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헌법상 가족의 개념 = The Concept of Famil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6-24(19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1 Art.36 of the Constitution guarantees the protection of “family life”. The concept of “family” needs to be clarified to fully appreciate the normative meaning of the provision.
The concept should be interpreted in such a way that embraces the various forms of family life that goes beyond the typical family model that consists of married couple and their children. On the other hand, excessive broadness of the concept should be avoided less it encroach on legal stability.
Personal choices concerning familial relations should be respected, and social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family life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hus the constitutional term of “family” should be defined as: ‘living community of care, built upon a marriage(equivalent union included) or blood tie’.
A notion of family without a child, although deemed as a significant factor of the family, should be acknowledged. Between siblings, between grandparents and grandchildren, between an uncle(aunt) and a nephew(niece) can a family relation be established. Non-marriage couple can build a family between themselves or with their children.
Degrees of constitutional protection can be varied corresponding to the various forms of family life.
Statutory protection might be provided to non-familial living communities that lie outside the concept of family.
헌법 제36조 제1항은 가족 보호를 헌법적 가치로 천명하고, 가족 관련 기본권을 개인에게 보장하고 있다. 이 조항의 규범적 의미를 이해하고, 여러 생활영역에 걸쳐 있는 가족 관련 법적 규율에 헌법적 규준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먼저 “가족”이라는 헌법 개념에 대한 규명이 이루어져야 한다.
헌법상 가족 개념을 해석함에 있어서는, 혼인부부와 자녀로 구성되는 전형적인 형태를 넘어 현재와 미래의 보다 다원적인 가족형태를 포용할 수 있으면서도 법적 안정성을 잃을 정도로 그 범위를 지나치게 넓히지는 않아야 한다. 가족관계의 형성에 관한 개인의 선택과 자율을 우선적으로 존중하며, 가족의 사회현실과 그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직시하고 그에 응답하여야 한다.
헌법상 가족 개념은 가족 구성의 인자(因子), 그리고 생활실체라는 두 핵심 지표를 중심으로 파악해 볼 수 있다. 가족 구성의 인자는 혼인(그에 준하는 결합관계 포함)과 혈연이고, 이로 인해 결합된 구성원들 사이에 부양, 양(교)육, 보호의 생활공동체가 형성될 때 가족 개념이 충족된다. 따라서 헌법상 “가족”이란 ‘혼인(그에 준하는 결합관계 포함) 또는 혈연으로 맺어진 부양, 양(교)육, 보호의 생활공동체’를 말한다.
자녀는 가족 개념의 핵심요소의 하나이지만, 그것 없이는 가족의 성립을 배제시키는, 가족 개념의 절대적 요소라고 할 수는 없다. 혼인부부가 아닌 사실혼, 비혼(非婚)동거, 동성 결합의 당사자 사이, 그리고 이들과 그 자녀 사이에도 가족관계가 성립한다. 가족을 구성하는 혈연관계에는 형제자매, 조손(祖孫), 숙질(叔姪) 등도 포함된다.
헌법상 가족 개념에는 다양한 가족생활의 모델(형태)이 포함될 수 있고, 가족생활, 가족모델의 다양성에 상응하여 헌법적 보호의 정도는 달라질 수 있다.
위 인자(因子) 없이도 다양한 계기, 형태로 친밀한 생활공동체가 형성될 수 있겠지만, 법적 명확성과 안정성의 측면에서 이들을 가족 개념에 포함시키기는 어렵다. 헌법상 가족 개념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서로 돌보고 보호하는 (가족 외적) 친밀공동체에 대하여는 법률적 차원의 보호가 가능하다.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