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영화 <가을의 독일>의 정치적 미학 - 자크 랑시에르의 불화와 콜라주 개념을 중심으로 = Der Film Deutschland im Herbst und seine politische Ästhetik - In Anlehnung an Jacques Rancières Dissens und die Collage
저자
발행기관
한국독일어문학회(Koreanische Gesellschaft fur Deutsche Sprache und Literatur)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13-140(28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Diese Arbeit untersucht, basierend auf Jacques Rancières Theorie zum Verhältnis von Politik und Kunst, insbesondere den zentralen Begriffen des Dissens und der ästhetischen Funktion der Collage, wie der 1977 von elf deutschen Filmemachern gemeinschaftlich produzierte Omnibusfilm Deutschland im Herbst die durch die terroristischen Aktionen der RAF ausgelösten politischen Spannungen und sozialen Unruhen im zeitgenössischen Deutschland in ästhetischer Form und Inhalt reflektiert.
Der Film verwendet eine dialektische Collagetechnik, um die politischen Spannungen, die Polarisierung der Gesellschaft, die Grausamkeit der Gewalt und die dadurch verursachten Wunden auf vielschichtige Weise zu offenbaren, und beleuchtet dabei aus verschiedenen Perspektiven die gesellschaftliche Absurdität. Die Kombination diverser Musikstücke und Bildsequenzen verstärkt die emotionale Verbindung zwischen den 14 Episoden und vermittelt die melancholische Atmosphäre der Gesellschaft sowie die kritischen Botschaften durch eine audiovisuelle Synthese.
Die filmischen Räume verteilen die Stimmen gesellschaftlicher Konflikte und Diskussionen gleichmäßig auf verschiedene soziale Schichten und thematisieren den zeitgenössischen sozialen Unfrieden, ohne dabei die Diskrepanz zwischen autoritären öffentlichen Bildern und den alltäglichen persönlichen Bildern zu ignorieren.
Der Film geht über die bloße Darstellung von Ereignissen und narrativen Rekonstruktionen hinaus und demonstriert durch diese ästhetischen Wechselwirkungen die Ausdruckskraft des Films, die vorherrschende Machtstrukturen herausfordert. Vor allem ist dieser Film in dem Sinne politisch, dass er verschiedene Perspektiven bietet, die eine Veränderung im Bewusstsein der Zuschauer bewirken sollen, und ihnen Raum gibt, sich aus eigener Sicht in den Film einzubringen.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