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KCI등재

    동양 법사고의 특성과 한계: 비교문화유형론적 고찰 -지속가능한 민주주의를 위하여- = Characteristic Features and Limits of Eastern Legal Thinking: A Cultural-Morphological Study -For the Sake of Sustainable Democracy in Korea-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이 글은 오늘날 우리나라 사람들의 사회적 행태를 보고 느끼면서 생각하게 된 의문을 법의 영역, 특히 민주주의의 맥락에서 고찰해 보려는 것이다. 필자가 당도한 결론은 우리나라의 문화 풍토가 사람들로 하여금 매우 관념적으로, 특히 목적론적으로 생각하도록 만들고, 경험적-실용적 성향이 약하고, 자아정체성의 면에서 집단주의적 경향에서 자유롭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화적 성향은 물론 지리물리적-지정학적 환경과 역사와 언어의 복합적인 상호작용 끝에 발전한 것이다. 본고에서는 필자가 중요하다고 보는 일정한 기본 요소를 추출해 내고, 그것이 동양과 서양에서 달리 나타난 모습을 이념형적으로 정리한 다음, 특히 법문화와 관련지어서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양의 법문화에서 나타나는 특성을 설명해 보고자 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민주주의라는 현대사회와 국가의 가장 중요한 제도적 기틀의 지속가능한 운영을 위해서 대한민국의 국민에게 요구되는 사고 및 행동방식이 무엇일까를 모색해 보았다. 필자가 도달한 결론은, 우리에게는 서양인들과 달리 과정적-절차적사고가 취약하다는 사실의 확인이고, 민주주의는 가장 대표적이고 전형적인 과정이고 절차이므로 우리에게 부족한 절차적 사고방식을 의식적으로라도 함양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고찰의 전제로 채택한 사고방식의 이념형적 유형은 時流的-경험론적 사고 (Zeitfluß-Perspektive; Flowing-time perspective)와 時點的-관념론적 사고(Zeitpunkt-Perspektive; Zeitmoment-Perspektive; Snapshot perspective)이다. 전자는 모든 사태를 시간 속의 흐름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후자는 변화하는 사태를 일정한 시점에 고정시킴으로써 포착하고자 하는 현상, 즉 어떤 경과의 현시점에서의 결론, 즉 결과에 주목한다. 연속된 시간 속에서 인간 주체가 보고 싶은 순간의 상황 인식으로, 마치그 순간만의 스냅사진처럼, 초점이 모이는 것이다. 전자는 기본적으로 動的이고, 流動的, 力動的이다. 후자는 靜(態)的이고, 공간적 특성에 근접하여 構造的시각을 취한다. 특히 이들이 법문화와 관련되는 경우에는 절차적-과정적 사고와 목적론적-실체적 사고로 나타난다. 제2부에서는 이것이 민주주의를 이해하는 데에 어떤 식으로 반영되어 나타나는지, 우리가 민주주의를 지속가능한 제도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이둘 중에서 어느 쪽 사고를 함양하여 접근해야 하는지를 다루었다. 민주주의의 이해에 있어서는 기본적으로 정치적 민주주의를 굴렁쇠 놀이에 비유하여 고찰하였다. 굴렁쇠를 굴리는 놀이(민주주의)의 주체(국민)는 자유로운 상태에서 (자유민주주의) 직선 코스(평등)를 유지하고자 하지만 늘 좌우로 진동하면서 전진한다. 어느 한 방향으로만 기울면 전진하지 못하고 맴돌다가 종국에는 쓰러진다. 굴렁쇠놀이의 경기규칙은 가장 기본적인 절차적 전제이다. 이를 어기는 것은 놀이 자체를 부인하는 처사이다. 항상 굴리고 있지 않으면 곧 쓰러지는 굴렁쇠 놀이의 본질은 어떤실체가 아니라 이 규칙에 따른 과정이다.

    더보기

    I. The article consists of two parts. The first part tries to elucidate the different modes of thought which affect people`s thinking. The main question is: How can we explain different attitudes and actions and reactions of citizens of different countries to law? It is supposed that people think according to their habits of thinking which are rooted in their proper modes of thought. Here, I propose a set of ideal types of viewing things and affairs as a test in relation to viewing time. (1) One is the flowing-time perspective. This means a mode of thought according to which man perceives the time is a constant and ever existing inherent aspect of things. Those with this orientation see everything be changing in the flow of time, and consider the input side of an event at least as important as the output side. Their way of thinking is not so much teleological as procedural, not so much idealistic as realistic. (2) The other is the snapshot perspective which concentrates itself upon an envisaged or desired outcome of an event. It focuses, thus, on a certain point of time at which this outcome is ascertained. Those with the flowing-time perspective deem the event itself as a process fluctuating according to the activities of the participants of that process, being able to lead to an open end for the future. Those with the snapshot perspective, however, tend to evaluate only or excessively the output side of the things at a given moment, often neglecting the input side. They are inclined to idealism, with which they measure and become very critical on the reality which shows inevitably deficiencies. But the realists, armed with an rational empirical sense, do have an insight into the procedural character of life and try to bridge the gap between the ideal and the real. They are not shrinking from this difficult task of reconciliation. This difference between both types of thinking apparently goes back to the environmental influences upon the human beings and their culture. This refers to the fact that sea-faring people such as English can think dynamically, otherwise than people of agriculture. The former tend to a flowing-time perspective, the latter to a snapshot perspective, which is in itself static. To prove the plausibility and availability of the dichotomy of flowing-time and snapshot perspectives, I survey some basic legal concepts such as ``government``, ``state``, ``rule of law``, ``due process of law``, ``judicial and legislaive processes``, and a few of other basic words and phrases such as ``happy``, ``law/right``, ``equal``, ``rule``, ``in dubio pro reo``, and ``vox populi.`` The differences in nuance and connotation which every language offers correspond, in principle, to the basic differences of the modes of thought I describe. II. The second part of the article is dedicated to democracy, for democracy as a fundamental legal institute seems today not to be supported by an optimal civic attitude of citizens toward it. It is, therefore, stressed that democracy is but a process, chaneling people by a pre-programed rule to a common political goal. It is, as is often mistakenly accepted, not a substance or state, solid and stable. The empirical process character of democracy must be accentuated in order that it may not be overburdened with too idealistic visions which may hinder the functioning of democracy. This point may be explained in a metaphorical way: Democracy is like a wheel-rolling game which presupposes free people, a pre-fixed rule system, especially that of procedure, and a representation for which a controlling hand stands. It proceeds, furthermore, with inevitable oscillations between right and left, albeit with a midway (equality) always in mind.

    더보기
    • 1 森 三樹三郞(모리 미키사부로), "「名」と「恥」の文化 [講談社學術文庫 1740]" 東京 2005
    • 2 車柱環, "論語 [乙酉文庫 22]" 乙酉文化社 1969
    • 3 문재완, "허위사실의 표현과 표현의 자유 ― 한국과 미국의 판례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공법학회 39 (39): 113-142, 2011
    • 4 이전, "한민족의 기원과 형성 과정 [제2장],In 한국역사지리" 푸른길 2011
    • 5 권수영, "한국인의 관계심리학" 살림 2007
    • 6 조긍호, "한국인 이해의 개념틀" 나남출판 2003
    • 7 오항녕, "한국 사관제도 성립사" 일지사 2009
    • 8 문재완, "표현의 자유와 민주주의 ― 청자(聽者) 중심의 표현의 자유 이론을 위한 시론 ―"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17 (17): 85-110, 2011
    • 9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키케로의 의무론. 그의 아들에게 보낸 편지 (개정판)" 서광사 2006
    • 10 曺德本, "중국의 변증법사상 (이론과 실천)" 1991
    • 11 마르셀 그라네, "중국사유" 한길사 2010
    • 12 김석근, "중국사상문화사전" 도서출판책과함께 2011
    • 13 박병석, "중국문화의 심층구조" 교문사 1997
    • 14 정광훈, "중국문화사전" 청어람 2011
    • 15 李宗桂, "중국문화개론" 東文選 1991
    • 16 이은봉, "중국고대사상의 원형을 찾아서" 소나무 2003
    • 17 벤자민 슈워츠, "중국 고대 사상의 세계" 살림 1996
    • 18 서신혜, "조선인의 유토피아" 문학동네 2010
    • 19 김영재, "조선시대의 언론연구" 민속원 2010
    • 20 김덕현, "전통적 자연관 [제4장], in: 한국역사지리" 179-225, 2011
    • 21 정호경, "전각성경 말씀을 새긴다" 햇빛출판사 2007
    • 22 로널드 드워킨, "자유주의적 평등" 한길사 2005
    • 23 가토 슈이치, "일본문화의 시간과 공간" 작은이야기 2010
    • 24 P. Vidal de la Blache, "인문지리학의 원리" 교학연구사 2002
    • 25 에밀 벤베니스트, "인도⋅유럽사회의 제도⋅문화 어휘 연구 II" 아르케 1999
    • 26 다니엘 부어스틴, "이미지와 환상" 사계절 2004
    • 27 이영찬, "유교사회학의 패러다임과 사회이론" 예문서원 2008
    • 28 이승환, "유가사상의 사회철학적 재조명"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8
    • 29 임승태, "유가 사유의 기원" 2004
    • 30 팀 하포트, "어댑트" 웅진지식하우스 2011
    • 31 뤼디거 자프란스키, "악 또는 자유의 드라마" 문예출판 2000
    • 32 신동운, "신형사소송법 [제3판]" 法文社 2011
    • 33 크리스 젠크스, "시각 문화" 예영커뮤니케이션 2004
    • 34 리처드 파이프스, "소유와 자유" 자유기업원⋅나남 2008
    • 35 Geert Hofstede, "세계의 문화와 조직" 학지사 1995
    • 36 위르겐 몰트만, "세계 속에 있는 하나님. 하나님 나라를 위한 공적인 신학의 정립을 지향하며" 동연 2009
    • 37 정성덕, "성경에 나타난 우리말 이야기" 다락방서원 2008
    • 38 가스펠서브, "성경 관용어 사전" 생명의말씀사 2005
    • 39 요한네스 힐쉬베르거, "서양철학사, 상권: 고대와 중세" 以文出版社 1983
    • 40 자카리 쇼어, "생각의 함정. 무엇이 우리의 판단을 지배하는가" 에코의 서재 2009
    • 41 로버트 루트번스타인, "생각의 탄생" 에코의 서재 2007
    • 42 조긍호, "새로운 심리학의 가능성 탐색 1: 이상적 인간형론의 동⋅서 비교" 지식산업사 2006
    • 43 월터 윙크, "사탄의 체제와 예수의 비폭력. 지배체제 속의 악령들에 대한 분별과 저항" 한국기독교연구소 2004
    • 44 프랑수아 줄리앙, "사물의 성향: 중국인의 사유방식" 한울아카데미 2009
    • 45 최병조, "법치주의의 기초: 역사와 이념" 서울대학교출판부 125-211, 2006
    • 46 박오순, "법질서의 경제적 함의와 가치확립 방안[I]: 법률문화의 경제적 함의" 한국법제연구원 2010
    • 47 최병조, "법제와 사상과 헌법" 한국법제연구원 21 : 4-6, 2011
    • 48 김도균, "법원리로서의 공익" 법학연구소 47 (47): 155-215, 2006
    • 49 조홍식, "민주주의와 시장주의" 博英社 2007
    • 50 G. 사르토리, "민주주의 이론의 재조명 I−현시대의 토론−; II −고전적 문제들−" 도서출판 인간사랑 1989
    • 51 김형효, "민본주의를 넘어서 [동양의 민본사상과 새로운 공동체 모색]" 청계 2000
    • 52 최병조, "민법사례풀이 방법론과 판례의 연습사례로의 활용 - 토지매수인에 의한 지상물 철거 행위의 법률효과 -" 民事判例硏究 XVI 131-166, 1994
    • 53 버지니아 포스트렐, "미래와 그 적들" 모색 2000
    • 54 노르베르트 엘리아스, "문명화과정 I,II" 한길사 1996
    • 55 전성우, "막스 베버의 근대자본주의 발생론 I −서구 중세도시 시민계급의 형성을 중심으로− 제일부: 자본주의-목적합리성-시민계급" 20 : 3-18, 1986
    • 56 최병조, "로마법과 비교법" 법학연구소 48 (48): 1-34, 2007
    • 57 박허식, "동양의 고대 커뮤니케이션 사상" 커뮤니케이션북스 2008
    • 58 박영진, "동양과 서양. 두 세계의 사상⋅문화의 거리" 지식산업사 1993
    • 59 리처드 니스벳, "동양과 서양, 세상을 바라보는 서로 다른 시선. 생각의 지도" 김영사 2004
    • 60 임홍빈, "동서 철학의 공적 합리성. 개념 체계의 기원과 형성" 철학과현실사 2005
    • 61 梁漱溟, "동서 문화와 철학" 솔 2005
    • 62 김필년, "동-서문명과 자연과학" 까치 1992
    • 63 김재홍, "니코마코스 윤리학" 이제이북스 2006
    • 64 이문영, "논어 맹자와 행정학" 나남출판 1996
    • 65 제임스 사이어, "기독교 세계관과 현대사상" Ivp 2009
    • 66 C. A. 반 퍼슨, "급변하는 흐름 속의 문화" 서광사 1994
    • 67 김채수, "글로벌 문화이론 과정학"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9
    • 68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우스, "그리스철학자열전" 동서문화사 2008
    • 69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국가론" 한길사 2007
    • 70 화이트헤드, "관념의 모험" 한길사 1996
    • 71 윌리엄 데이비도우, "과잉연결 시대" 수이북스 2011
    • 72 양병우, "고대올림픽" 지식산업사 1988
    • 73 마크 에드워드 루이스, "고대 중국의 글과 권위−제국으로 가는 글의 여정" 미토 2006
    • 74 해롤드 브라운, "감각의 문화" 예영커뮤니케이션 2000
    • 75 최병조, "韓國文化의 特性에 관한 文化類型論的 考察−法文化의 理解를 위한 試論−, In 二十一世紀 韓國商事法學의 課題와 展望" 박영사 899-929, 2002
    • 76 하자노프, "遊牧社會의 構造" 지식산업사 1990
    • 77 張晉藩, "薪火集―中國法制史學通論" 鷺江出版社 2003
    • 78 유일환, "漢字同義語辭典" 궁미디어(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 2011
    • 79 에드윈 W. 패터슨, "法哲學" 乙酉文化社 1963
    • 80 安原田, "東洋學 이렇게 한다−哲學的 民族主義−" 대원출판 1996
    • 81 中村 元(나카무라 하지메), "東洋人の思惟方法 第一部 インド人⋅シナ人の思惟方法 ; 第二部 日本人 ⋅チベッド人の思惟方法" みすず書房: 東京
    • 82 薛錫圭, "朝鮮時代 儒生上疏와 公論政治" 도서출판 선인 2002
    • 83 다나카 토시미츠, "朝鮮初期 斷獄에 관한 硏究 : 刑事節次의 整備過程을 中心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 84 김인호, "巫와 中國文化와 經典著書" 민속원 2001
    • 85 徐廷範, "國語語源辭典 [韓國語源學會硏究叢書 1]" 보고사 2000
    • 86 趙紀彬, "反논어. 孔子의 論語 孔丘의 論語" 예문서원 1999
    • 87 崔松和, "公法的 探究"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 88 書經, "全寅初 [新完譯 四書五經 5]" 平凡社 1976
    • 89 李相益, "儒敎傳統과 自由民主主義" 심산 2004
    • 90 付春楊, "傳統刑事訴訟中的疑罪, In 中國傳統司法與傳統(上)" 236-244,
    • 91 마크 엘빈, "中國歷史의 發展形態" 신서원 1989
    • 92 范忠信, "中國法律文化探究− 情理法과 中國人−" 一潮閣 1996
    • 93 金觀濤, "中國史의 시스템理論的 分析" 신서원 1997
    • 94 中村 元, "中國人의 사유방법" 까치 1990
    • 95 Jakobus Wössner, Mensch, "“Kollektivierung” und “Sozialisierung”. Ein Beitrag zum Phänomen der Vergesellschaftung im Aufstieg und in der sozialen Problematik des gegenwärtigen Zeitalters" Duncker & Humblot 1963
    • 96 Giovanni Sartori, "von Rudolf Wildenmann" Wissenschaftliche Buchgesellschaft Darmstadt 1992
    • 97 Interpretations, "und Einordnungsversuch von Okko Behrends" Jovene Editore 1986
    • 98 Otto Hintze, "herausgegeben und eingeleitet von Gerhard Oestreich" Vandenhoeck & Ruprecht in Göttingen 1970
    • 99 Max Kaser, "Zur juristischen Terminologie der Römer" 97-142, 1965
    • 100 Heinz Hübner, "Zur Haftung des iudex, qui litem suam fecit, in: derselbe, Rechtsdogmatik und Rechtsgeschichte." Carl Heymanns Verlag KG: Köln⋅Berlin⋅Bonn⋅München 191-199, 1997
    • 101 Kai Kindereit, "Wer fühlt nicht, daß es hier einer Schadensersatzklage bedarf – Rudolf von Jhering und die ‘culpa in contrahendo’, In Zivilrechtliche Entdecker" Verlag C. H. Beck 107-147, 2001
    • 102 André Depping, "Von Olympia bis zur lex sportiva − Gedanken zur Geschichte des Sportrechts" Romanistische Abteilung (127) : 324-337, 2010
    • 103 Eckard Rehbinder, "Vertragsgestaltung" Alfred Metzner Verlag: Frankfurt am Main 1982
    • 104 Oel D. Wolfe, "Varieties of Participatory Democracy and Democratic Theory" The Political Science Reviewer 16 (1986:Fall)
    • 105 John Ferguson, "Utopias of the Classical World" Thames and Hudson 1975
    • 106 Guido Calabresi, "Tragic Choices" W. W. Norton & Company 1978
    • 107 Gerhard Kittel,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4) : 1967
    • 108 Jane Harrison, "Themis. A. Study of the Social Origins of Greek Religion" Merlin Press 1963
    • 109 Olivia F. Robinson, "The ‘iudex qui litem suam fecerit’ explained" (116) : 195-199, 1999
    • 110 Richard Polenberg, "The World of Benjamin Cardozo. Persoanl Values and the Judicial Process" Harvard University Press 1997
    • 111 Samuel Pufendorf, "The Whole Duty of Man, According to the Law of Nature" Liberty Fund: Indianapolis 2003
    • 112 Giovanni Sartori, "The Theory of Democracy Revisited" Chatham 1987
    • 113 Daniel J. Boorstin, "The Seekers. The Story of Man’s Continuing Quest to Understand His World" Random House: New York 1998
    • 114 Arthur Bentley, "The Process of Government" 1908
    • 115 Stanley N. Katz, "The Oxford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Legal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 116 Geoffrey MacCormack, "The Liability of the Judge in the Republic and Principate, In Aufstieg und Niedergang der römischen Welt II" (14) : 3-28, 1982
    • 117 Aharon Barak, "The Judge in a Democrac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6
    • 118 Dennis Lloyd, "The Idea of Law" Penguin Books 1973
    • 119 Mirjan R.Damaška, "The Faces of Justice and State Authority.A Comparative Approach to the Legal Process" New Haven and London 1986
    • 120 James Legge, "The Chinese Classics with a translation, critical and exegetical notes, prolegomena, and copious indexes, I. Confucian Analects, The Great Learning, The Doctrine of the Mean" Hong Kong University Press 1960
    • 121 Elmar Bund, "Stoischer Materialismus und Dynamismus in der römischen Rechtssprache, In Wirkungen europäischer Rechtskultur. Festschrift für Karl Kroeschellzum 70. Geburtstag" C. H. Beck’sche Verlagsbuchhandlung 65-76, 1997
    • 122 Peter Lang, "Stil in Fachsprachen" Europäischer Verlag der Wissenschaften 105-137, 1996
    • 123 Michael Horace Barnes, "Stages of Thought. The Co-Evolution of Religious Thought and Science"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 124 Utz Schliesky, "Souveränität und Legitimität von Herrschaftsgewalt" Mohr Siebeck 2004
    • 125 Martin Heidegger, "Sein und Zeit" 1927
    • 126 Nigel Sanitt, "Science as a Questioning Process" Institute of Physics Publishing 1996
    • 127 Malcolm Schofield, "Saving the City. Philosopher-Kings and other classical paradigms" Rutledge 1999
    • 128 Okko Behrends, "Rudolf von Jhering, Ueber die Entstehung des Rechtsgefühles (12. März 1884), mit einer Vorbemerkung und einem anschliessenden"
    • 129 Okko Behrends, "Rudolf von Jhering und die Evolutionstheorie des Rechts, In Der Evolutionsgedanke in den Wissenschaften" Vandenhoeck & Ruprecht in Göttingen 290-310, 1991
    • 130 Giovanni Pugliese, "Res iudicata pro veritate accipitur, In Studi in onore di Edoardo Volterra V" 783-830, 1971
    • 131 Wilhelm Henke, "Recht und Staat" J.C.B. Mohr (Paul Siebeck) Tübingen 1988
    • 132 Marc A. Loth, "Reasonableness in a divided society, in: Lesings en Dialog" 302-315, 2009
    • 133 A. N. Whitehead, "Process and Reali" 1929
    • 134 Christian von Bar, "Principles of European Law, Study Group on a European Civil Code, Unjustified Enrichment (PEL Unj. Enr.)"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 135 Dieter Wyduckel, "Princeps legibus solutus: eine Untersuchung zur frühmodernen Rechts- und Staatslehre" Duncker & Humblot 1979
    • 136 Hermann Schmitz, "Praktische Philosophie" Bouvier Verlag Herbert Grundmann: Bonn 2005
    • 137 Gerald F. Gaus, "Political Concepts and Political Theories" Westview Press 2000
    • 138 Ernst Cassirer, "Philosophie der symbolischen Formen, Erster Teil: Die Sprache" 10 : 1994
    • 139 심헌섭, "Ota Weinberger의 制度的 法實證主義" 35 (35): 146-158, 1994
    • 140 CP Joubert, "Nemo debet bis vexari pro una et eadem causa" 110-116, 1984
    • 141 Hans Welzel, "Naturrecht und materiale Gerechtigkeit" 1951
    • 142 Kant-Lexikon, "Nachschlagewerk zu Kants sämtlichen Schriften / Briefen und Handschfriftlichem Nachlass" Georg Olms Verlag: Hildesheim⋅New York 1977
    • 143 Wolfgang Fikentscher, "Modes of Thought. A Sudy in the Anthropology of Law and Religion" J.C.B. Mohr (Paul Siebeck) Tübingen 1995
    • 144 Song-U Chon, "Max Webers China-Studie − ein Beispiel des Kulturvergleichs, In , in: Soziale Welt. Zeitschrift für sozialwissenschaftliche Forschung und Praxis, Sonderband 8: Zwischen den Kulturen? Die Sozialwissenschaften vor dem Problem des Kulturvergleichs" 115-143, 1992
    • 145 Josiah Ober, "Living Freely as a Slave of the Law. Notes on Why Socrates Lives in Athens, in: Polis & Politics. Studies in Ancient Greek History" Museum Tusculanum Press, University of Copenhagen 541-552, 2000
    • 146 Pierre Eyckmans, "Les Entretiens de Confucius [Connaissance de l’Orient]" Gallimard 1987
    • 147 R. C. van Caenegem, "Legal History: A European Perspective" The Hambledon Press: London and Rio Grande 1991
    • 148 Helen Cam, "Law-Finders and Law-Makers in Medieval England. Collected Studies in Legal and Constitutional History" New Jersey/The Merlin Press 1962
    • 149 Harold J. Berman, "Law and Revolution. The Formation of the Western Legal Tradi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1983
    • 150 Ralf Moritz (Übers.), "Konfuzius Gespräche (Lun-Yu)" Röderberg-Verlag G.m.b.H. Frankfurt am Main 1983
    • 151 Okko Behrends, "Kants Taube und der luftleere Raum der reinen praktischen Vernunft, In: Gedächtnisschrift für Theo Mayer-Maly zum 80" Springer-Verlag Wien 53-82, 2011
    • 152 Olivia F. Robinson, "Justinian and the Compilers’ View of the iudex qui litem suam fecerit, in Status Familiae" 65 (65): 389-396, 2001
    • 153 Constant de Koninck, "Iudex qui litem suam fecit. La responsabilité quasi-délictuelle du iudex privatus dans la procédure formulaire, In: Viva Vox Iuris Romani. Essays in Honour of Johannes Emil Spruit" J.C. Gieben 79-88, 2002
    • 154 Tao Jiang, "Intimate Authority: The Rule of Ritual in Classical Confucian Political Discourse, In Confucian Cultures of Authority" 21-47, 2006
    • 155 Bernd Spillner, "Interlinguale Stilkontraste in Fachsprachen"
    • 156 Handwörterbuch zur deutschen Rechtsgewschichte, "I. Band" Erich Schmidt Verlag: Berlin 1971
    • 157 Clark Butler, "History as the Story of Freedom. Philosophy in Intercultural Context" Rodopi 1997
    • 158 "Handwörterbuch zur deutschen Rechtsgewschichte, 40. Lieferung" Erich Schmidt Verlag: Berlin 1997
    • 159 Herbert J.Miller, "Freedom in the Ancient World" Harper & Brothers 1961
    • 160 Robert S. Summers, "Form and Function in A Legal System"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 161 P. A. Brunt, "Evidence given under Torture in the Principate" (97) : 256-265, 1980
    • 162 Anne Cheng, "Entretiens de Confucius" Éditions du Seuil 1981
    • 163 Nicholas Ostler, "Empires of the Word. A Language History of the World" Harper Perennial 2005
    • 164 Victor Ehrenberg, "Die Rechtsidee im frühen Griechentum" Verlag von Jirzel in Leipzig 1921
    • 165 Charlotte Schubert, "Die Macht des Volkes und die Ohnmacht des Denkens" Franz Steiner Verlag Stuttgart 1993
    • 166 Ingomar Weiler, "Der Sport bei den Völkern der antiken Welt" Wissenschaftliche Buchgesellschaft Darmstadt 1981
    • 167 Carl Schmitt, "Der Nomos der Erde im Völkerrecht des Ius Publicum Europaeum" Köln 1950
    • 168 Robert A.Dahl, "Democracy and Its Critics" Yale University Press: New Haven and London 1989
    • 169 Byoung Jo Choe, "Culpa in contrahendo bei Rudolph von Jhering" Verlag Otto Schwartz & Co.: Göttingen 1988
    • 170 Aihe Wang, "Cosmology and Political Culture in Early Chin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 171 Peter Stein, "Common Law and Civil Law in historical perspective" Zeitschrift für europäisches Privatrecht 385-392, 1997
    • 172 Fritz Gschnitzer, "Band II: Historische und epigraphische Studien zur Alten Geschichte seit den Perserkriegen" Franz Steiner Verlag Stuttgart 2003
    • 173 Benjamin Nathan Cardozo, "Ausgewählte Schriften" Europäische Verlagsanstalt 1957
    • 174 Herbert Krüger, "Allgemeine Staatslehre" Zweite 1966
    • 175 Peter Gröschler, "Actiones in factum: eine Untersuchung zur Klage-Neuschöpfung im nichtvertraglichen Bereich" Duncker & Humblot 2002
    • 176 Ronen Reichman, "Abduktives Denken und talmudische Argumentation" Mohr Siebeck 2006
    • 177 Robert Maltby, "A Lexicon of Ancient Latin Etymology" Francis Cairns 1991
    • 178 Thomas Sowell, "A Conflict of Visions. Ideological Origins of Political Struggles" 1988
    • 179 Ernest Metzger, "A Companion to Justinian’s Institutes" 1998
    • 180 박현모, "3장 유교적 예치 이념의 법전화, In 유교의 예치 이념과 조선" 청계 91-121, 2007
    • 181 최병조, "15세기 후반 조선의 법률논변: 私婢 斤非 사건을 중심으로" 법학연구소 52 (52): 1-53, 2011
    • 182 최병조, "15세기 중반 세종대 조선의 법리 논의 -斷罪無正條조와 不應爲조의 관계-" 한국법사학회 (44) : 251-277,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후보
              •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5 1.55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4 1.24 1.583 0.32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