percentage of staining of the LV CTGF (7.4±2.5% vs. 15.4±4.7%, respectively, p<0.001) and RAGE (1.1±0.4% vs. 2.0±0.8%, respectively, p<0.001), as compared with the untreated OLETF rats. Conclusion:Theseresults suggest that rosiglitazone could prevent LV diastolic dysfunction and attenuate myocardial fibrosis in type2 diabetic rats by its inhibition of the RAGE and CTGF expression. PPAR-γ agonist may provide a potentialtherapeutic approach for diabetic heart disease.
더보기배경 및 목적 :Receptor for advanced glycosylation end products(RAGE)는 당뇨병에서 최종 당화 산물인 advanced glycosylation end products(AGEs)를 활성화 시켜 심근 섬유화를 유발한다.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PPAR)- γ agonist인 rosiglitazone은 인슐린 저항성의 개선 제이면서 항염증 작용이 있으며 혈관 내피세포에서 RAGE 발현을 억제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rosiglitazone이 제 2 형 당뇨병 실험쥐 모델에서 좌심실 이완기능의 개선과 심근 섬유화의 억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주령된 제 2 형 당뇨병 모델인 Otsuka Long-Evans Tokushima Fatty(OLETF)쥐 20마리를 rosiglitazone(20mg/kg/d) 치료군 10마리와 비치료군 10마리로 나누고, 비당뇨병 대조군인 Long-Evans Tokushima Otsuka(LETO) 쥐 10마리를 실험대상으로 하여 20주 동안 치료하였다. 모든 실험쥐에서 실험시작 시점인 20주령과 종료시점인 40주령에 복강내(intraperitoneal) 당부하검사와 혈압 및 맥박 측정 그리고 심초음파 검사를 하였다. 40주령 때 모든 실험쥐의 심장을 적출하여 콜라겐 특이적인 picrosirius red 염색을 하였고 connective tissue growth factor(CTGF)와 RAGE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시행한 뒤 발현의 정도를 분석하였다.
결 과:
40주령의 당뇨병 쥐에서 시행한 심초음파에서 rosiglitazone 치료군은 비치료군에 비하여 좌심실 이완기 지표 중E/A비는 증가하였고(치료군 vs. 비치료군: 1.7±0.1 vs. 1.5±0.1, p<0.05), 감속시간(DT)과 좌심실 등용적 이완기 시간(IVRT)은 유의하게 짧아지므로 좌심실 이완기 개선효과가 있었다(치료군 vs. 비치료군; DT: 50±3 vs. 59±9 msec,p<0.05; IVRT: 29±3 vs. 35±3 msec, p<0.05). 그러나 좌심실의 수축기능을 나타내는 지표는 치료 전·후로 세 군(당뇨병 치료군, 비치료군, 비당뇨병군)간에 차이는 없었다.심근에서 시행한 picrosirius red 염색 결과 당뇨병 쥐에서 rosiglitazone 치료군은 비치료군에 비하여 콜라겐 용적 분획률(Collagen Volume Fraction, CVF)은 현저히 감소하여 LETO군과 거의 비슷하였다(치료군 vs. 비치료군: 3.2±1.3 vs. 5.7±2.0%, p<0.001). 또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 검사상 당뇨병쥐에서 rosiglitazone 치료군이 비치료군에 비하여 CTGF와 RAGE 모두 현저히 감소하였다(치료군 vs. 비치료군; CTGF: 7.4±2.5 vs. 15.4±4.7%, p<0.001; RAGE:1.1±0.4 vs. 2.0±0.8%, p<0.001).
결 론:
제 2 형 당뇨병 실험쥐 모델에서 rosiglitazone은 RAGE 와 CTGF 발현을 억제하여 좌심실 이완기능의 개선과 함께심근 섬유화를 억제하였다. 그러므로 PPAR-γ agonist는 당뇨병 환자에서 심근 섬유화를 억제하여 당뇨병성 심근증의 예방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5-15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대한순환기학회 -> 대한심장학회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irculation -> The Korean Society of Cardiology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8-02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Korean Circulation Journal외국어명 : Korean Circulation Journal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3 | 0.34 | 0.7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5 | 0.36 | 0.52 | 0.12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