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근대시기 전통음악 장르용어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Terminologies of Traditional Music Genres in Modern Period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한국음악사학보(Journal of the Society for Korean Historico-Musicology)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2
작성언어
-주제어
KDC
60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69-106(38쪽)
제공처
This paper studies some of the terminologies of traditional musical genres during and after the Japanses colonial period. Especially the paper traces the meaning of those terms based on newspaper and magazine articles of the time. The main body of this study could be divided into two: First, I looked at modem times the traditional genres of music with the occurrence of the change in terminology. Saw it again divided into two pans, one aspect according to the historical flow of the term genre and one saw a collective term for traditional music itself, chosonak 朝鮮樂, koak 古樂 or kuak舊樂 and kugak 國樂 of the deployment aspects. Second, the modem period examined individual aspects of the traditional music genre term Aak 雅樂, chongak and minsogak 民俗樂, etc. Here again it divided into two pans, in a broad sense as a genre term in a narrow sense as a ballad, song, kaguk歌劇 or changguk 唱劇, pansori 판소리, a genre term was investigated. As considering the traditional genres of music in modern times, despite 50 years,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too many terms were generated and changed. Moreover, it was also found in modern times, the meaning of existed terms was changed into other meaning, new terms were made, and the using of some terms was ceased. Various terms were used, and the term was used across multiple genres. Settlers strongly going to Western music because it was confusing and the main instruments of more foreign music as Western music and to distinguish themselves in order to be referred to the necessity that reason is because it was born. Also be attributed to modern music space, the type of performance, subjects of modem music education courses and the environment of music culture had been changed largely. Seen until now in modern times the term, however, there seems not to lock trend. In other words, the living creatures can be said to be the term In addition, at least in the term ideology castle did not. So the term could point aak and sogak 俗樂 to distinguish the Choson Dynasty, but today like chongak 正樂 and minsogak 民俗樂 divided the modern period of the term genre can be characterized.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