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영화 <소리도 없이>(2020)의 회색지대 연구 = Study of the Gray Area in the Movie Voice of Silence(2020)
저자
이명보 (동국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25-166(42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본 연구는 영화 <소리도 없이>를 프리모 레비의 회색지대 이론을 바탕으로 분석하여, 도덕적 이분법이 해체된 극한 상황 속에서 인간 본성의 모호성과 생 존을 위한 공모의 복잡성을 조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영화는 범죄 조직의 시체 수습이라는 잔혹한 일상을 살아가는 태인과 창복이 유괴 사건에 휘말리며 선과 악, 가해자와 피해자의 경계가 흐려지는 내러티브를 전개한다.
이에 본 연구는 프리모 레비의 회색지대 개념을 이론적 틀로 삼아, 영화 속 인물과 공간의 상호작용을 분석하고, 억압적 구조 속에서 협력과 공모, 저항이 교차하는 인간 군상을 심층적으로 고찰한다. 특히 존더코만도와 무젤만 개념을 통해 태인과 창복의 존재 양태를 비교함으로써, 인간성이 변형되고 해체되는 과정을 현대적 맥락에서 조명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폭력적 시스템 속에서 인간의 도덕적 판단과 윤리적 책임이 어디까지 가능하며, 어떤 한계에 부딪히는지를 비판적으로 성찰한다. 나아가, 이를 현대 사회의 억압적 구조와 긴밀히 연결 지음으로써, 오늘날 우 리가 직면한 윤리적 과제를 재조명하고, 인간성과 도덕성에 대한 지속적인 질 문을 던지는 학문적 기여를 목표로 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ilm Voice of Silence through the lens of Primo Levi's concept of the “gray zone,” in order to shed light on the ambiguity of human nature and the complexities of complicity for survival in extreme situations where the dichotomy of good and evil collapses. The film presents a narrative in which Tae-in and Chang-bok, who endure the brutal routine of handling corpses for a criminal organization, become entangled in a kidnapping case, blurring the boundaries between good and evil, perpetrator and victim.
Accordingly, this study adopts Primo Levi's gray zone as its theoretical framework to examine the interactions between characters and space within the film, and to critically explore human figures who navigate between collaboration, complicity, and resistance under oppressive structures. In particular, by comparing the characters of Tae-in and Chang-bok with the figures of the Sonderkommando and Muselmann, the research highlights how human identity is deformed and dismantled in such contexts.
Through this analysis, the study critically reflects on the extent and limitations of moral judgment and ethical responsibility within violent systems. Furthermore, by connecting these reflections to the oppressive structures of contemporary society, this research seeks to reexamine the ethical challenges we face today and contribute academically by continuously raising questions about humanity and morality.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