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자본주의 신체미학과 자아정체성: “미적 실존”에서 “감성적 실존”으로 = Capitalist Body-Aesthetics and Self-Identit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8
작성언어
-주제어
KDC
105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71-303(33쪽)
KCI 피인용횟수
14
제공처
소장기관
소비자본주의 시대에 영상매체의 발달과 정보의 편재화는 ‘미’의 획일화를 촉진하는 기제가 된다. 개성이 상실되고 균질적인 미감이 지배하는 소비자본주의 시대의 신체미학과 관련하여 필자가 제기하고자 하는 문제는 “자본주의의 물신성에서 벗어난 신체미학은 어떻게 가능한가?” 그리고 “매체가 산포하는 획일성에서 벗어난 미적 자율성은 가능한가?” 등의 물음이다. 인간은 ‘창없는 모나드’가 아니라 끊임없이 타자와 소통을 하며 인정을 추구하고, 타자와 자기의식 간의 작용/반작용에 의하여 자기 상(Bild)을 구성한다. ‘정체성’은 뫼비우스의 띠처럼 내면과 외면이 꼬이면서 타자의 시선과 자기의식이 맞닿는 지점에서 발생하는 긴장관계에서 형성된다. 타자의 시선이 피할 수 없는 실존의 명령이라면, 타자의 시선에 수반된 억압적 성격에서 벗어나기 위해서 “시선 앞에 나를 어떻게 드러낼 것인가?”하는 물음도 하나의 전략이 되겠지만, “시선은 어떻게 도야(Bildung)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물음도 하나의 대안으로 고려해볼만 하다. 종래의 ‘미학’을 ‘감성학’으로 확장하는 일은 이런 전략을 위한 이론적 토대가 될 수 있다. 주체가 지닌 미적 지각의 능력을 대상의 감정과 느낌까지도 감지할 수 있는 감성적 능력으로 고양시킴으로써, 사물같은 것(das Dinghafte)으로서의 신체는 온전한 몸(Leib)으로 복권될 수 있으며, ‘몸’의 복권을 통하여 동일성의 시선에서 배제되어온 ‘차이’와 ‘개별성’은 그 고유한 지위와 가치를 인정받게 될 것이다.
더보기In the era of consumer capitalism, proliferation of mass media accompanied by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causes the homogenization of esthetic sense and standardization of beauty. Being placed in the post-capitalist society where individuality crisis is apparent, I would like to draw questions such as "Can there be a body-aesthetics which is free from the influence of capitalist fetishism?" and "How is the aesthetic autonomy possible under such stream of homogenization and standardization of aesthetic sense?" Human beings construct their own images(Bild) through continuous interaction with others. Self identity is not something given from the Heaven, but is something achieved through ceaseless inter-subjective communication with others in the pursuit of mutual recognition (Anerkennung). Self identity is born in the very twisted spot of Mobius` Strip where others` regard and self-consciousness happen to meet. As far as individuals are doomed to be exposed to others` regard, recognition may be achieved by self-modification to meet the demand of others. However, this kind of recognition often results the loss of self-respect in service of others. We need another way of recognition without losing the sense of self-respect. In this vein, I propose an Aesthetic-Ethics which is a combination of aesthetic sensitivity with ethical receptivity. Equiped with aesthetic-ethical sensibility, genuine human abilities such as compassion and affection can be cultivated to the utmost. In this way, mutual recognition can be achieved without losing one`s own self-identity and aesthetic autonomy.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4-01-27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Philosophical Studies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5 | 0.55 | 0.4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3 | 0.61 | 1.234 | 0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